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theory

검색결과 3,306건 처리시간 0.025초

언플러그드 컴퓨팅을 이용한 예비교사의 정보교육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Information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 using Unplugged Computing)

  • 한희섭;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3-30
    • /
    • 2009
  • 이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인지심리학의 개념습득 이론 중 원형이론과 본보기 이론의 상호보완을 통하여 정보교육의 필요성과 개념을 습득하도록 하였다. 또한 언플러그드형 수업사례 시연활동을 통하여 컴퓨터과학에 관한 지식이 부족한 학습자들에게 교수-학습 설계능력을 향상시키고, 컴퓨터과학의 개념과 원리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비교사들에게 적용해본 결과 효과성이 높은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Mathematics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in Korea

  • Shin, Hyunyong;Han, Inki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4권2호
    • /
    • pp.79-9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gifted education of mathematics in Korea. We first discuss what is going on in Korea for mathematics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The curriculums for the institutes for gifted education are mentioned. Some focus of this article is proposing some teaching materials that are actively utilizing many basic concents of cryptography and super-string theory, along with careful use of calculators and computers. Many of the materials haven been designed with problem-posing approach on through invoking the cognitive conflict.

  • PDF

실행 과정에서의 정체성 이론의 이해와 적용 방안 (Understanding and Applicability of Identity-in-practice Theory)

  • 김종욱;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67-281
    • /
    • 2021
  • 참여로서의 학습에 대한 관점의 전환은 실행 과정에서의 학습자의 정체성 변화 및 발달(identity world, 정체성 작업)에 관심을 두게 한다. 본 연구는 정체성의 지속적이고 유동적인 과정에 관심을 두며, 그에 따라 정체성 작업이 일어나는 학습자를 둘러싼 구조와 그 구조 속에서 개인의 행위 및 행위력의 발현에 초점을 둔다. 이러한 관점에서 구조, 행위력, 정체성을 변증법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도구로써 Holland et al.(1998)의 실행 과정에서의 정체성(identity-in-practice) 이론을 소개한다. 이 이론을 대표하는 개념은 '인식된 세계', '위치성', '자아 저술'이다. '인식된 세계'는 인간의 행위에 의해 지속적으로 재구성되는 의미의 그물망이자 동시에 인간의 행위를 조각하는 사회적 힘으로 이해되며, '위치성'은 이 세계 속에서 자신의 사회적 위치에 대한 이해를 의미한다. '자아 저술'은 위 두 개념을 종합하는 차원으로서 개인은 인식된 세계 속에서 실행을 통해 다양한 사회적 목소리를 협연하여 자아를 스스로 형성해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본 연구는 이 개념을 바탕으로 과학 교육의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이 이론의 다양한 활용 사례를 기술했다. 그러나 사회문화적 접근을 취하는 이 이론의 특성상 해외 연구 사례가 단순히 우리에게도 적용될 수 없기에, 국내 상황에서 본 이론이 활용될 수 있는 방향을 논의하여 방법론적 도구로서 이 이론의 적용가능성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다층적이고 지속적이며 누적적인 정체성 작업을 강조하는 본 이론의 도입이 시대적으로 요구되는 과학 교육 개혁의 지평을 넓히는 자원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n Approach to Generate A Theory of Coordination for Multi-Agent Systems

  • Kim, Eun G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4권3호
    • /
    • pp.277-282
    • /
    • 2004
  • This paper outlines our approach and the underlying design principles aimed at the generation of a theory of coordination. Such theory would assist in designing new Multi-Agent Systems(MAS) and provide trouble-shooting tools for suboptimally functioning MAS. This paper also describes the decisions that have been made in this endeavor. We have been able to show via a simplified model that approach is feasible and can produce results.

MIXED MULTIPLICITIES OF MAXIMAL DEGREES

  • Thanh, Truong Thi Hong;Viet, Duong Quoc
    • 대한수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605-622
    • /
    • 2018
  • The original mixed multiplicity theory considered the class of mixed multiplicities concerning the terms of highest total degree in the Hilbert polynomial. This paper defines a broader class of mixed multiplicities that concern the maximal terms in this polynomial, and gives many results, which are not only general but also more natural than many results in the original mixed multiplicity theory.

수학교과교육학 및 교과내용학 강좌의 대면 및 비대면 운영 결과 비교 분석 (Analysis of the Results between On-Line and Face-to-Face Classes in 'Calculus' & 'Mathematical Education Theory')

  • 서보억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2호
    • /
    • pp.257-273
    • /
    • 2021
  • 본 연구는 예비수학교사 대상의 수학교육론과 미적분학 강좌를 비대면수업으로 진행한 결과와 대면수업으로 진행한 결과 사이의 차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수학교육론' 및 '미적분학' 강좌의 비대면수업은 '비대면수업 수업설계 모형'에 근거하여 계획, 개발, 실행되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학교과교육학 및 수학교과내용학 강좌운영에서 '비대면수업/혼합수업'과 '대면수업'의 차이가 무엇인지 살펴보았고, 수학교과교육학 과목과 수학교과내용학 과목에 대한 비대면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수학교육론' 강좌와 '미적분학' 강좌에서 비대면수업과 대면수업에서 평가결과의 차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향후 예비수학교사교육에서 비대면수업 및 혼합수업 역량이 향상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길 기대한다.

노인치위생학 교육과정에 따른 교육효과 분석을 위한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of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Geriatric Dental Hygiene Curriculum)

  • 최용금;임희정;윤지혜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1-63
    • /
    • 2023
  • 연구배경: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증가하는 노인인구에 대한 적절한 구강관리 중재자로서 치과위생사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노인구강보건전문가로서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예비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노인치과학과 노인치위생학 및 실습으로 개설된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 마지막 주차에 설문을 수행하였다. 이론위주의 문제해결기반(PBL)교육과정과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PBL교육과정의 교육효과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학기 말에 학생들의 전공역량달성도, 노인치위생 과정에 대한 인식, 수업만족도, 연령차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공역량달성도의 경우 이론 위주의 PBL교육보다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PBL교육에서 '의사소통역량'이 유의미하게 높았다(p=0.038). 연령주의의 경우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PBL교육에서 '노인을 기피하는 경향'이 유의미하게 낮았다(p=0.040). 수업만족도의 경우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PBL교육에서 '수업분위기'가 '매우 높음'으로 응답한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p=0.025). 결론: PBL 교수법은 노인치위생 교육과정으로 유용한 교수법이며, 이론위주의 교육보다는 노인치위생 실습교육을 함께 운영하는 교육과정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바이오필릭 디자인 기반 교실 디자인 설계 (A Classroom Design Plan based on the Biophilic-Design)

  • 최주영;박성준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15-23
    • /
    • 2019
  •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Biophilic classroom design of high school to obtain attention restoration for students. The learning space for youth in the modern society is composed of dry artificial structures. This space is considered to be a space that can not relieve stress caused by learning. "The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is divided into "Directed Attention" of humans, which is the cause of fatigue and stress, and "Involuntary Attention" as a solution to it. "Involuntary Attention" takes place in a rest state and helps the brain recover when exposed to nature. And the core of "Biophilic-Design Theory" is that humans can recover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s when exposed to n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Biophilic-Design Theory"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xposure to nature to the educational space and plan the space where the 'Attention Restoration' can be achieved.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irst, we review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Biophilic-Design Theory" and "The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Second, we analyze the application examples of "The Biophilic-Design Theory" and "The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in domestic and foreign educational spaces. Third, the concept of educational space is set up based on the element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Finally, we propose the planning direction of classroom design based on Biophilic-Desig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creation of the education space to restore the learner's attention requires a visual space plan that utilizes natural elements such as natural light, artificial light, plants, and natural materials that can directly experience nature. Second, the direction in which students in the classroom can be "The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should consider the use of indirect natural elements that bring the surrounding natural landscape into the interior.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baseline data for the spatial design and planning of education facilities based on Biophilic-Design.

대학생의 진로교육을 위한 웹기반 사이버강의 콘텐츠 개발 및 효과검증 (The Study on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Web-based Cyber Class Contents for University Student's Career Education)

  • 한미희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3권2호
    • /
    • pp.225-23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yber class contents on website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reinforce a career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 in this study are from Namseoul University who took the cyber class 'Self management and creation of vision.' of the second semester in 2015. They took the class fifty-sixty minutes a week. The control group also includes the students who took the classes 'Theory and practice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Youth Education theor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areer education, the data processing in performing this study utilized t-test for homogeneity with the effective variable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and the result was proved by using paired t-test.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experiment group significantly shows improvem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the view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refore we recognize that the web based cyber course has its effect on content development and career education and we anticipate the continuous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effective cyber education on website for university students in future.

창업·취업교육이 대학생의 창업·취업의도 영향요인에 미치는 효과 (Entrepreneurial·Job Search Education's Effects on the Antecedents of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Job Search Intention)

  • 김성우;강민형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4호
    • /
    • pp.47-59
    • /
    • 2016
  • This paper explores antecedents of entrepreneurial and job search intention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dditionally, it examines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and job search education on these antecedents of entrepreneurial and job search intentions. The research model has been validated by analyzing 1,432 responses from undergraduate students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analysis provide several findings: First, entrepreneurship attitude, entrepreneurship subjective norm, and entrepreneurship self efficac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but their effects on job search intention were insignificant. Second, while job search attitud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both intentions, job search subjective norm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job search intention, and job search self 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creased all the antecede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reduced job search attitude. These results imply that entrepreneurship and job search education should be managed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ir cross-effects on the antecedents of entrepreneurial and job search inten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