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contents consideration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31초

지역화시대의 지역지리 교육내용 구성 방안연구 - 화천지역을 사례로 - (The Study of Plans to Construct the Content of Regional Geography for Regionalization - Centered on Hwacheon Area as a Studying Case -)

  • 최홍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95-40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세계화의 조류 속에서 지역화의 조류도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는 현실을 지리교육에 반영하고자 국가 교육과정의 운영과 편성의 자율화에 대한 의미와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국가 교육과정의 자율화와 지리교육의 지역화에 따른 새로운 지리교육 학습내용 선정과 구성 및 교수 학습을 하기 위한 사례지역으로서 화천지역을 대상으로 적용해 보았다. 지리적인 사실을 단순히 학습내용으로 구성하기보다는 지리교육적인 관점에서 학령수준에 맞게 내용을 재구성하여 현재 초 중학교에서 제작 운영하고 있는 지역교과서의 차원에서 지역학습을 해야만 한다. 학습 내용도 일상생활이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자들의 생활공간을 대상으로 하여 구성되어야만 하겠다. 아울러 학습 지역의 규모에 따른 교수 학습 방법도 고려되어야 함으로 본 연구에서는 생활권 범위내의 일상적인 사실을 중심으로 한 소규모지역을 학습 내용으로 하였기에 야외조사 학습방법을 중심으로 하였다.

  • PDF

온라인교육을 위한 학습이론과 멀티미디어 표현기법의 선택에 관한 연구 -CAI의 형태에 따른 적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election of Learning Theories and Representation Techniques for Online Education -with an Emphasis on Application of Guideline to CAI-)

  • 김소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113-12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와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 교육환경에서, 온라인교육을 위한 학습이론과 멀티미디어 표현기법을 선택하는 과정을 도울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진행은 객관주의와 구성주의, 두가지 교육이론의 고찰과 멀티미디어표현의 특성분석을 통하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이를 CAI 각 형태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객관주의와 구성주의는 CAI의 기초 환경구성의 토대가 되며, 객관주의는 고정적, 순차적, 구조적, 수동적인 학습에, 구성주의는 자율적, 선택적, 비구조적, 능동적인 학습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CAI에 활용되는 멀티미디어요소의 표현을 위한 기준을 선정하기 위한 요소로는 미디어의 특성, 학습자의 특성(인지모델, 숙련도, 수용성), 그리고 컨텐츠의 특성을 고려하였다. 이 과정에서 선정된 기준을 바탕으로 현재 활용되고 있는 CAI의 6가지 형태에 대하여 이를 구성하는데 가장 적합한 교육이론, 효과적인 미디어, 학습자 수준, 학습컨텐츠의 종류 및 특성을 분류하였다.

  • PDF

존 듀이 의식이론의 교육적 의미 탐구 (A Study on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Consciousness Theory of John Dewey)

  • 이병승
    • 교육철학
    • /
    • 제39호
    • /
    • pp.191-221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of elements and structure of consciousness theory in the 1887 Psychology written by John Dewey, and to research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consciousness theory articulated in first edition of Dewey's Psychology was influenced by neo-Hegelian G. S. Hall, and then characteristics of its theory was metaphysical and idealistic. But after of researching the work of William James, his approach to consciousness changed surprisingly from idealistic to experimental. His experimental approach and scientific attitude to it influenc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dvanced theories in his epistemology, axiology and pedagogy. Secondly,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expressed by Dewey has three forms such as knowledge, feeling and will(or volition). This forms are too dynamic and unitary. Dewey considered cognition, feeling, will to be integral functions of each self. The tripartite functions of self, moreover, are unified in will. In other word, will combines subjective feeling and objective knowledge as one self. Will regulates impulse because it powers some stimulus into activity of self. In this view point, his theory of consciousness differs from traditional theories about consciousness for emphasizing dynamic relations and functions. Thirdly, Dewey's theory of consciousness will give some important implications to educational field. It is necessary to fundamental arguments about conscious conditions of learners as a human. For it is impossible to establish some aim of learning, to organize meaningful contents of learning, and also to create some effective methods of learning without consideration of this conditions. And it is important to construct and organiz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learning for widening and deepening of educational experiences. Then consciousness and experiences of learners interact each other, so then they will produce some meaningful results of learning in this process.

초등학교 성교육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stematizing Contents of Sex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서동오;박영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5-10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 of use for the preparation of more desirable sex education system at elementary school, by making content analysis of the current textbooks related to sex education and surveying what opinions the persons concerned had about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ere analyzed to find out what kind of sex education was included in them. And questionnaires on how to improve school sex education content were prepared, by which 207 male and female teachers were surveyed in the city of Paju and Koyang, Kyonggi province.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Content Analysis of Textbook Sex Education The content related to sex education was relatively much included in textbooks of the right life, morality and physical education. Although morality was a subject to be instructed for the third-grade students or old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rtually received sex education from the first grade, as the right life and the joyful life were a subject for the lower-grade students, and this met the goal of sex education or the need of the times. However, sex education content leaned heavily toward family, family life or parental love. There was no mutual complement among subjects, and no link among grades, either. 2. Teacher Opinion on Sex Education Content for Each Grade When the subjects were asked about if sex education content was appropriate for each grade, they answered 20 items should be more emphasized and 6 items might be left out. And there were 6 items regarded by them as one that should be rearranged in consideration of grade. 3. The Ideal Opinion of Sex Education Content The following model could be recommended for elementary school sex education, which was designed to meet the objectives of school sex education as much as possible and to offer a systematic link among grades, based on the findings by textbook analysis and Questionnaire survey, and on elementary school sex education materials recomme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content selected for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was my body, cleanness of genitals, male-female cooperation, and family cooperation. For the second grade, the selected content was male-female physical difference, male female psychological difference, parental and I(origin of a birth). For the third grade, the selected things were important a body(cleanness of genitals), birth of a life, and male-female comprehension and cooperation. For the fourth grade, the selected things were physical development, management of genitals, physiology and management of menstruation, propagation and growth of organism, concern for the other sex, comprehension of and cooperation with the other sex, and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Four the fifth grade, the selected things were secondary sex characteristic, physiology and management of menstruation, operation for phimosis, understanding of seminal emission,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genital organs, birth and growth of a baby, television/sex information, and mass communications/sex information. For the sixth grade, the selected things were secondary sex characteristic, understanding of seminal emission, male-female cooperation, male and female role, male-female manners, mass communications/sex information, family and family life. Finally, what should be taught in sex education must be studied constantly, as it should be revised or supplemented periodically, according to student's sexual maturity or social, cultural changes.

  • PDF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정교과에서의 도덕성 교육에 대한 중요도와 지도수행 정도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the Level of Teaching Performance regarding the Contents of Morali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 Instruction)

  • 조미옥;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57-27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교육에서의 도덕성 교육 실태, 도덕성 교육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지도 수행 정도를 조사함으로써 가정교과에서 도덕성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중학교에 재직하는 가정과교사이며 전국을 대상으로 체계적 무선표집 방법에 의해서 선정되었다. 자료는 우편을 통하여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실시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고과의 전 단원과 연계하여 도덕성 교육을 수시로 실시하고 있었으며, '나와 가족의 이해'처럼 구체적으로 가족생활을 다루고 있는 단원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도덕성교육을 담당해야 하는 중추적 기관을 가정(家庭)과 학교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도덕성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학생의 이해와 부모들의 협조, 가정교과에서 도덕성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변화가 시급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도덕성 교육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지도 수행 정도에 있어 전반적으로 높은 인식수준을 보여주고 있었다. 중요도에서는 경로효친을 지도 수행 정도에서는 책임${\cdot}$협동을 최우선 순위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정직의 덕목에서 중요도와 지도 수행 정도 간 차이가 많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볼 때, 가정과 교사들은 가정교과에서 도덕성 교육을 중요하게 여기고 지도 수행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수부족, 자료부족, 도덕성 교육에 대한 방법과 지식을 잘 모른다는 의견과, 교사의 인식변화가 도덕성 교육 활성화를 위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따라서 관련 학습자료 개발과 함께 대학의 교육 과정과 현장 교사의 재교육 시 도덕성 교육이 반드시 반영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시설경비조직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문화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Private Facility Security Guards)

  • 강민완;김효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89-403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시설경비조직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문화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10년 6월 서울소재 4개소 민간경비회사의 시설경비원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판단표집법을 이용하여 최종분석에 이용된 사례 수는 총 343명을 추출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이 .691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경비조직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친다. 즉, 교육훈련, 보상, 요원화, 경력개발이 활성화되면, 위계적, 개발적, 합의적, 합리적 문화는 촉진된다. 둘째, 시설경비조직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즉, 교육훈련, 요원화, 경력개발이 활성화 되면, 배려 이타주의, 참여적, 양심적, 신사적 행동은 촉진된다. 반면,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배려 이타주의, 참여적 행동은 감소한다. 셋째, 시설경비조직의 조직문화는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즉, 위계적, 개발적, 합의적, 합리적 문화가 형성 되면, 배려 이타주의, 참여적, 양심적, 신사적 행동은 촉진된다.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Blended Action Learning Program on the Self Directed Learning Skills)

  • 김연철;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58-671
    • /
    • 2015
  • 본 연구는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D 대학의 사범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0명을 구성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의 평균연령은 22.3세이며, 2-4학년 재학생으로 인구통계학적 배경은 비교적 동질적이다. 교육사회학(교직과목) 수업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는 학기 초에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사전 검사하였다. 이후에 실험집단은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으로 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액션러닝프로그램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기가 종료되는 시기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전 검사 점수를 고려하여 집단 간 사후 검사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액션러닝프로그램 보다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경험적 수준이 낮은 학습자 대상의 수업에서는 액션러닝프로그램 보다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원 관리와 학습전략 활용 측면에서는 액션러닝프로그램과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 공히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볼 때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방법 중 전통적 집단강의보다 학습자들의 참여 및 실천학습 방법인 액션러닝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교수방법이지만, 대학생들의 지적, 경험적 측면의 초보적 수준을 고려할 때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의 적극적 활용이 요구된다.

만 5세 대상 놀이중심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분석 (The Perception and Needs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Development of a Play-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for 5-Year-Olds)

  • 박지은;홍미선;조정원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39-59
    • /
    • 2022
  • 본 논문은 만 5세 대상 인공지능(AI)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AI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사항들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ADDIE 모형의 1단계인 분석단계를 중심으로 AI 교육의 교육적 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만 5세 대상 AI 교육은 놀이로서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유아교육 내용과 AI를 융합한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한다. 둘째, 교사의 성찰을 반영할 수 있는 AI 교육의 평가도구가 체계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놀이중심의 AI 교육환경 지원 및 유아교사 대상 교육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비교과 교육과정의 AI 교육 등을 고려하여 지속해서 유아교육 현장에서 운영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향후 만 5세 대상 놀이중심 AI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유아 대상의 AI 교육에 대한 인식을 확산하고 학습자의 연령별, 단계별 AI 교육 접근방안을 제시할 것을 기대한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사각형 지도 방법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n Teaching Quadrilateral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김현정;강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1권2호
    • /
    • pp.141-159
    • /
    • 2008
  • 수학 교육에서 도형은 기하학의 기초 개념을 소개하는 중요한 개념이 된다. 교과서가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수학적 지식을 변환시켜 놓은 지식의 전달 매체라고 할 때 도형의 내용 중에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사각형의 지도 내용은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고 교수학적 원리를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1차 교육과정 교과서와 2차 교육과정 교과서는 교수학적으로 덜 구조화되어 단순한 모양 소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3차 교육과정 교과서는 새 수학의 영향으로 학문적 체계를 갖추어 포함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4차에서 6차 교육과정 교과서에서는 학문적 체계에 따라 지도 내용을 제시하였고, 도형의 성질 지도에 초점을 맞추었다. 7차 교육과정 교과서는 실생활과의 연계성을 강조하였고, 학생들이 지식을 구성하는 기회의 제공을 많이 다루고 있다. 학생들의 유의미한 학습을 위해 이러한 변화에 대한 시사점을 교실 현장과 교과서의 제작에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

  • PDF

중학교 수학과 수행평가의 문제점 분석 및 그 해결 방안 연구 (Problem Analysis and Study of Solution Device in Relation with Middle School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 박재용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49-163
    • /
    • 2000
  • The Ministry of Education have had us practice the performance test as a substitute proposal, however, all the more for the idealistic purport, our education front does not have such a sufficient condition as to practice the performance test for many classes and miscellaneous duties and over-populated class, and that practice has been enforced so abruptly without any drastic preparation and has caused much confusion from the beginning of that enforcement. Thus, these problematic concerns are remained as the tasks of the teachers to be solved by themselves in the front of education, and herein I came to do this research.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that I got a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1) Performance test style should b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students' achievement level and the gap of the teachers' recognition; descriptive test, portfolio assignment and formative test styles were proper for the students lacking basic study ability. (2) Descriptive test should have its beginning with the question items to which students can write the problem solving procedure logically rather than those to evaluate the creation ability and thinking ability: and putting down specifically the assessment standard could prevent students' confusion and scheme the impartiality of the assessment. (3) Portfolio assignment evaluation should be given with as interesting and suitable amounts as possible so that the students can do by themselves. (4) Utilizing the performance test table enabled easy management of documentary evidence.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uccess of the performance test should have preceding conditions like the teachers' understanding and their positive participation. Therefore, I'd like to give suggestions herein like the followings; (1) The performance test should not always be made into grades, a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test gradually in the condition that the education surroundings permit by checking time, frequency, ratio and contents of the test while practicing the multiple choice writing test. (2) As long as the performance test has the aims of improving the study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y performance test only for the sake of making numerals with the thought that assessment is the disposal of the grades should be avoided, and the change of the lecturing styles and development of various assessing types and studying materials should be endeavored to confirm with the ai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