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Plan of Fraud Prevention Education about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직업훈련 부정 예방교육 만족도 조사와 개선방안 연구

  • 정선정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직업능력심사평가원) ;
  • 이은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직업능력심사평가원) ;
  • 이문수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직업능력심사평가원)
  • Received : 2018.07.19
  • Accepted : 2018.10.19
  • Published : 2018.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rovement plan through the satisfaction survey of the trainees involved in vocational training fraud preventive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we conducted a satisfaction survey(4,263 persons) of 5,939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revention education conducted by group education or e-learning in 2017. Finally we collected 4,237 effective responses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 service quality(4.42), satisfaction level(4.44), understanding level(4.44) and help level(4.45)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articipants in the preventive education 4 and above. Second, e-learning participants' perceived level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comprehension, and help was higher in all variables than collective education's. Third, all of the sub-factors of preventive education service quality influenced satisfaction, understanding, and help in collective education and e-learning, respectively. In the collective education, the contents of educat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and in e-learning, the data composit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Fourth, desirable education contents were cases of fraud training(70.7%), disposition regulations(47.9%), NCS course operation instructions(32.8%) and training management best practices(32.4%). Additional requirements also included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th course, the provision of anti-fraud education content for trainees, and screen switching and system stability that can be focused on e-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ate e-learning for prevention education more, reflecting satisfaction of e-learning is higher than that of collective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content of preventive education and to provide it more abundantly, because it has the biggest influence in common with the satisfaction, understanding and help level of the preventive education. Third, education content next, the factors that have a relatively big influence on satisfaction are shown as delivery method and education place in the collective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education place considering the assignment of instructor and convenience. Fourth, constructing data next, the factor that have a relatively great influence on understanding and help are found to be operator support, and more active operator support activities are required in e-learning. Fifth, it is required to delivery prevention activity for trainees participating in vocational training. Sixth,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 to construct the contents of preventive education more systematically.

이 연구는 직업훈련 부정 예방교육(이하 '예방교육')에 참여한 훈련기관 관계자의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집합교육과 이러닝으로 실시하는 예방교육에 참여한 훈련기관 관계자를 대상으로(5,939명)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4,263명). 최종적으로 회수된 유효 응답자료(4,237명)를 기술통계 및 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훈련기관 관계자가 인식한 교육서비스 품질(4.42)과 만족도(4.44), 이해도(4.44) 및 도움도(4.45)는 모두 매우 높고, 교육서비스 품질을 구성하는 하위요인도 4점 이상으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방법별 교육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이해도 및 도움도는 집합교육에 비해 이러닝으로 참여한 훈련기관 관계자의 인식도가 모든 변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예방교육 서비스 품질 하위요인 모두는 집합교육과 이러닝에서 각각 만족도, 이해도, 도움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교육서비스 품질 하위요인 중에서 만족도, 이해도, 도움도에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집합교육에서는 교육내용이, 이러닝에서는 자료구성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방교육에서 추가적으로 희망하는 교육내용은 부정훈련 사례(70.7%), 처분규정(47.9%), NCS과정 운영 유의사항(32.8%), 훈련운영 우수사례(32.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추가 요구사항에서도 심화과정 개설, 훈련생 대상 부정 예방교육 콘텐츠 제공, 이러닝에서 집중할 수 있는 화면전환 및 시스템 안정성 등이 추가적으로 제기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제언으로는 첫째, 집합교육에 비해 이러닝의 만족도 등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을 반영하여, 예방교육 이러닝을 보다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예방교육 만족도와 이해도 및 도움도에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주고, 희망사항 및 기타의견에서도 교육내용에 대한 보완이 제시되고 있어, 예방교육 내용을 다양화 하여 보다 풍부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집합교육에서 교육내용 다음으로 만족도 등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달방법과 교육장소로 나타난 바, 전달력이 뛰어난 강사 배정과 편의성 등을 고려한 교육장소 마련이 필요가 있다. 넷째, 이러닝에서 자료구성 다음으로 이해도와 도움도에 공통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운영자지원으로 나타난 바, 보다 활발한 운영자 지원활동이 요구된다. 다섯째, 직업훈련에 참여하는 훈련생을 대상으로 한 부정훈련 예방활동도 요구되며, 여섯째, 예방교육의 내용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교육 요구도 분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