• 제목/요약/키워드: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25초

Antioxidant effects and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extracts at different ethanol concentrations

  • Ko, Hyun Min;Eom, Tae Kil;Kim, Kyeoung Cheol;Kim, Chul Joong;Lee, Jae Geun;Kim, Ju-Su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3호
    • /
    • pp.499-508
    • /
    • 2018
  • To use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MGAR), which is superior in functionality compared to ginseng, and to mass produce raw materials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the antioxidant and cosmeceut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MGAR at different ethanol concentrations (0, 20, 40, 60 and 80%) were compared and analyzed. At first, different ethanol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to determine the best solvent for the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MGAR. An 80% ethanol extract with 10.07 mg of gallic acid equivalents/g sample and 0.94 mg of quercetin equivalents/g sample was the best solvent in the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However, the 60% ethanol extract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evident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35.01 mM Trolox/g sample)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460.94 mM $FeSO_4/g$ sample). However,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80% ethanol extract from the MGAR against tyrosinase and elastas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xtract of MGAR can be used as an easily accessible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 and as a possible cosmetic ingredient in the cosmeceutical industry. However, the components responsible for the antioxidant and cosmeceutical activities of the MGAR extracts are currently unclear.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to isolate and identify the antioxidant and cosmeceutical components in MGAR.

Antimicrobial, Antioxidative, Elastase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Supercritical and Hydrothermal Asparagopsis Armata Extract

  • Lee, Kwang Won;Heo, Soo Hyeon;Lee, Jinseo;Park, Su In;Kim, Miok;Shin, Moon Sa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231-240
    • /
    • 2020
  • In this paper, we present to evaluate physiological activity of Asparagopsis armata extraction. After extraction with Asparagopsis armata using hydrothermal an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were examined. The total concentration of polyphenol compounds was determined to be 18.85 mg/g of hydrothermal Asparagopsis armata extraction and 14.74 mg/g of supercritical Asparagopsis armata extraction. In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ascorbic acid was used as positive antioxidant control. In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ascorbic acid was used as positive antioxidant control. The percentage of inhibition and IC50 were measured. The IC50 of Asparagopsis armata extraction is 261.44ppm and the IC50 of supercritical Asparagopsis armata extraction is 153.98 ppm. The elastase inhibitory assay showed concentration dependence and the IC50 of hydrothermal Asparagopsis armata extraction is 3387 ppm and the IC50 of supercritical Asparagopsis armata extraction is higher than 2500 ppm. In mushroom tyrosinase inhibition experiments, tyrosinase inhibition's IC50 of supercritical Asparagopsis armata extraction was 248.06. In the SOD-like experiments, the concentration-dependent results were showed and IC50 of hydrothermal Asparagopsis armata extraction is 845.29 ppm. In the antimicrobial experiments, maximum clear zones of supercritical Asparagopsis armata extraction represented 23.00 mm in Propionibacterium acnes. In the other hand, in experiments with the same conditions, hydrothermal Asparagopsis armata extraction had no effect in all strains.

미세먼지 PM10으로 손상을 유도한 각질형성세포에서 청각 (Codium fragile)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 (Anti-aging effect of Codium fragile extract on keratinocytes damaged by fine dust PM10)

  • 김보애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5-52
    • /
    • 2023
  • Objectives : Fine dust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 oxidative damage and skin aging.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Codium fragile extract (CFE) as an anti-aging product for skin improvement was evaluated by confirming the protective effect of skin cells from PM10 (particulate matter 10) through inhibition of ROS and MMPs. Methods : In this study,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evaluated. Cell viability was evaluated by treating keratinocytes (HaCaT cell line) with CFE at various concentrations. The cytoprotective effect from PM10 in keratinocyteswas evaluated using th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 (MTT) assay. ROS (reactive oxygen species) was measured in keratinocytes damaged by PM10 using DCF-DA (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 fluorescence staining. As an anti-aging effect of CFE,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 and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9) inhibitory activities were evaluated. Results : As a result, CFE decreased the activity of elastase and collagenase.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toxicity of CFE, it is non-toxic at a concentration of 10 to 80 ㎍/㎖. Although cell viability of HaCaT cells treated with PM10 decreased, cell viability increased by 38% when treated with CFE 80 ㎍/㎖. Also, ROS decreased by 8.4%, and MMP-1 and MMP-9 decreased at CFE 80 ㎍/㎖. Conclusions : CFE showed excellent cell protection effect, and it is considered that it can be used in anti-aging products for skin improvement by effectively inhibiting ROS and MMPs from keratinocyte damage caused by fine dust.

넓패(Ishige foliacea) 추출물의 피부노화 억제활성 (Anti-skin Aging Properties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from Ishige foliacea)

  • 김지윤;박다빈;이연지;박선주;김용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833-840
    • /
    • 2023
  •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nd anti-skin aging properties of the Korean marine algae Ishige foliacea were investigated. Solvent extracts from I. foliacea were prepared with 70% ethanol, 80% methanol, and water. The extraction yield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ranged from 9.55% to 35.12%. In terms of antioxidant activity, the 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nitrite oxide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Regarding anti-skin aging activity, evaluation of the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activities revealed that the methanol, water, and ethanol extracts possessed the highest tyrosinase (IC50=0.98 mg/mL), elastase (IC50=0.15 mg/mL), and collagenase (IC50=0.06 mg/mL) inhibitory activitie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 foliacea holds potential as an antioxidant and anti-skin aging substance in food and cosmetic materials.

홍화씨추출물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I) (Anti-wrinkle Effect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Seed Extract (I))

  • 윤경섭;김미진;김자영;최상원;홍진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22
    • /
    • 2004
  • 홍화(Carthamus tincforiu L.)는 한방에서 어혈, 통경 및 고지혈증 치료제로서 그리고 홍화씨는 진정 및 보혈 등의 약용 소재로 이미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화장품 원료로서 홍화추출물과 홍화씨유가 사용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홍화씨 유박(oil cake)으로부터 식물성유사여성호르몬(phytoestrogen) 거동의 세로토닌(serotonin)유도체를 함유한 정제분말을 제조하여 화장품 원료로서리 적용 가능성을 실험하였다. 홍화씨추출물을 식물성유사여성호르몬으로 알려진 레즈베라트롤(resyeratrol)과 제니스테인(genistein) 및 기능성 주름개선제로 알려진 레티놀(retinol)과 우르소릭애씨드(ursolic acid)와 함께 항주름 효과와 관련한 항산화 효과, 엘라스타제 활성저해 효과, 섬유아세포 활성촉진 효과 및 콜라겐 생성촉진 효과에 대하여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세로토닌유도체를 함유한 홍화씨추출물은 피부에 자극없이 항산화 효과, 엘라스타제 활성저해 효과, 섬유아세포로 활성촉진 효과 및 콜라겐 생성촉진 효과가 우수하여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기대되고 있다. 피부의 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있는 원료로 기대되었다.

막걸리 열수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 알코올 분해능 및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효과 (Nitrite Scavenging and Alcohol Metabolizing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Makgeoly and Its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Effect)

  • 조은경;김희연;변현지;김수원;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68-774
    • /
    • 2010
  • 전통발효주 막걸리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S사막걸리로부터 구입한 막걸리 침전물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법을 통해 측정한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radical 소거능은 10 mg/ml에서 48.0%으로 나타났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SOD 유사활성은 10 mg/ml 농도에서 98.7%로 비교적 높은 SOD 유사활성을 보였다. 항고혈압 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항고혈압제인 captopril은 0.1 mg/ml에서 93.4%의 ACE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 10 mg/ml에서는 74.0%의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 항고혈압소재로서 이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는 positive control인 Vit. C1 mg/ml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74~64%, pH 6.0에서는 45%의 소거능을 보인반면,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51~42%, pH 6.0에서는 28%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알콜과 acetaldehyde 분해능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막걸리 침전물의 우수한 기능성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그 가치가 기대된다.

메밀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으로서의 응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for Cosmeceutical of Fagopyrum esculentum Extracts)

  • 김진영;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3-9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화장품에의 응용하기 위하여, 메밀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및 항주름 효능을 측정하고, 그 추출물의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씨앗 부분의 껍질과 껍질을 제거한 속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항산화 효능은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DPPH)을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OS)의 소거 활성 측정, rose-bengal과 빛으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의 용혈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미백과 항주름 효능으로는 tyrosinase와 elastase의 활성 저해 능력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 측정 결과, 대부분 메밀 속 50% ethanol 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분획 및 추출물에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Free radical 소거활성($FSC_{50}$)과 총항산화능($OSC_{50}$)은 각각 메밀 껍질의 aglycone 분획($3.5{\pm}0.0{\mu}g/mL$)과 ethyl acetate 분획($0.2{\pm}0.1{\mu}g/mL$)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포보호활성(${\tau}_{50}$)은 메밀 껍질의 ethyl acetate 분획이 10 ${\mu}g/mL$에서 $771.7{\pm}9.9$ min으로 $^1O_2$으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작용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Tyrosinase 활성 저해 능력($IC_{50}$)은 메밀 껍질과 속의 aglycone 분획이 각각 $53.6{\pm}0.5{\mu}g/mL,\;35.6{\pm}0.4{\mu}g/mL$으로 arbutin보다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Elastase 활성 저해 능력($IC_{50}$) 또한 메밀 껍질과 속의 aglycone 분획이 각각 $3.7{\pm}0.4{\mu}g/mL,\;6.0{\pm}0.7{\mu}g/mL$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나타내는 메밀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메밀 속의 ethyl acetate 분획에는 (+)-catechin, (-)-epicatechin이 함유되어 있었고, 껍질에는 hyperin의 함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quercetin, rutin 등의 많은 플라보노이드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메밀 속 및 껍질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또한 태양 자외선으로 인한 기미, 주근깨 과형성 및 주름 생성에 있어 상당한 저해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갯씀바귀(Ixeris repens)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생리활성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in Various Solvent Extracts of Ixeris repens)

  • 김주성;이연지;김지윤;최지원;유선재;김용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742-750
    • /
    • 2021
  • Ixeris repens is a type of halophyte that grows in high salinity sands found in coastal sand dunes and sandy shor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tents, antioxidant potency,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I. repens. In analyses of general composition, carbohydrate, protein, ash, and moisture content were 57.42%, 10.48%, 11.99% and 10.29%, respectively. Potassium, calcium, sodium, and magnesium were its most prevalent minerals. The solvents used to extract I. repens were 70% ethanol, 80% methanol, and distilled water. Among the resultant extracts,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displayed higher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than the water extract. ABTS (IC50, 0.12 mg/mL) and FRAP (0.77 mM)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highest in the water extract, while methanol extract exhibited the strong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1.32 mg/mL), NO scavenging activity (IC50, 4.10 mg/mL), and reducing power (EC50, 0.14 mg/mL). Tyrosinase, elastas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highest in the ethanol extract. The ethanol extract also possessed the most potent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 repens may be useful as an antioxidant, and a functional substance in food and pharmaceutical materials.

대전광역시 월평공원과 전북 격포해수욕장 주변 야생화와 토양들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특성과 생리 활성 (Isolation of Wild Yeasts and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Unrecorded Wild Yeasts Obtained from Flowers and Soils of the Wolpyung Park, Daejeon City and Gykpo Beach, Buan, Jeollabuk-do in Korea)

  • 장지은;박선정;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87-100
    • /
    • 2021
  • 많은 사람들이 다녀가는 도시공원과 해변 환경의 효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대전광역시 월평공원 갑천 누리길과 내원사 주변의 야생화와 토양 75점에서 모두 88균주의 야생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또한 전북 부안의 격포해수욕장과 격포항 주변 야생화와 토양 35점에서 30균주의 야생 효모들을 분리하였다. 이들 분리 야생 효모들 중 A. porosum ASCM32-1, A. scarabaeorum WP49-1, C. athensensis WP4-90-3, C. berkhoutiae WP34-2, C. bracarensis WP35-1, Cy. amylophila GP19-1, K. gamospora WP9-1, M. carpophila BN-17-1, T. namnaoensis WP4-89-1, V. taibaiensis WP13-2 등 10종의 국내 미기록종 후보 균주들을 선별하여 균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들 미기록 효모들은 주로 구형~타원형으로 모두 출아방식으로 영양 증식을 하였고 V. taibaiensis WP13-2와 K. gamospora WP9-1, C. athensensis WP4-90-3 외 7종의 미기록 효모들은 자낭포자를 형성하지 않은 무포자 효모들이었으며A. porosum ASCM32-1만이 의균사를 생성하였다. 대부분의 균주들은 YPD 배지와 YM 배지에서생육하였고V. taibaiensis WP13-2와K. gamospora WP9-1, T. namnaoensis WP4-89-1 균주들은 15% NaCl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생육하는 호염성 효모들이었고, Cy. amylophila GP19-1 균주는 40℃에서도 생육하였다. C. athensensis WP4-90-3 균주 등 5균주들이 10% 에탄올 내성을 보였고C. athensensis WP4-90-3 균주는 Li2+ 등 많은 중금속들에 대해서 내성을 보였다. 국내 미기록 효모들과 비병원성 야생 효모 균주 무세포추출물들의 β-glucuronidase 저해 활성은 C. oleophila WP5-19-1의 무세포 추출물이 49.0%로 가장 높았고 미기록 효모인 K. gamospora WP9-1의 무세포 추출물도 27.7%를 보였다. 호중구 elastase 저해 활성은 W. anomalus HO9-2가 38.4%로 우수하여 건강 소재로 생산에 매우 유용한 균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오렴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성분 분석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Cayratia japonica Extract)

  • 양희정;김은희;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7-12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오렴매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분석 및 elastase 저해 효과를 알아보았다. 추출물의 free radical(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50% ethanol 추출물(114.3 ${\mu}g/mL$)$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오렴매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aglycone 분획($OSC_{50},\;3.30{\mu}g/mL$)<50% ethanol 추출물(1.21)$1{\sim}25{\mu}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은 25 ${\mu}g/mL$ 농도에서 ${\tau}_{50}$이 175.05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오렴매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의 당 제거 반응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은 TLC에서 2개의 띠로 분리되었으며, HPLC 실험(360 nm)에서 2개의 피이크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2가지 성분은 luteolin, apigenin이었으며, 그들의 성분비는 각각 47.50%, 52.50%로 나타났다. 오렴매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의 TLC 크로마토그램은 3개의 띠로 분리되었고, HPLC 크로마토그램은 4개의 피이크를 보여주었다. TLC와 HPLC의 띠와 피이크를 확인한 결과, HPLC의 4개의 피이크는 용리순서로 peak 1(조성비 11.14%)은 luteolin-7-O-${\beta}$-D-glucopyranoside, peak 2(15.38%)는 apigenin-7-O-${\beta}$-D-glucuronopyranoside, peak 3(23.55%)는 luteolin, peak 4(49.92%)는 apigenin로 확인되었다. Aglycone 분획은 elastase 저해활성($IC_{50}$)이 70.5 ${\mu}g/mL$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오렴매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성분 분석과 이와 같은 항산화 활성을 통하여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