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content

검색결과 5,532건 처리시간 0.036초

보육교사의 소진, 과학교수불안 및 과학교수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on the Relations Among Child Care Teachers' Burnout, Science Teaching Anxiet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 백영숙;김동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89-20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on the relations among child care teachers' burnout, science teaching anxiet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55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in Jollanam-do. The analysis of data was conducted with SPSS WI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burnout lowered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child car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 a mediating variable, reduced the negativ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burnout on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Second, child care teachers' science teaching anxiety lowered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child car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 a mediating variable, reduced the negativ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science teaching anxiety as an independent variable on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These findings imply there is a need to boos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uring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수학과예비교사들의 교수학적지식 형성 과정 탐구 -함수 개념을 중심으로- (An Inquiry on the Building Proces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centered at function concepts-)

  • 강윤수;전성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2호
    • /
    • pp.217-23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the building proces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about the function concepts. For this purpose, We performed the following steps; First, we performed the survey relaying to the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capabilities of their error evaluation of the students, and viewpoints about the function concepts. Second, we performed the survey on the subject-matter knowledge about the function concepts and the key items of designing teaching plans about the function concepts. And then, we interviewed the participants to check the results of the surveys and to supplement the necessary contents. The collected data was relatively correlative and analyzed in the process. As a result, we found the followings; First, subject-matter knowledge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about the function concept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grades. Second,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are building more extended function concepts through the major subjects. Third, the major subjects are important to buil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function concepts. Fourth, teaching experie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ransforming subject-matter knowledge of function concepts to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it. Fifth, building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means transferring the teacher's viewpoint from himself/herself to the learner.

  • PDF

The Effects of Mental Capacity and Size of Chunk of Problem Solver and Mental Demand of Problem on Science Problem Solving

  • Ahn, Soo-You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030-1043
    • /
    • 2002
  •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psychology provides us a theoretical base from which we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human problem solving. On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problem solving of the two kinds of tasks (content free, content specific). And the other purpose was to find out the existence of critical situation in problem solving process. Even the items of tasks with the same logical structure and content knowledge could have different sizes of mental dem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ental demand of the problem, and the problem solver's mental capacity, might be the main factors in problem solving. Critical situation of both a group and an individual existed in the tasks that need content free knowledge (FIT 752 task). But the critical situation of a group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dividual in the tasks that need content specific knowledge (electric circuit task).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chievement for each individual in the task that need content specific knowledge, the critical situation of an individual existed in problem solving, but the critical situation of a group was not existed by were summed up the individual results.

식품중(食品中)의 비영양성(非營養性) 질소화합물(窒素化合物)에 대한 연구(硏究) -차방(茶房) coffee의 caffeine 함량(含量)에 관한 연구(硏究)- (Study on Non Nutritive Nitrogen Compound among Foods -Study on The Caffeine Content of The Coffee in Tea-rooms-)

  • 노숙령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5-48
    • /
    • 1975
  • Coffee is a popular beverage with many people at home and in the tea-room. Caffeine is a major chemical compound of coffee. A little caffeine is a stimulant to the movement and spiritual nerve, but much caffeine influences sleep, nervousness, non-concentration, headache and giddiness depending upon each person. The writer expresses the result of the caffeine content in the coffee which is collected from the coffee- shops of Seoul. The contents are as follows : 1) Caffeine content of the coffee of the tea-room was researched dividing into the central Seoul city and the outskirts of Seoul. 2) Caffeine content of the coffee in the outskirts tea-rooms is $0.32{\sim}1.23mg/ml$ and the average is 0.546mg/ml (SD 0.19). 3) Caffeine content of the coffee of the central city is $0.34{\sim}0.73mg/ml$ and the average is 0.513mg/ml(SD 0.12). 4)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outskirts and the central city. 5) Caffeine content of the coffee of the tea-rooms according to each season is going to be researched.

  • PDF

콘텐츠 디자인교육을 위한 의사 결정 트리 활용 방법과 사례연구 (Method and Case Study of Decision Tree for Content Design Education)

  • 김성곤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283-288
    • /
    • 2019
  • 수강생들의 정보와 경험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의사 결정 트리를 활용한 콘텐츠 기획 트리를 개발하였다. 콘텐츠 기획 트리는 수강생들이 개발할 주제와 스토리를 선택하는 나무 몸통 생성단계, 해당 스토리를 바탕으로 개발 가능한 형태 '범주'를 선택하는 부모 가지 생성단계, 해당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제작하는 흥미 '효과'를 선택하는 자식가지 생성단계 그리고 시각화할 멀티미디어 표현 '요소'를 선택하는 잎사귀 생성단계로 구성된다. 교육 모델은 게임기획 디자인과 정보시각화 강의에 적용되었고, 각 강의에서 사용된 범주, 효과 그리고 요소의 예를 사례로 제시한다. 교육 모델은 145개 팀 프로젝트에 사용되었고, 단계별 학습 프로세스로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콘텐츠 제작 접근성 연구 (A Study on the Accessibility of Contents Production in the VR Sports Class)

  • 은광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75-86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이용자에 적합한 실감 콘텐츠 개발 접근지표에 관한 연구이다. 다양한 센서기술을 연동한 스포츠, 체육, 융합학습 실감 콘텐츠 기준으로 이용자에게 교육 및 신체 운동의 효과성 있는 콘텐츠 체험이 되도록 하며 가상현실 스포츠실 콘텐츠 제작 참여기업의 올바른 개발 가이드로서 활용될 수 있다. 연구방법은 지원기관의 표준화 가이드를 기준으로 개발된 콘텐츠를 선정하여 전문가 자문 및 체육담당자 인터뷰, 콘텐츠 체험 설문을 통한 연구를 통해서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콘텐츠 접근 기준지표를 도출하였으며 제작 기준지표를 적용한 콘텐츠 고도화 개발을 통해서 확인해 보았다.

Digital Content to Improv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Ability

  • Han, Sun G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93-100
    • /
    • 2020
  • 이 연구는 인공지능 소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효과적인 디지털 콘텐츠의 설계와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인공지능 소양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인공지능 소양에 필요한 역량을 분석하였다. 인공지능 역량에 맞는 교육 요소를 선정한 뒤에 이에 맞는 10개의 소양교육 콘텐츠로 구성하였다. 콘텐츠의 설계와 개발 내용은 전문가 10명에게 내용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CVI 값은 0.75 이상으로 타당성이 높게 나왔다. 개발된 콘텐츠는 온라인 시스템에 탑재하여 55명의 AI 초보자들에게 적용하였다. 학습자들은 콘텐츠의 난이도, 이해도, 효과성, 학습도전성의 검사 항목에서 최소 3.85 이상의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콘텐츠가 많은 사람들에게 인공지능의 이해에 도움을 주고 인공지능 소양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아교사의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지식체계 고찰: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System on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Using Analyses of Content Map)

  • 안수현;김상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91-10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Novak & Gowin, 1984)을 통해 유아교사의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지식체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65명을 대상으로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개념도 작성을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는 Novak과 Gowin(1984) 및 유진선과 김상림(2018)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개념도에 나타난 내용지식(상위개념과 종속개념의 내용과 빈도) 및 지식수준(상위개념별 종속개념의 수와 위계)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내용지식을 분석한 결과 282개의 상위개념과 종속개념이 나타났으며, 상위개념을 범주화했을 때 '북한에 대한 이해', '분단/통일의 이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 '통일정책', '남북관계', '교육활동',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의 7개 대표용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지식수준을 분석한 결과 상위개념별 종속개념의 수와 위계는 대표용어별로 상이했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의 유아통일교육에 대해 가지고 있는 내용지식은 다양하나 지식수준의 체계성과 위계성은 다소 결여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통일교육의 중요성에 근거하여 이의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지식체계를 고찰했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유아통일교육을 위해 프로그램 개발과 교사연수 등 유아교사의 지식체계를 지원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했다.

재난안전 교육컨텐츠 관리와 공유 활성화를 위한 표준코드 연구 (A Study on Standard Codes for the Management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s and its Active Information Sharing)

  • 남상훈;이영재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29-34
    • /
    • 2013
  • 본 연구는 재난관리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국내,외 기관과 조직에서 교육 Contents인 교육과정, 교육과목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공유의 활성화를 위하여 표준 Code 적용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소방방재청이 2004년 6월 개청되고, 2006년 3월 국립방재교육연구원으로 개원된 이 후에 재난관리 및 방재안전의 교육과 관련된 프로젝트 들이 진행 되어왔고, 교육 Contents가 개발 되어왔다. 기 개발된 재난관리 교육Contents외 체계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운영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이 개정이 추진되어 2014년 2월 7일 시행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외의 재난관리 교육 기관과 조직 간의 Contents의 공유 활용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외의 우수한 재난관리 교육Contents의 정보공유와 선진재난관리 교육체계와 Contents를 기 개발 활용하고 있는 국가에서 재난관리 교육Contents의 선진화를 추진하고 있는 국가, 사회에 자문, 지원하는 것이 주요 사안이 되고 있다. 이에 국내, 외 교육기관과 조직간 교육과목, 교육과정의 분류와 교육 특성을 고려한 식별용이성, 교육 서비스, 교육 환경의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적용 유연성, 그리고 공공, 민간 부분 및 국내, 외의 확대 적용할 수 있는 적용 유연성을 기초로 표준Code 설계 결과를 소개한다. 그리고 국내의 경제적인 재난관리 및 방재안전의 교육정책, 기획, 관리, 운영 등의 활동을 위해 교육Contents의 체계적인 관리와 개발 운영되는 교육Contents의 공유 활성화를 위한 재난관리 교육Contents의 표준Code 적용 사례를 통해 의 적용방안을 제시 한다.

중 . 고등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조사 (Teachers' 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 한지숙;정영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9-125
    • /
    • 1997
  • In the last few year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growth of interest in how the philosophy of science can be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philosophy and history of science can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in teacher and student. The 6th curriculum in Korea has also placed emphasis upo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From this point of view, to ensure effective school sci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teachers and students are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To do this 45 secondary science teachers and 191 students of 7 schools in Seoul are administered Nott and Wellington's questionaire(1993). This questionaire is consisted of 24 Likert Scale statements and asks questions on 5 subscales of philosophy of science :Relativism-Positivism, Inductivism-Deductivism, Contextualism-Decontextualism, Instrumentalism-Realism, Thinking science education as a Process or a Cont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eachers' view of the nature of science was relativism, deductivism, decontextualism and instrumentalism. And they thought process is more important than content in science education. 2. There was no difference in teachers' conceptions on the nature of science according to experience and gender. 3. Students' view of the nature of science was relativism, deductivism, decontextualism and instrumentalism. And they thought process is more important than content in science education. 4.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udents' conceptions on the nature of science according to schools level(middle vs high) and gender. But, female students exhibited higher score than male students on deductivism(p<.05). 5. Teachers' and students' concep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was in agreement with each oth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