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logical area ratio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5초

LiDAR의 높이 및 밀도 정보를 이용한 도시지역의 3D기반 분류 (3D based Classification of Urban Area using Height and Density Information of LiDAR)

  • 정성은;이우균;곽두안;최현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373-383
    • /
    • 2008
  • 지표면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기법 중 지금까지 주로 사용되어온 기법은 항공사진 및 위성영상과 같이 평면적인 정보 수집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본 논문에서 다루는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레이저 측량기술을 이용하여 지표면에 대한 고해상도의 비정규분포 Point 형태의 3차원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와 INS(Inertial Navigation System)의 결합을 통해 좌표 값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LiDAR의 3차원 Point 정보와 좌표 값을 활용하여 보다 정밀한 3차원 모델링 수행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LiDAR의 반사강도와 기하/지형 자료를 이용하여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정밀한 3차원 공간정보자료를 취득하고, 그 자료를 분석하여 도시지역을 높이와 밀도를 기반으로 하여 3차원으로 분류하였다. LiDAR를 통해 획득된 원시자료로부터 지표면에서 반사되는 Point Data의 개수를 지면과 비지면 요소의 비율로 추정하여 지형과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3차원 토지피복분류도를 작성하였다. 신호의 강약을 구분하는 기준은 통계적 방법(Jenk's Natural Break)을 통해 추정된 값을 사용하였으며, 지표면 반사비율에 따라 세부지역으로 구분하여 크게 고밀도 저밀도 식생지역과 비식생지역으로 구분하였다.

  • PDF

농촌비오톱 유형분류 및 특성분석 (The Typ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Biotope in Rural Areas)

  • 조현주;나정화;사공정희;류연수
    • 농촌계획
    • /
    • 제15권4호
    • /
    • pp.19-32
    • /
    • 2009
  •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t meaning to break from the urban ecology-oriented biotope research and realize the importance of rural landscape as a reserve area for systemizing the types of rural biotop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ems for classification of 16 rural biotope areas are designed and total 9 itmes in slope from spatial structural point of view and 7 items in minute-variety from functional point of view. Also, as the result of on-site research on case areas based on classified items, there are 46 types of rural biotope such as coniferous forest, hedgerow and so on. For example, it is proven that uncultivated stripe showed the most frequent emergence.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of average linkage method between clusters, 12 clusters are classified as a clusters and 13 biotope types are re-corrected and complemented through brainstorming process and then total 12 clusters are selected as final rural biotope type groups. As a rural biotope type cluster and character analysis according to types based on on-site research and documentary survey, for example, it is analyzed that the ratio of transmissible covering ratio is 100%, the ratio of green coverage is 90% in 'woodland in cultivated area biotope type cluster'.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지정이 훼손 탐방로 주변 토양과 식생피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ecial Protection Area Designation on Soil Properties and Vegetation Coverage of Degraded Trails)

  • 김동환;이동호;김현석;김성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352-359
    • /
    • 2015
  • 본 연구는 훼손지에 적용된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제도가 탐방로의 토양과 식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북한산 국립공원 내 일반 탐방로(개방 탐방로)와 특별보호구로 지정되어 16년 동안 출입이 금지된 탐방로(폐쇄 탐방로)의 토양의 용적밀도, 수분, 총 질소, pH, 유기물 함량을 측정하고, 지면피도를 조사하여 개방 탐방로와 폐쇄탐방로의 토양 및 식생상태를 비교분석하였다. 일반 탐방로의 토양은 탐방로 주변 식생지대의 토양에 비하여 용적밀도가 증가하고 수분과 총 질소,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여 훼손을 확인하였으나, 폐쇄 탐방로의 경우, 토양의 용적밀도, 수분, 총 질소, pH, 유기물 함량이 주변 식생지대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탐방로 폐쇄로 인한 생태적 회복을 확인하였다. 지면피도의 경우, 일반 탐방로에서 지면식생과 낙엽의 피도가 낮고 나지와 암석의 피도가 높아 훼손을 확인하였으나, 폐쇄 탐방로에서는 낙엽 암석 나지 피도가 회복되었고, 식생피도는 산림 환경피해도 등급을 적용하였을 때 제한적인 회복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특별보호구 지정을 통해 훼손지의 회복이 가능하나, 토양이 식생에 비하여 더 빠르게 회복됨을 알 수 있었다. 훼손지의 특별보호구 지정은 대상지의 회복특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으며, 특별보호구 제도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대상지의 생태적 사회적 가치와 중요성을 고려한 세분화된 특별보호구 선정 및 관리 기준이 필요하다.

The verification about possibility of introducing Window to Floor Ratio as design index for building energy performance

  • Choi, Won-Ki;Lee, Yong-Jun;Lee, Hyun-Soo;Eom, Jae-Yong;Lee, Chung-Kook
    • KIEAE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23-28
    • /
    • 2017
  • Purpose: Many design index that are using in planning phase have been developed. The most popular things among them are Window to Wall Ratio and Surface to Volume Ratio. However there are some limits. Window to Wall Ratio cannot consider building size and Surface to Volume Ratio cannot do Window to Wall Ratio. Accordingly, in this paper, the Window to Floor Ratio was proposed that it can be considered both building size and Window to Wall Ratio. And analyzed correlation of energy demand. Method: For the test, 16 modules with the size of $6m{\times}6m{\times}4m$ were used to make 35 models with the same volume. The simulation was conducted to 945 cases using the window-to-wall ratio of 30, 50 and 70 % in three areas such as Seoul, Gwangju and Jeju and three kinds of windows. And IES_VE was used. Result: The findings above show that the Window to Floor Ratio that can be considered both building size and Window area have to become as design index. It was found out that design criteria with SHGC is necessary, not with the thermal performance (U-value). It is needed to additional analysis about residential building and the effect of 24-hours heating and cooling condition. It plans to carry out research to establish design indicators for climatic conditions in the country and building applications.

남방노랑나비(Eurema hecabe)의 생태환경 및 실내사육 조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cological Environments and Indoor-rearing Conditions of the Common Grass Yellow Butterfly, Eurema hecabe)

  • 이상현;김세권;남경필;손재덕;이진구;박영규;최영철;이영보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33-139
    • /
    • 2012
  • 본 연구는 남방노랑나비의 인공사육을 위한 서식지의 생태환경조사와 실내에서의 인공사육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식지의 생태환경조사를 위해 남방노랑나비의 주 서식지인 경남 사천시 곤양면 대진리(A지역, 하천변의 개활지)와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B지역, 구릉성 산자락) 두 곳을 조사지로 선정하여, 2010년 6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6개월간 월 2회 정기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산자락인 B지역의 남방노랑나비의 개체수가 개활지인 A지역보다 성충의 경우 6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 애벌레, 번데기도 더 많은 수가 조사되었다. B지역의 경우 먹이식물이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먹이식물의 선호도는 비수리에서 170개체가 관찰되어 자연에서는 비수리가 가장 선호하는 기주식물임이 확인되었다. 실내 사육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남방노랑나비의 실내 사육을 실험하였다. 기주식물에 따른 산란선호도를 조사하기위해 암 수 100개체를 산란장에 넣고 짝짓기를 유도한 후 비수리와 결명자를 넣고 10분간 산란한 알의 수를 세어 산란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비수리에 산란한 알의 수가 $104.9{\pm}19.6$개로 결명자의 $12.7{\pm}4.5$개 보다 많아 비수리의 산란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산란된 알을 고온 장일 조건($25^{\circ}C$, 16L : 8D)의 인공적인 환경에서 사육한 결과, 산란된 알의 부화율은 53.7%이었으며, 산란에서 부화까지 평균 소요일수는 $5.1{\pm}0.9$일이었다. 유충기간은 $12.1{\pm}0.9$일이었으며, 각 령별 두폭측정 결과 1령 $0.36{\pm}0.02$, 1령 $0.61{\pm}0.02$, 3령 $0.93{\pm}0.05$, 4령 $1.46{\pm}0.08$, 5령 $2.25{\pm}0.11$로 나타났다. 사육된 애벌레의 용화율은 81.0%으로 나타났으며, 번데기기간은 평균 $6.9{\pm}0.7$일로 조사되었다. 나비의 우화율은 79.6%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 남방노랑나비의 자연상태에서의 서식환경과 실내 인공사육을 위한 사육조건이 확인되었다.

난류가 플랑크톤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 역학적 관점에서 본 얇은 층의 형성과정 (Effect of Turbulence on the Plankton Behavior: Mechanical Perspective of a Process for Developing Thin Layers)

  • 황진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4호
    • /
    • pp.283-29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물리적 관측 방법으로 그 존재가 확인된 얇은 층(thin layer)의 형성 메커니즘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성층과 전단응력의 상대적 크기인 Richardson수가 얇은 층의 중요한 결정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성층이 없는 조건하에서의 물리적 수치 실험은 미세 난류(micro-structure turbulence)가 플랑크톤의 거동에 변화를 주어 성장과 재생산 등에 영향줄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기존의 플랑크톤 거동에 성층과 전단응력의 효과를 고려하여 최근 Gyrotaxis의 메커니즘으로 얇은 층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생태학적 문제에 물리학적 연구방법론의 적용이라는 최근의 연구경향은 현재 및 향후에 해양생태학에서 중요한 접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흰개미가 생태계 탄소 순환에 미치는 영향: 고사목 분해를 중심으로 (Influences of Termite Activities on Ecosystem Carbon Cycle: Focusing on Coarse Woody Debris Decomposition)

  • 김성준;이종열;한승현;장한나;이소혜;윤현민;손요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1호
    • /
    • pp.1-11
    • /
    • 2016
  • 흰개미는 전세계적으로 2600여종 이상이 보고되었으며, 집을 형성하고 군체를 이루는 등 각종 생존 전략을 바탕으로 다양한 생태계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런데 근래 흰개미 활동이 육상 생태계의 탄소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관련 연구 결과를 분석한 결과, 흰개미의 활동은 토양 유기탄소 농도 변화, 메탄 발생 및 유기물 분해 등을 조절하여 탄소 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흰개미집은 흰개미 생물량이 집중된 지점으로 일반 토양에 비하여 평균 1.8배 많은 유기탄소를 함유하며, 열대 산림 및 사바나 지역에서 연간 $0.0-6.0kg\;ha^{-1}$의 메탄을 방출하는 메탄의 점 발생원이었다. 또한 흰개미의 섭식 활동은 고사목의 부피 대비 표면적의 비율을 증가시켜 고사목 분해를 가속화하였다. 이 중에서도 Rhinotermitidae과 흰개미에 의한 고사목 분해는 온대 산림의 탄소 순환에서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극히 부족한 실정이므로 온대 산림에서의 흰개미에 의한 고사목 분해 연구가 필요하다. 흰개미에 의한 고사목 분해는 고사목을 결의 수직 방향으로 잘라 만든 단판 시료에 흰개미의 접근을 차단한 후 분해되도록 하고, 처리하지 않은 시료의 분해율과 비교함으로써 연구할 수 있다. 흰개미에 의한 고사목 분해 연구를 통하여 육상 생태계 중 특히 온대 산림에서의 탄소 순환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opulation structure and habitat use of gelada baboon (Theropithecus gelada) in Wof-Washa Forest (Gosh-Meda Area), Central Ethiopia

  • Goshme, Birhanu;Yihune, Mesel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4호
    • /
    • pp.292-297
    • /
    • 2018
  • Background: Gelada baboon is one of the endemic mammals of Ethiopia residing in different highlands.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habitat use of gelada baboon in Wof-Washa particularly Gosh Meda area was investigated from September 2016 to August 2017. Total counting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on the population status by dividing the study area in to four blocks, namely, Kundi, Arbgebeya, Goshber, and Goshmeda.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oftware. The age-sex category and the numbers of geladas found within the different blocks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paired t test was also used to analyze the pair wise comparison of the different age and sex categories during both dry and wet seasons. Results: A total of 435 and 471 gelada baboons were counted during the wet and dry seasons, respectively. The maximum group size consisted of 178 individuals whereas the minimum group size contained 53 individuals. Out of the total population adult females accounted for 54.7% in the wet and 54.56% in the dry season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age-sex categories in both the wet ($F_{2432}=630$, P < 0.05) and dry ($F_{2468}=696.6$, P < 0.05) season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5.7 during wet season and 1:5.8 during dry season. So that the population will have a better chance to increase in the study area. Conclusion: Wof-Washa Forest could be a good site for eco-tourism activities due to the presence of endemic animals and its scenic beauty. However, the quality of the habitat is decreasing due to livestock grazing, agricultural expansion, and invasion of exotic plants species. Therefore, appropriate conservation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to conserve gelada baboon in particular and other wildlife resources in general.

한강.낙동강 상류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봉화.영월권역을 중심으로- (An Ecological Study on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Upper Region of the South Han River and Naktong River - Pongwha and Youngwol Region -)

  • 배경석;원두희;유병태;김민영
    • 환경위생공학
    • /
    • 제14권4호
    • /
    • pp.50-68
    • /
    • 1999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on the fauna and standing crop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Pongwha and Youngwol region of upper parts of south han river and Naktons river. The Actual site suvry was caried out on the two times during the April·June to October·November, 1988. Main five areas are Mt. Awrawe(1,067m), Mt. Sontal (1,236m), Mt. Munsu(1,206m), Peak Okyopong(357m) and Mt. Pungnak(760m) area. Total taxa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of the study area were 118 species, 45families12 orders, 5 classes in 4 phyla. Occurrence species according to the major taxa of aquatic insects were 35 species (29.66%) in ephemeroptera, 25 species(21.19%) in trichoptera, 25 species(21.19%) hemiptera, 1 species(0.85%) in megaloptera. Non-aqautic insect were 5 species in mollusca, 3 ratio was 8.5 percent. Occurrence species(plecoptera) at clean waters were appeared 12 species at Mt. Awrawe and Sontal area. Occurrence species at each survey area was 67 species at Mt. Awrawe area, 60 species at Mt. Sontal area, 43 species at Mt. Munsu area, 37 species at Mt. P'ungnak area and 34 species at Peak Okyo area, respectively. Species diversity indices were 2.96~3.80 at Mt. Awrawe area, 2.79~3.62 at Mt. sontal area, but 2.64~3.12, 1.59~2.46 and 1.98~2.59 at, Mt. Munsu, P'ungnak and Peak Okyo area, respectively. In this region, occurrence species and individual density were smaller than that of Dong river with good habitat, but those were more abundant than that of Poseong river with similar environment conditions. Therefore, occurrence species and individual density of the present survey region were appeared as somewhat abundant.

  • PDF

도시 습지 자연생태계 변화 특성 및 관리방안 연구 - 서울시 둔촌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cosystem Change and Management in Urban Wetland - Focusing on the Dunchon-Dong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Seoul -)

  • 한봉호;박석철;김종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20
    • /
    • 2023
  • 본 연구는 둔촌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을 대상으로 습지 복원 전·후 생물다양성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주변 도시개발 변화에 맞는 습지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 생물종을 정밀조사하고, 보전지역 및 주변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태계 위협요인을 파악·분석하였다. 둔촌동 습지 주변 지역은 과거 산림과 논이었던 지역에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조성되고, 일부 배후 산림은 남아있었다. 식물상 변화를 살펴보면, 복원 전 2000년에는 총 193종류이었다가 복원 후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종수가 줄었다가 2019년 현재 총 149종류로 다시 증가하였다. 복원 전·후 출현종을 비교한 결과, 숲 속 습한 습지지역에서 생육하는 왕비늘사초(Carex maximowiczii), 삿갓사초(Carex dispalata)와 습지 내 얕은 물이 유지되는 지역에서 생육하는 올챙이고랭이(Schoenoplectiella juncoides), 큰고랭이(Schoenoplectus tabernaemontani) 등 사초과 초본이 증가하였다. 습지 식생유형별 면적비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복원 이후 습지자생초본이 가장 높은 비율로 세력을 형성하였다. 습지자생초본의 세력 변화는 26.6%(2000) → 44.6%(2002) → 49.0%(2005) → 53.3%(2007) → 28.7%(2010) → 37.3%(2019)로 증가세를 보이다 2010년에 크게 감소 후 점차 확대되고 있다. 2010년 이후 변화는 습지 내 개방수면 확보와 담수지 내 유기물 제거를 위한 전면적인 식생관리가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습지자생목본은 복원 후 오리나무(Alnus japonica) 치수가 출현하여 세력을 1.6%(2005) → 6.3%(2007) → 14.8%(2010) → 21.9%(2019)로 계속 확대되고 있었다. 양서류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 모니터링 결과 도롱뇽(Hynobius leechii), 두꺼비(Bufo gargarizans), 맹꽁이(Kaloula borealis), 큰산개구리(Rana uenoi) 등 총 9종이다. 둔촌동 습지의 양서류는 귀화식물 및 자생식물 관리와 담수지 개방수면 확보를 통해 두꺼비, 도롱뇽, 큰산개구리 등 산림을 기반으로 하며 습지에서 서식하는 양서류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야생조류 종다양도 지수는 복원 전 종다양도 지수는 2000년 0.9922, 복원 후 종다양도 지수는 2005년 1.2449, 2010년 1.2467, 2019년 2.2631로 복원 후 수치가 증가하였다. 둔촌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생태계 보전 관리는 둔촌주공 아파트 재건축 공사 영향 최소화, 습지 인접 무분별한 접근로 정비 및 습지 주 진입부 입구 정비를 제시하였다. 생태계 복원 관리에서는 공사 펜스 철거 시 체계적인 생태 복원 및 완충식재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