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levels

검색결과 1,280건 처리시간 0.03초

일부 농촌지역 장기요양급여노인들의 인지기능상태와 관련 요인 (Cognitive Function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the Elderly People Affiliated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in Rural Areas)

  • 신은숙;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493-4501
    • /
    • 2011
  •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험급여를 받고 있는 노인들의 장기요양등급에 따른 인지기능상태를 파악해 보고, 인지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는 충청남도 9개 군의 농촌지역에서 장기요양보험 급여를 받고 있는 노인 410명을 대상으로 2009년 3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 하였다. 연구결과, MMSE-K를 사용하여 측정한 전체 조사대상자의 인지기능상태는 확정적 인지기능장애(19점 이하)가 80.5%, 인지기능장애 의심(20~23점)이 11.7%, 확정적 정상(24점 이상)이 7.8%로 나타났다. 조상대상자의 인지기능은 장기요양등급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정도가 낮을수록, 직업이 없는 군, 혼자 산다는 군, 월수입이 낮은 군, 생활비를 자녀가 조달하거나 정부의 보조를 받는다는 군, 귀의 부자유가 있다는 군, 요실금이 있다는 군, 건망증이 있다는 군,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다는 군, 외출을 거의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조사대상자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생활비 조달원, 눈의 부자유 유무, 요실금유무, 건망증유무, 규칙적인 운동 여부 및 장기요양등급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특히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변수들이 인지기능과 높은 관련성이 있었다.

인공지능에 대한 신학생들의 인식 연구와 기독교교육학적 의의 (A Study on Theological Students' Perce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s)

  • 임준섭;함영주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1권
    • /
    • pp.233-262
    • /
    • 2020
  • 현대 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그리스도인과 목회 현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대두된 제 4차 산업 혁명은 교회와 신학 분야에서 다양한 토론을 이끌어 내고 있으며, 특히 인공 지능(AI)은 각계각층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I가 어떻게 교회와 목회 현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양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진은 신학생들의 AI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고 분석한 후, 그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의의를 고찰했다. 한국의 주요 신학교에 재학 중인 220 명의 남녀 신학생들을 대상으로 7 개 하위 영역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했으며, 7 개의 하위 영역에는 AI에 대한 관심도, 사회적 영향력, AI의 대안적 영향 및 AI의 교회에 대한 영향력 등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 신학생들은 AI의 학문적 관련성 또는 AI 교육의 필요성에는 일반적으로 동의하고 있으나, 교회에 대한 AI의 영향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도를 보였다. 이같이 낮은 인식도는 신학생들이 AI가 일반 사회나 교육에는 필수적이고 중요한 부분이라고 인식하지만, 반면 AI가 교회를 크게 위협하거나 지대한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는 그들의 신념을 나타낸다. 이에 대해서 우리는 AI에 대한 신학생들의 인식도를 높이기 위한 기독교교육적대응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기독교세계관의 관점에서 과학 기술과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을 신학교의 교과 과정에 여러 수준으로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브랜드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인식 및 만족도 연구 (A Study on Consumers'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to the Brand Agricultural Products)

  • 김민균;김판진;정기영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6호
    • /
    • pp.45-52
    • /
    • 2016
  •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brand agricultural products targeted at consumers who use a lot of local products. According to the data of 2011, the total number of the brand agricultural products of Korea is 5,291 with various kind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rvey shows that the brand agricultural products are being used by some specific people. However, it can be a useful idea which can help the consumption of brand agricultural products to be expanded if we understand how consumers' recognitions are different between various groups. For an empirical Analysis, the response data of 110 adult patients residing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used and conducted with a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in order to ensure the validity and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Results -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showed consumers with an interest in brand agricultural products are 40-50 age housewives and the middle class of about 5 million won in monthly income more than 3 million won with a college education. As for consumers' purchasing status, all the subjects said that they had experienced buying brand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m was very high. Relatively, consumers' satisfaction level with high income and education is high. And recognition of the brand agricultural products was found mainly goes through word of mouth. The age and income are very important factors in customers' repurchase for brand agricultural products.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influences on brand agricultural products of customer satisfaction suggests even if the recognitions for safety, quality, and value are vital factors, the recognition of quality doesn't influence on brand agricultural product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t was analysed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between recognitions by group to brand agricultural products, that is to say recognition of safety, quality and value and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are all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ir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In the case of 30 or 40 aged, as they got the education level of college and graduate school and earned relatively high income, most customers have positive recognition on the brand agricultural products. This implies the group which can buy and consume the brand agricultural more easily has much more positive recognition.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consumers' brand awareness and satisfaction with brand agricultural products are affected by their age and income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nformation that can help brand agricultural products markets to be expanded by understanding the factors which encourage consumers to behave repurchase as well as customers' various levels of recognition to the brand agricultural products. The survey says that brand agricultural products are being used by some specific people.

불안척도에 의한 대학생의 정신건강 평가 (A Study on Anxiety in College Students)

  • 박병탁;이종범;정성덕;정종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113-122
    • /
    • 1985
  • 영남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남녀 대학생 중 5,869명(남대생 : 3,893명, 여대생 : 1,976명)을 조사 표본으로 Zung의 불안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불안성적의 평균점수는 남대생 $36.92{\pm}7.07$, 여대생 $39.63{\pm}7.51$이며 남녀 대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불안의 항목별 성적은 남녀 공통적 으로 발한, 우려, 안절부절, 불면, 호흡곤란에서 높았으며 이상감각, 정신적 붕괴, 진전, 졸도감, 현훈 등은 낮았다. 그러나 남녀간의 비교에서는 여대생이 더 심하고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었다. 불안성적 분포상 50점 이상인 경우는 남대생의 5.2%, 여대생의 10.2%로 여대생에서 고득점자가 많았다. 남대생에서는 학년이 올라갈 수록 불안성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여대생에서는 기숙사와 기타 형태로 거주하는 경우 및 형제자매가 학비를 부담하는 경우에 불안 성적이 높았다. 남녀 모두 자신의 소속학파나 대학에 불만이 있는 경우 및 과거, 현재, 미래의 자기상이 비관적인 경우에 불안성적이 높았다.

  • PDF

초등수학 도형영역에 제시된 정의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오류 (Teachers' conceptual errors related to the definitions in the area of geometry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최근배;오숙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7권2호
    • /
    • pp.197-219
    • /
    • 2008
  • Unlike ordinary situations, deifinition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mathematics education in schools. Mathematical concepts have been mainly acquired by given definitions. However, according to didactical intentions, mathematics education in schools has employed mathematical concepts and definitions with less strict forms than those in pure mathematics. This research mainly discusses definitions used in geometry (promising) course in primary schools to cope with possibilities of creating misconception due to this didactical transformation. After analyzing problems with potential misconceptions, a survey was conducted $\underline{with}$ 80 primary school teachers in Jeju to investigate their recognitions in meaning of mathematical concepts in geometry and attitudes toward teaching.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y taught their students while they knew well about mathematical definitions in geometry but the respondents sometimes confused mathematical concepts of polygons and circles. Also, they were aware of problems in current mathematics textbooks which have explained figures in small topics (classes). Here, several suggestions are proposed as follows from analyzing teachers' recognitions and researches in mathematical viewpoints of definitions (promising) in geometric figures which have been adopted by current mathematics textbooks in primary schools from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First, when primary school students in their detailed operational stage studying figures, they tend to experience $\underline{a}$ collision between concept images acquired from activities to find out promising and concept images formed through promising. Therefore, a teaching method is required to lessen possibility of misconceptions. That is, there should be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defining conceptual definitions and Images. Second, we need to consider how geometric figures and their elements in primary school textbooks are connected with fundamental terminologies laying the foundation for geometrical definitions and more logical approaches should be adopted. Third, the consistency with studying geometric figures should be considered. Fourth, sorting activities about problems in coined words related to figures and way and time of their introductions should be emphasized. In primary schools mathematics curriculum, geometry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increasing mathematical ways of thoughts. Hence, being introduced by parts from viewpoints of relational understanding should be emphasized more in textbooks and teachers should teach students after restructuring this. Mathematics teachers should help their students not only learn conceptual definitions of geometric figures in their courses well but also advance to rigid mathematical definitions. Therefore, that's why mathematics teachers should know meanings of concepts clearly and accurately.

  • PDF

소외계층 영재의 지능과 자아존중감, 수학적 태도 및 과학적 태도의 관계 (The Relation of Intelligence, Self-esteem, Mathematical Attitudes, and Scientific Attitudes of Gifted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 송경애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1039-1051
    • /
    • 2014
  • 본 연구는 소외계층 영재의 인지적 특성인 지능과 정의적 특성인 자아존중감, 수학적 태도 그리고 과학적 태도 등이 어떠한가, 그리고 이들 변인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써 대학 영재교육원에 다니는 소외계층의 초등 저학년 14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소외계층 영재의 지능은 백분위 85점 수준, 자아존중감 75.6%, 수학적 태도 73.3%, 과학적 태도 71.3% 등의 수준으로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지능의 수준별 자아존중감, 수학적 태도 및 과학적 태도의 차이는 없었으며, 지능과 자아존중감과 수학적 과학적 태도간의 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존중감과 수학적 태도(r=.448, p=.000), 과학적 태도(r=.522, p=.000) 그리고 수학적 태도와 과학적 태도(r=.458, p=.000) 간에는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소외계층의 영재아들이 일반 영재아들보다는 낮으나 잠재적인 영재성은 상당히 높고, 정의적인 요인들 간 관계가 높아 이를 계발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의 제공이 일반아들 보다 더욱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서울 지역 직영 학교 급식의 공급 업체 선정 및 식재료 규격서 사용 실태 조사 (Status of Supplier Selection Status and the Practical Use of Purchase Specifications for Self-operated School Foodservices in the Seoul Area)

  • 류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6-23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oblems related to the purchasing processes of school foodservices that should be corrected for the food service safety, by examining the purchasing processes and the status of supplier selection.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300 dietitians working at self-operated food services. Ninety-eight responses, excluding incomplete answer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survey consisted of three par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foodservice and dietitian, purchasing processes and supplier selection, and the purchase specifications. We found that 84% of the contract was made by informal purchasing, and the contract period was 6 months or one year. For supplier selection, problems related to the document screening systems were the superficiality of the content(45.7%) and the absence or lack of clarity of the appraisal criteria(34.8%). The important factors for the facility and equipment standards of suppliers were included unclear evaluation methods for content(41.1%) and inappropriate appraisal lists(21.1%), while unclear evaluation methods for content(41.9%) and absence or lack of clarity of the appraisal criteria(20.4%) were the problems pertaining to the supplier evaluation checklist. When using the Food Labeling Standards to select suppliers, confirmation of the sell-by date and the storage method had the highest score at 3.85 out of 5. For supplier selection, only 25% of the contract was made by using the purchase specifications. The levels of satisfaction of with Kimchi and rice cakes suppli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mployment type and educational background, respectively. Depending on working experiences,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he use of document screening, as a standard for the selection and management of suppliers, and for the facility and equipment standards of suppliers, The use of purchase specifications was different by employment type, while the use of purchase specifications for contracts was different by working experienc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specialization of suppliers is necessary to unsure food safety. Therefore, the objective methods to evaluate the suppliers should be developed by the government, and appropriate education programs for dietitians should be prepared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purchase specifications.

어머니의 구강보건관리행태가 초등학교 아동의 치아우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ther's Oral Health Care Behaviors on Dental Caries in Primary School Children)

  • 김영남;송윤신;김윤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45-156
    • /
    • 2012
  • Objectives : By analyzing the affects of the mother's oral care to the caries experiences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looking for the way to prevent dental caries in the primary school, to provide baseline data to perform the associated oral health education. Methods : Between the 3,676 children's dental check-up data and the 2,934 survey of parents from 9 elementary schools in the the Gyeonggi Province, the exactly matching data of 2,358 pairs, children versus mothers, were analyzed during the period, 2009 May 4 to July 20, By using the PASW 18(SPSS-PC 18), Frequency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nd cross-analysis, ANOVA, Bonferroni post-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n children, the ratio(DMF rate)of the dental caries experience in permanent teeth, appeared higher for men than women. Divided by grade level, the ratio of caries experience in the permanent teeth(DMF rate) generally appear higher in older than young. Thus between the child's gender and grade level by the ratio of caries experience in the permanent teeth(DMF rate)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2. Between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mothers and the children's level of dental caries experiences, not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3. The significant difference showed between the dental caries levels of the children and the mother's oral health care behavior - a toothbrush replacement period, mother's broken teeth, mothers guidances of the brushing after snacks for children(p<0.05). Conclusions : The mother's oral health attitudes and behaviors can affect to their children's oral care habits. Therefore The mother themselves should have the right proper habit of oral health care, so that in oral health care mothers should be the model for their children. Institutionally more systematic and detailed oral health educational program in conjunction with the family is needed.

테러리즘에 대한 특수경비원의 인식분석 (An Analysis of Special Guards' Perception on Terrorism)

  • 김효준;박헌영;안병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273-285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특수경비업무에 종사하는 경비원들의 테러에 대한 인식과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특수경비원들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설정 편의추출법을 이용하여 특수경비업체의 경비원 4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고,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작성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특수경비원들은 항공기, 고속철도, 지하철, 버스에서 테러가 발생할 것이라는 인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서는 p<.05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테러의 유형별로는 폭탄테러가 일어날 것으로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생화학테러와 요인 인질 테러가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테러의 목적으로는 정치적 목적이 가장 클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념적 목적과 사회적 목적이 그 뒤를 이었다.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테러 우려와 대응은 두 하위변인 모두 여자가 남자보다 테러의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40대 이상이 20대 보다 테러에 대한 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두 하위변인 모두 대졸이상이 고졸이하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지역별로는 대도시가 중소도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용생태공학 교육의 임무와 교과내용 (Task and Curriculum Contents of Applied Ecological Engineering Education)

  • 김정규;이우균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1호
    • /
    • pp.1-11
    • /
    • 2015
  • 자연생태계와 인간사회의 공통적인 이익을 위한 생태공학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응용생태공학회가 설립되어 생태공학 분야의 연구와 기술개발에 기여하고 있는데, 생태공학분야 인력 양성에 필수적인 교육의 목표나 내용은 체계가 잡혀있지 못하다. 2015년 응용생태공학 포럼-'생태공학 교육의 터잡기'에서 생태공학 교육의 국제적 동향과 국내 실정에 대해 발제하고 토의한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생태공학 교육은 인간에 의해 교란된 생태계를 지속가능하도록 복원시킴과 아울러 인간과 생태계의 공동이익을 추구하는 새로운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설계 운영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할 수 있어야 한다. 생태공학이 직면하게 될 세 가지의 도전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인간과 생태계의 공동 이익이라는 목표에서 인간사회와 자연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하는 윤리적 도전, 유관학문 분야는 물론 산업, 정책, 교육, 훈련의 융화를 꾀하는 관계적 도전, 마지막으로 생태학과 공학뿐 아니라 사회과학과 인문과학이 소통하여 융합하는 지적 도전을 극복할 수 있는 교과과정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생태학과 생태공학을 중심으로 하는 핵심교과목의 하위에 자연과학과 공학 기초과목을 두어 학부과정에 편성하고, 상위에 전공학문 별로 심화된 핵심교과목을 두어 대학원과정으로 편성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