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Special Guards' Perception on Terrorism

테러리즘에 대한 특수경비원의 인식분석

  • 김효준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 박헌영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 안병수 (초당대학교 경호비서학과)
  • Received : 2011.10.20
  • Accepted : 2011.11.01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research present actual conditions on realization about safety of observable individual and country, terror countermeasure from danger of terrorism which special guards have. To achieve these purposes, 400 special guards were sampl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collected data through questionnaire from self-administration method. the collected data are in statistics of p<.05 levels. As the result, we drew following conclusions. Special guards thought that terror might occur most in 'aircraft, rapid-transit railway, subway, and bus'. It was no difference in society demography(p>.05). In type of terror, 'bomb terror' seemed to happen most, and they recognized that biochemistry terror and factor terror, and hostage terror may happen in society demography. Purpose of terror was thought that 'political purpose' may be the biggest, and 'ideological purpose' and 'social purpose' joined the remainder. According to society demography, woman's realization about terror was higher than man in two low variables. According to age, image of terror was high in 40 more than 20.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university graduate were higher than a high-school diploma in two low variables. According to place of work, metropolis was higher than small and medium-sized city.

이 연구에서는 특수경비업무에 종사하는 경비원들의 테러에 대한 인식과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특수경비원들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설정 편의추출법을 이용하여 특수경비업체의 경비원 4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고,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작성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특수경비원들은 항공기, 고속철도, 지하철, 버스에서 테러가 발생할 것이라는 인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서는 p<.05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테러의 유형별로는 폭탄테러가 일어날 것으로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생화학테러와 요인 인질 테러가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테러의 목적으로는 정치적 목적이 가장 클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념적 목적과 사회적 목적이 그 뒤를 이었다.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테러 우려와 대응은 두 하위변인 모두 여자가 남자보다 테러의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40대 이상이 20대 보다 테러에 대한 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두 하위변인 모두 대졸이상이 고졸이하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지역별로는 대도시가 중소도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Gurr, T.R. (1971). Why Men Rebel.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Jersey.
  2. 곽병현 (2006). 테러활동 및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북한테러활동을 중심으로. 통국대학교 대학원.
  3. 국방부 (2002). 국제 테러리즘: 21 세기의 새로운 전쟁. 국방부 정책기획국 대외정책과.
  4. 군사세계 (2002). 촘스키 박사가 보는 테러와의 전쟁과 테러를 줄일 수 있는 쉬운 방법. 국방부.
  5. 김성언 (2004). 경찰의 역할변화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6. 김성진 (2010). "특수경비원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경찰연구논집, Vol.7, pp.111-132.
  7. 김열수 (2005). "한국군의 테러대응 활동 정립 방안." 2005 합동교리발전세미나.
  8. 변무흠 (2006). 21세기 테러리즘에 대한 대응방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9. 이대성 (2004). 한국의 테러에 대한 인식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10. 이태윤 (2010). 현대 테러리즘과 국제정치. 한국학술정보. 서울.
  11. 이황우 (2010). 테러리즘. 법문사, 서울.
  12. 정형근 (1992). 국제테러의 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 고려원, 서울.
  13. 최은하, 유영재, 이상빈 (2008). "특수경비원의 교육훈련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Vol.16, pp.1-13.
  14. 최진태 (2006). 테러리즘의 이론과 실제. 대영문화사, 서울.
  15. 한남수 (2002). 21세기 국제테러리즘의 추이와 대응체제 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행정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