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tty Acid Composition of Serum and Liver in Mice and Sancho(Zanthoxylum schinifolium) Seed Oil

산초유의 지방산 조성과 마우스 혈청 및 간장의 지방산 조성변화

  • Cha, Jae-Young (Division of Biotechnology, Faculty of Natural Resources and Life Science, Dong-A University) ;
  • Shin, Seung-Ryeul (Faculty of Life Resource and Engineering, Kyungsan University) ;
  • Cho, Young-Su (Division of Biotechnology, Faculty of Natural Resources and Life Science, Dong-A University)
  • 차재영 (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생물공학전공) ;
  • 신승렬 (경산대학교 생명자원공학부) ;
  • 조영수 (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생물공학전공)
  • Published : 2000.09.01

Abstract

The major fatty acids in the Zanthoxylum schinifolium seed oil were eicosenoic acid 30.88%, oleic acid 29.94%, linoleic acid 23.55% and palmitic acid 10.52%. Fatty acid profiles in the each lipid fractions by TLC of the Z. schinifolium seed oil showed the highest composition of eicosenoic acid in triglyceride fraction and oleic acid in other fractions. Mice (ddY male strain) being starved for 24 hr were injected into gastric directly 500 mg of the Z. schinifolium seed oil, and then blood samples were obtained 0, 3 and 6 hr after dosing. In our results, eicosenoic acid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erum obtained from 3 and 6 hr after injection of the Z. schinifolium seed oil. In the control mice, however, the serum samples did not exhibited any change of the Z. schinifolium seed oil. Interestingly, eicosenoic aci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iver of 6 hr mice after injection. In conclusion, eicosenoic acid was the major fatty acid in the Z. schinifolium seed oil, and this fatty aci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erum obtained 3 and 6 hr after injection in mice.

산초유 전지질 분획에서 주요 구성지방산 조성은 eicosenoic acid 30.88%, linoleic acid 23.4%, oleic acid 19.94%, palmitic acid 10.52% 순으로 나타났으며, n-9계열 일가불포화지방산이 약 60% 이상을 차지하였다. 또한 산초유의 각 지질 분획의 구성지방산 조성에서는, triglyceride 분획에서 eicosenoic acid가 41.16%로 가장 높았고, 나머지 분획들에서는 oleic acid가 34.32~53.58%로 높게 나타났다. 마우스를 24시간 절식시킨 상태에서 산초유를 마리당 500 mg씩 강제 경구투여 한 후 혈청 및 간장 전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투여전, 투여 3시간 및 6시간 후의 경시적인 변화를 관찰한 결과, 혈청 전지질 중의 eicosenoic acid가 투여 전에는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투여 3시간 및 6시간 후에는 경시적으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간장에서도 산초유 투여 6시간 후에 eicosenoic acid의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다. 따라서, 혈청 및 간장 전지질 중의 eicosenoic acid의 증가는 산초 원료유의 섭취 영향과 지방질 대사과정에서 oleic acid로부터의 전환이 시사되어진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산초유에는 일반 종실유와는 달리 n-9 계열 일가불포화지방산인 eicosenoic acid와 oleic acid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마우스의 혈청 및 간장 전지질 중의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경구투여한 원료유 지방산 섭취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시사되어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