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icosenoic acid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6초

산초유의 지방산 조성과 마우스 혈청 및 간장의 지방산 조성변화 (Fatty Acid Composition of Serum and Liver in Mice and Sancho(Zanthoxylum schinifolium) Seed Oil)

  • 차재영;신승렬;조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08-312
    • /
    • 2000
  • 산초유 전지질 분획에서 주요 구성지방산 조성은 eicosenoic acid 30.88%, linoleic acid 23.4%, oleic acid 19.94%, palmitic acid 10.52% 순으로 나타났으며, n-9계열 일가불포화지방산이 약 60% 이상을 차지하였다. 또한 산초유의 각 지질 분획의 구성지방산 조성에서는, triglyceride 분획에서 eicosenoic acid가 41.16%로 가장 높았고, 나머지 분획들에서는 oleic acid가 34.32~53.58%로 높게 나타났다. 마우스를 24시간 절식시킨 상태에서 산초유를 마리당 500 mg씩 강제 경구투여 한 후 혈청 및 간장 전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투여전, 투여 3시간 및 6시간 후의 경시적인 변화를 관찰한 결과, 혈청 전지질 중의 eicosenoic acid가 투여 전에는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투여 3시간 및 6시간 후에는 경시적으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간장에서도 산초유 투여 6시간 후에 eicosenoic acid의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다. 따라서, 혈청 및 간장 전지질 중의 eicosenoic acid의 증가는 산초 원료유의 섭취 영향과 지방질 대사과정에서 oleic acid로부터의 전환이 시사되어진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산초유에는 일반 종실유와는 달리 n-9 계열 일가불포화지방산인 eicosenoic acid와 oleic acid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마우스의 혈청 및 간장 전지질 중의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경구투여한 원료유 지방산 섭취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시사되어졌다.

  • PDF

유채(油菜) 발아중(發芽中) 아미노산과 지방산 조성(組成)의 변화(變化) (Changes in Amino Acid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during Germination of Rapeseed)

  • 조병미;윤석권;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71-376
    • /
    • 1985
  • 내한유채를 $25^{\circ}C$에서 60시간동안 발아시켜 건물량, 뿌리신장도, 아미노산 및 지방산조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채의 건물량은 발아30시간에서 비교적 급격한 감소를 나타냈고 그 이후는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우리는 15시간까지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발아30시간이후는 일정한 속도의 신장도를 나타낸다. 유채는 발아함에 따라 수분, 조회분은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조지방 조단백질은 감소하였으며 조섬유는 증가하였다. 유채의 아미노산은 Glu, Lys, Asp가 많고 lie, Met가 적었으며 제 1제한 아미노산은 Ile 이었다. 유채의 아미노산은 발아함에 따라 Lys, His, Arg, Asp, Thr, Ser, Ala, Val, lie, Leu는 증가하였지만 Clu, Met Tyr, Phe은 감소하여 발아함에 따라 Met이 제 1제한아미노산이 되었다. 지방산은 oleic acid (49.3%). linoleic acid(22.0%), eicosenoic acid (10.5%), Palmitic acid(5.9%), linolenic acid(5.7%), stearic acid(3.2%), erucic acid(2.8%)가 검출되었는데. 발아에 따라 oleic acid는 감소하였으며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발아중기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감소하였고 linolenic acid eicosenoic acid 및 erucic acid는 발아중기까지는 감소하다가 그 이후는 증가하였다.

  • PDF

피뿔고둥과 전복의 지질조성에 관한 연구 (Lipid Composition of Purple Shell and Abalone)

  • 윤호동;변한석;김선봉;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46-452
    • /
    • 1986
  • 권패인 피뿔고둥 및 전복을 시료로하여 지질을 추출한 다음 규산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서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로 분획하고, TLC scanner, TLC 및 GLC를 이용하여 총지질의 지방산조성,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의 지방산조성 그리고 구성하는 지질성분의 함량과 그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여 비교${\cdot}$검토하였다. 각시료의 총지질의 함량은 피뿔고둥이 $0.5\%$, 전복이 $0.4\%$로 나타났으며, 중성지질함량은 피뿔고둥과 전복에서 각각 $50.7\%,\;55.8\%$, 당지질은 $3.4\%,\;6.0\%$, 그리고 인지질은 $44.2\%,\;38.2\%$를 각각 차지하였다. 총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피뿔고둥의 경우 eicosapentaenoic acid($19.30\%$), eicosenoic acid ($12.10\%$) 및 palmitic acid ($11.77\%$)였고, 전복에서는 palmitic acid($14.21\%$)가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다. 특히 피뿔고둥은 polyene 산함량이 $41.22\%$로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중성지질을 구성하고 있는 지질조성은 free steral, 유리지방산, triglyceride, hydrocarbon & esterified sterol등이었으며, 그 밖에 미확인물질도 상당량 포함되었다. 중성지질의 지방산조성을 살펴보면, 피뿔고둥의 경우 eicosapentaenoic acid($18.60\%$), palmitic acid ($14.90\%$) 및 eicosenoic acid($14.76\%$)가, 전복에서는 palmitic acid ($28.l2\%$), oleic acid ($20.50\%$) 그리고 myristic acid ($12.50\%$)가 주요지방산이었고, 전복에서는 docosahexaenoic acid가 검출되지 않았다. 당지질의 주요 지방산조성을 살펴보면 피뿔고둥에서는 eicosapentaenoic acid ($17.57\%$), stearic acid ($13.26\%$) 및 arachidonic acid ($11.24\%$)가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고, polyene산함량 ($51.18\%$)이 많았다. 전복에서는 stearic acid ($12.10\%$), myristic acid ($12.75\%$) 및 arachidonic acid ($10.64\%$)가 주요 지방산이었다. 피뿔고둥의 인지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eicosapentaenoic acid($20.18\%$), palmitic acid($11.26\%$) 및 eicosenoic acid($10.90\%$)였고, 전복에서는 palmitic acid($21.10\%$), eicosapentaenoic acid($12.90\%$) 및 oleic acid($11.13\%$)가 주요 지방산이었다.

  • PDF

3종(種) 패류(貝類)의 지질조성(脂質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ipid Composition in Three Species of Shellfish)

  • 손양옥;하봉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07-419
    • /
    • 1983
  • 서식환경(棲息環境)이 다른 해산(海産) 참굴, 소라 그리고 담수산(淡水産) 후루미재첩의 3종(種) 패류(貝類)를 시료(試料)로 총지질(總脂質)을 추출(抽出)하여 thin layer chromatography와 TLC-scanner를 이용(利用)하여 총지질(總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질성분(脂質成分)을 정량(定量)하였다. 그리고 gas liquid chromatography로 총지질(總脂質)의 지방산(脂肪酸) 및 sterol 조성(組成)을 정량(定量)하였으며, 총지질(總脂質)을 다시 column chromatography로 중성지질(中性脂質), 당지질(糖脂質) 및 인지질(燐脂質)로 분획(分劃)하여 패류지질(貝類脂質)의 특징(特徵)을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시료(試料) 패류(貝類)의 총지질(總脂質) 함량(含量)은 굴이 1.8%, 소라가 0.4% 그리고 후루미재첩이 4.0%였다. 그리고 총지질(總脂質)의 전지방산(全脂肪酸)의 함량(含量)은 굴이 80.7%, 소라가 71.2%, 후루미재첩이 73.2%였고 불감화물은 굴이 15.4%, 소라가 18.1%, 후루미재첩이 23.1%였다. 2) 총지질(總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질성분(脂質成分)으로는 triglyceride, 극성지질일색소(極性脂質一色素) 혼합층(混合層) 그리고 sterol성분(成分)이 가장 많았고 hydrocarbon-esterified sterol 혼합층(混合層)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3) 총지질(總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은 참굴에서는 palmitic(37.0%), eicosapentaenoic(13.5%) 및 linoleic acid(11.2%)가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있고 소라에서는 octadecatetraenoic(15.8%), palmitic(11.2%), oleic(8.6%) 및 linoleic acid(8.1%)가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있으나, 후루미재첩에서는 palmitic(34.0%), Iinoleic(12.3%) 및 palmitoleic acid(9.8%)가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있었다. 특(特)히 참굴과 소라에서는 eicosapentaenoic acid의 함량(含量)이 후루미재첩보다 훨씬 많았다. 4) 3종(種) 패류(貝類)의 sterol성분(成分)은 주(主)로 cholesterol(42.7~64.0%), brassicasterol(15.6~24.7%) 및 24-methylenecholesterol(4.7~21.4%)였다. 그러나 참굴에서는 sitosterol(5.3%)이 소라에는 22-dehydrocholesterol(12.9%)이 검출(檢出)되었다. 5) 총지질(總脂質)에서 분획(分劃)한 비극성지질(非極性脂質)과 극성지질(極性脂質)의 함량(含量)은 시료(試料)에서 공통적(共通的)으로 비극성지질(非極性脂質)이 극성지질(極性脂質)보다 높았다. 그리고 극성지질중(極性脂質中)에서는 당지질(糖脂質)과 인지질(燐脂質)의 함량비(含量比)가 비슷하였다. 6) 중성지질(中性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질성분(脂質成分)은 triglycerides(33.0~36.7%), free sterol(25.7~32.2), esterified sterol(12.4~23.7%) 그리고 free fatty acids(5.1~11.7%)로 구성(構成)되어 있었다. 중성지질(中性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으로는 참굴과 후루미재첩에서는 palmitic(28.4~26.4%), eicosapentaenoic(18.6~21.9%) 및 linolenic acid(9.0~5.4%)가 주성분(主成分)이었고 소라에서는 octadecatetraenoic(14.5%), eicosapentaenoic(13.5%) 및 palmitic acid(12.3%)가 주성분(主成分)이었다. 7) 당지질(糖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으로는 참굴에서는 eicosenoic(14.3%), palmitic(12.1%) 및 linolenic acid(10.2%)가 주성분(主成分)이었고, 소라에서는 eicosenoic(26.0%), octadecatetraenoic(14.6%) 및 eicosadienoic acid(12.9%)가 주성분(主成分)이었으며 후루미재첩에서는 eicosadienoic(21.4%), stearic(14.6%), octadecatetraenoic(8.5%) 및 eicosenoic acid(8.5%)가 주성분(主成分)이었다. 8) 인지질(燐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으로는 참굴에서는 myristic(16.0%), stearic(10.6%), eicosenoic(10.5%) 및 palmitic acid(10.3%)가 주성분(主成分)이었고, 소라에서는 oleic(22.2%), stearic(20.7%) 및 linolenic acid(11.8%)가 주성분(主成分)이었으며, 후루미재첩에서는 eicosapentaenoic(25.1%), myristic(8.7%) 및 arachidonic acid(8.3%)가 주성분(主成分)이었다.

  • PDF

다슬기중 지방질 및 아미노산 조성 (Composition of Lipid and Amino Acid in Semisulcospira gottschei Tissues)

  • 심태흠;한규석;이태준;정의호;이해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1-87
    • /
    • 199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etailed lipid content, lipid composition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Semisulcospira gottschei tissues. Lipids of Semisulcospira gottschei tissues were extracted by the mixture of chloloform-methanol, fractionated into neutral lipids,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by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and the composition of these lipid classes were determined by TLC and GLC. the amino acids in Semisulcospira gottschei tissues was analyzed by the amino acid auto analyzer. The total lipids content was 1.4% and the main components of the total lipids were neutral lipids 67.9%, glycolipids 19.3% and phospholipids 12.8%, respectively. The main fatty acids of total lipids were palmitic acid (20.5%), palmitoleic acid (16.45) and linolenic acid+eicosenoic acid (15.0%) and linoleic acid(13.1%), the main fatty acids of glycolipids were palmitic acid (41.9%), palmitoleic acid (19.7%) and oleic acid (11.7%), and the main fatty acids of phospholipids were linolenic acid+eicosenoic acid (55.1%), oleic acid (17.3%) and palmitic acid (11.4%). The main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16.0%) and aspartic acid (11.1%).

  • PDF

Antibacterial effect of naturally occurring unsaturated fatty acids from Prunus japonica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 Sultan, Md Zakir;Lee, Ki-Moo;Moon, Surk-Sik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9권1호
    • /
    • pp.90-96
    • /
    • 2009
  • The antibacterial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MeOH extract of seeds of traditional medicinal plant Prunus japonica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linoleic acid and cis-11-eicosenoic acids, and their methyl esters. Linoleic acid inhibited the growth of Propionibacterium acnes, the acne-causing anaerobic bacterium, but cis-11-eicosenoic acid, methyl linoleate, and cis-11-eicosenoate were found to be inactive. Together with isolated linoleic acid, authentic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also tested against P. acnes with other bacteria and fungi. Most of the unsaturated fatty acids possessed anti-acne (MIC $16-128{\mu}g/mL$)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Fatty Acids and Protein Recovery of Squid Viscera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Park, Ji-Yeon;Back, Sung-Sin;Chun, Byung-Soo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206-212
    • /
    • 2006
  •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O_2$) extraction was investigated as a method for protein-sourcing material from squid viscera. To find the optimum conditions, the extraction of squid viscera using $SCO_2$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temperature range from 35 to $45^{\circ}C$ and constant pressure 25 MPa using Hewlett-Packard 7680T. Also from result of SDS-PAGE, the protein denaturation was minimized when using $SCO_2$ extraction. And the major amino acids in the squid viscera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arginine, alanine, glycine, isoleucine, and valine. The main fatty acids from squid viscera were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heneicosanoic acid, palmitoleic acid, elaidic acid, oleic acid, eicosenoic acid, EPA (eicosapentaenoic acid), and DHA (docosahexaenoic acid).

  • PDF

참기름의 특이 성분 함량과 순도 결정에 관한 연구(제2보) (Studies on the Contents of Special Components and Estimation of Purity of Sesame Oil II)

  • 노일협;임미애
    • 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9-176
    • /
    • 1983
  • The verification of genuine sesame oil can be examined by determination of the ratio of fatty acid. Fatty acids were extracted from the saponifiable substance of sesame oils. Fatty acids were methylated with the 14% boron trifluoride methanol solution and injected into a gas chromatograph with Unisole 3000 column and finally determined the molecular weight by mass spectrometry. The fatty acids in laboratory prepared sesame oils were composed mainly of oleic acid 36.7-42.8% and linoleic acid 39.0-46.6%, including palmitic acid 7.9-9.l%, stearic acid 4.1-5.6%, linoleic acid 0.1-3.0%, arachidic acid 0.5-1.0% and eicosenoic acid 0.1-0.5%. The above results allow the estimation of genuine sesame oil, mixed with rape seed oil, soybean oil, perilla oil, etc. In 53 samples, 14 samples were estimated as genuine and it was found that erucic acid was contained in 31 samples, linoeic acid was highly contained in 14, high quantity of linolenic acid was in 7 and palmitic and oleic acid were highly involved in 3.

  • PDF

Fish Oil의 첨가가 한우 거세우의 육성성적, 배최장근의 지방산 조성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sh Oil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Fatty Acid Composition of Longissimus Muscl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Hanwoo Steers)

  • 박병기;신종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51-58
    • /
    • 2007
  • 본 연구는 fish oil의 첨가가 한우거세우의 증체, 배최장근의 지방산 조성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평균체중 440.8±32.4kg의 한우거세우 20두를 공시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fish oil을 첨가하지 않는 FO-0구와 fish oil을 3% 첨가하는 FO-3구의 2처리로 하였다. 총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은 fish oil의 첨가에 관계없이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Fish oil의 첨가는 배최장근의 단백질, 지방 및 회분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배최장근의 isoleucine 및 glycine 함량은 fish oil의 첨가로 감소되었으나(p<0.05), cystein 함량은 증가되었다(p<0.05). Fish oil의 첨가는 배최장근의 myristic acid 및 eicosenoic acid 함량은 감소시켰으나(p<0.05), oleic acid 및 arachidonic acid 함량은 증가시켰다(p<0.05). 또한 배최장근의 EPA 및 DHA 함량은 fish oil의 첨가로 증가되었다(p<0.05). 도체중,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육량지수 및 육량등급은 fish oil의 첨가에 관계없이 두 처리구간에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육색은 fish oil의 첨가로 개선되었으며 (p<0.05), 육질 1등급 이상 출현두수는 fish oil의 첨가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한우거세우에 대한 fish oil의 첨가는 쇠고기의 지방산 중에서 풍미 및 기호성에 관여하는 oleic acid 함량, 인간의 건강과 관련이 있는 EPA 및 DHA 함량 및 육질 1등급 이상 출현두수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 Paclobutrazol이 땅콩의 유분(油分) 및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과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 Growth Retardent Paclobutrazol on the Oil, Protein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eanut(Archis hypogea L.))

  • 이효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50-261
    • /
    • 1989
  • 땅콩에 있어서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 Paclobutrazol 처리(處理)가 품종별(品種別) 처리농도(處理濃度), 처리시기(處理時期)에 따른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조숙품종(早熟品種)인 새들땅콩과 중숙종(中熟種)인 남풍(南豊)땅콩을 공시(供試)하여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유분함량(油分含量)에서는 조숙품종(早熟品種)의 경우(境遇) 처리농도(處理濃度), 시기(時期)에 관계(關係)없이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해 대부분(大部分) 증가(增加) 경향(傾向)이었으며 특(特)히 조숙(早熟) 또는 중숙품종(中熟品種) 파종후(播種後) 90 일(日), 120 ppm 처리시(處理時) 증가효과(增加效果)가 뚜렷하였다. 2.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에서는 조숙품종(早熟品種) 파종후(播種後) 70일 (日) 120ppm 처리시(處理時) 그리고 중숙품종(中熟品種)은 파종후(播種後) 90 일(日) 120 ppm 처리(處理)에서 다소(多少) 증가(增加)되었으나 대체(大體)로는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다. 3.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 처리(處理)에 의(依)한 방산(脂肪酸) 조성(組成) 변화(變化)에 있어서 조숙품종(早熟品種)의 경우(境遇)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인 Palmitic 과 Stearic acid는 모든 처리(處理)에서 감소(減少)되었고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인 Oleic, Linoleic, Eicosenoic, Eicosadienoic acid는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며 현저(顯著)하게 양질방향(良質方向)으로 작용(作用)되었으나 중만생종(中晩生種)에서는 대체(大體)로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인 Palmitic acid 는 크게 증가(增加)한 대신(代身) Oleic acid는 차이(差異)가 없고 Linoleic acid는 감소(減少)하여 품질불량(品質不良) 방향(方向)으로 작용(作用)하였다. 4. 조숙품종(早熟品種)의 유분함량(油分含量),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 그리고 Linoleic acid에서는 처리농도(處理濃度), 시기(時期) 그리고 상호작용(相互作用)에서 1%의 유의성(有意性)이 있으며 중숙품종(中熟品種)의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 그리고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에서 1%, 5%의 통계적(統計的)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