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satisfaction

검색결과 6,149건 처리시간 0.039초

여자 중학생들의 체형 만족도에 따른 비만 스트레스, 체중 조절 태도, 식이장애 정도 비교 (The Effects of Body Image Satisfaction on Obesity Stress, Weight Control Attitudes, and Eating Disorders among Femal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 김지연;손세진;이지은;김정현;정인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9-59
    • /
    • 2009
  • 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ody weight and body image perception on body image satisfaction of femal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We further examined if body image satisfaction was related to obesity stress, weight control attitudes. From the 327 students surveyed, 6.1% were overweight and 38.8% of subjects were underweight. Over half of the subjects (54.4%) considered themselves to be more fat than their actual body shape. This manifested itself in low body satisfaction. Subjects less satisfied with their body shape suffered from high stress about obesity, were much more interested in weight control programs, and had more experience in weight control attempts. Among the subjects with low body image satisfaction, 25.7 % of them had eating disorder. It is our suggestion that school curriculum should include proper nutritional programmes to help students correctly recognize their body shape and to maintain healthy weight.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만족도가 전이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학교안전 인식의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ministrators' Safety Education Satisfaction on Transition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School Safety Awareness)

  • 채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4호
    • /
    • pp.152-162
    • /
    • 2019
  • 본 연구는 학교 안전관리자의 인식이 학교안전의 전이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학교 안전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전이의도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는 내용만족도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강사만족도, 환경에 대한 만족도 순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교 안전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은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만족도와 학교안전 전이의도의 관계의 매개효과가 존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교육신념과 직무만족 (Educational Belief and Their Job Satisfaction of Day-Care Teachers)

  • 임옥희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1-11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overall educational belief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of day-care teachers. The subject of this were 112 day-care teachers in the Jeonbuk area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aries and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s of frequencies, percentages, a Chi-square, ANOVA with SPSS pc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As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at what is the educational belief of the day-care theacher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academic background, the type of license, and the type of day-care centers\ulcorner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eacher's job satisfaction of day-care teachers according to teachers education belief\ulcorne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t difference in the teacher's educational belief of day-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academic background, the type of license, and the type of day-care centers in the Jeonbuk province. 2. Day-care teachers who have maturationism education belief was more than behaviorism education belief and interactionism education belief. 3. In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belief of day-care teachers and job satisfaction of day-care teachers, the teacher who has interactionism, maturationism educationa belief has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the teacher who has behaviorism educational belief.

  • PDF

직업훈련 부정 예방교육 만족도 조사와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Plan of Fraud Prevention Education about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 정선정;이은혜;이문수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5호
    • /
    • pp.25-53
    • /
    • 2018
  • 이 연구는 직업훈련 부정 예방교육(이하 '예방교육')에 참여한 훈련기관 관계자의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집합교육과 이러닝으로 실시하는 예방교육에 참여한 훈련기관 관계자를 대상으로(5,939명)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4,263명). 최종적으로 회수된 유효 응답자료(4,237명)를 기술통계 및 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훈련기관 관계자가 인식한 교육서비스 품질(4.42)과 만족도(4.44), 이해도(4.44) 및 도움도(4.45)는 모두 매우 높고, 교육서비스 품질을 구성하는 하위요인도 4점 이상으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방법별 교육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이해도 및 도움도는 집합교육에 비해 이러닝으로 참여한 훈련기관 관계자의 인식도가 모든 변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예방교육 서비스 품질 하위요인 모두는 집합교육과 이러닝에서 각각 만족도, 이해도, 도움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교육서비스 품질 하위요인 중에서 만족도, 이해도, 도움도에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집합교육에서는 교육내용이, 이러닝에서는 자료구성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방교육에서 추가적으로 희망하는 교육내용은 부정훈련 사례(70.7%), 처분규정(47.9%), NCS과정 운영 유의사항(32.8%), 훈련운영 우수사례(32.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추가 요구사항에서도 심화과정 개설, 훈련생 대상 부정 예방교육 콘텐츠 제공, 이러닝에서 집중할 수 있는 화면전환 및 시스템 안정성 등이 추가적으로 제기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제언으로는 첫째, 집합교육에 비해 이러닝의 만족도 등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을 반영하여, 예방교육 이러닝을 보다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예방교육 만족도와 이해도 및 도움도에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주고, 희망사항 및 기타의견에서도 교육내용에 대한 보완이 제시되고 있어, 예방교육 내용을 다양화 하여 보다 풍부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집합교육에서 교육내용 다음으로 만족도 등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달방법과 교육장소로 나타난 바, 전달력이 뛰어난 강사 배정과 편의성 등을 고려한 교육장소 마련이 필요가 있다. 넷째, 이러닝에서 자료구성 다음으로 이해도와 도움도에 공통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운영자지원으로 나타난 바, 보다 활발한 운영자 지원활동이 요구된다. 다섯째, 직업훈련에 참여하는 훈련생을 대상으로 한 부정훈련 예방활동도 요구되며, 여섯째, 예방교육의 내용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교육 요구도 분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치과위생사의 보수교육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continuing education in the dental hygienists)

  • 박지은;강부월;김예슬;이선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99-506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continuing education in the dental hygienis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900 dental hygienists in Seoul and Gyeonggido in continuing education 2015.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7 items), continuing education requirements (6 items), and continuing education evaluation (9 items). Cronbach's alpha was 0.859 i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0.901 in satisfaction. Likert five point scale was us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2.0 program. Results: The priorities of the contents were as follows; patient care and counseling(49.0%), the latest information and technology(43.9%), middle management roles(23.3%), health care management(17.6%), and lecture studies(4.4%) in order by multiple responses survey. The favorite instructors were specialized dental hygienist(52.3%). The ideal pay for education fee was 50 percent supported by the institution. The best official announcement of education was e-mail.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education was 4.45 points and was focused on the education completion issue. The lowest score was 2.77 of development of human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nts. The choice for instructor was 3.43 and the lowest score was 2.49 of education fee. Overall satisfaction score was 3.04. Conclusions: Diversification of the continuing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education methods and to train the dental hygiene specialists for the education.

공무원 직무 전문교육 만족도 예측을 위한 딥러닝 기반 회귀 모델 설계 (A Deep Learning-based Regression Model for Predicting Government Officer Education Satisfaction)

  • 오수민;윤성연;박민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5호
    • /
    • pp.667-671
    • /
    • 2024
  • 공직자로서의 바람직한 가치관 확립과 공직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공무원의 직무 전문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만족도 높은 맞춤형 직무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연구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교육 내용을 활용하여 만족도를 예측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 내용을 함께 고려해 공무원 직무 전문교육 만족도를 예측하는 딥러닝(Deep Learning)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공무원 전문 교육과정 정보데이터를 활용한다. 우선 문자형으로 수집된 변수인 교육 대상, 교육 구분, 교육 형태를 원-핫 인코딩(One-hot Encoding)으로 카테고리화(Categorized)한다. 교육을 통해 학습할 수 있는 내용이 문자형으로 저장된 교육 내용을 TF-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으로 수치화한다. 이를 딥러닝 기반의 회귀 모델로 학습하고, 10-겹 교차 검증(10-Fold Cross Validation)으로 모델의 성능을 검증한다. 본 연구의 제안 모델은 테스트 데이터에서 99.87%의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인다. 향후 본 연구를 고려한 맞춤형 교육 추천은 교육 대상에 최적화된 교육을 제공 및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 (Literacy learner's satisfaction revel and effects on Learning consistence)

  • 양복이;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173-180
    • /
    • 2018
  • 본 연구는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울산광역시의 문해교육 학습자 20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만족도를 하위변인으로 살펴보면 학습환경에서 가장 높았고 교육강사, 학습결과, 학습내용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서는 학습참여가 길수록 학습내용과 학습결과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둘째, 문해교육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이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성별은 차이가 없었으나, 70세 이상의 연령에서 학습지속의 높은 의사표시를 나타냈다. 셋째,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학습내용, 교육강사, 학습결과, 학습환경 순으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을 종합한 결과, 문해교육 학습자는 나이가 많고 학습참여가 길수록 학습만족도가 높았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경우 학습지속이 높았으며, 문해교육 학습자가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은 학습 내용임이 분석되었다.

HR 부서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교육훈련 기회 제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HR 부서의 의사소통 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mployees' Perceived Expertise about HR Department on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The Moderating Role of HR Department's Communication Activities)

  • 이정우;채희선;박지성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1호
    • /
    • pp.125-139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how employees' perception of HR department expertise affect their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Moreover, this study explores that the HR department's communication activities moderate the main effects between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predict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ptions of HR department expertise and their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Furthermore, the HR department's communication activities will strengthen this positive relationship. To test these hypotheses, this study used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datasets, especially individual-level 2017 data. The final number of samples is 1,947 for the analyses. In addition, this study utilized a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with SPSS program. Finding - The results analyzed with the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the perceptions of HR department expertis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of provided educational and training. In addition, the HR department's communication activitie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HR department expertise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sugges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filed by clarifying the critical factors to increase employees' satisfaction and transferability of education and training.

중등학교 학부모, 교사, 학생의 교복만족도 (A Study on the Parents, Teachers, and Students′ Middle and High School Uniform Satisfaction)

  • 김용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2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school uniform satiafaction factors and to compare Parents. teachers. and students' middle and high school uniform satisfaction. Respondents were middle and high school par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honbuk province and data was collected during March, 2002. Frequencies. percentages. and mean were calculated. ANOVA. Chi-square test. reliability test were do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chool uniform satisfaction was composed of 5 factors of symbolism. design. management and comfort. durability and economy. and fitness. The satisfaction level of symbolism was the highest. and the management and comfort was the lowest. 2. The school uniform satisfaction level was relatively low. Teacher's school uniform satisfaction level was the highest. and students' satisfaction level was the lowest. The parents' satisfaction level of management and comfort. durability and economy. and fitness were the highest. and the teachers' satisfaction level of symbolism and design were the highest. 3. The parents and teachers' satisfaction level of symbolism and students'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uniform design were higher under the strict school regulation on school uniform. Parents. teachers and students who agreed to the school uniform Policy showed higher school uniform satisfaction.

  • PDF

문화예술교육 참여자의 교육성과 평가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 (Association between Outcome Evaluation and Satisfa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 윤니나;박조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597-605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정부 지원 사회 문화예술교육 중 시민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교육성과 평가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설문조사의 원데이터를 2차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교육성과 평가는 교육내용, 교육운영, 교육자원의 3개 요인으로 구성됨이 밝혀졌으며 이들 교육성과 평가요인들은 모두 교육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문화예술교육 경험 유무, 참여 형태(단독/동반)를 기준으로 나눈 집단별 분석에서는 각 집단별로 요인별 영향력이 상이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구체적 방안이 논의되었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아이디어가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