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agricultural products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2초

Identification of the Gene Products Responsible for F Plasmid Partitioning

  • Kim, Sung-Uk;Yu, Ju-Hyun;KazuoNagai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8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16.2-516
    • /
    • 1986
  • DNA subfragments, sopA, sopB, and sopC supporting stable maintenance of an oriC plasmid, were derived from mini-F plasmid DNA (EcoRI restriction fragment, f5) after digestion with restriction endonucleases, and cloned in vector plasmid pBR322. The recombinant plasmid obtained were introduced into E. coli KY7231 and E. coli CSR603, and proteins specified by the mini-F fragments were analysed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wo proteins encoded by the F fragments were detected, having molecular weights of 41,000 and 37.000. The sopA protein (41K) encoded by a plasmid pXX288 was observed in the cytoplasm, whereas the sopB protein (37K) encoded by a plasmid pXX157 was in the membrane fraction. There was no novel protein band detected in the cell with a plasmid pXX300, which contained sopC fragment. Gene products of a plasmid pXX167, which is comprised of sopA, sopB, and sopC, were not detectable. Fluorography after one and two 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of the lysates showed that these two proteins were overproduced in the cells which were allowed to incorporate radioactive amino acid after plasmid amplification by chloramphenicol treatment. The isoelectric points of the sopA and sepB proteins were 6.6 and 7.0, respectively.

  • PDF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 초시색상 패턴의 유전 및 이의 관련유전자 탐색 (Molecular cloning of Prophenoloxidase (PPO) gene related to melanin formation of elytra of Harmonia axyridis)

  • 김세희;서미자;박민우;유용만;윤영남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1호
    • /
    • pp.23-28
    • /
    • 2012
  • In order to cloning of PPO gene as a melanin formation related genes involved in hardening and pigmentation of insect integument or wing, we cloned cDNA and analyzed the sequence of PPO gene of H. axyridis. PPO2 primer were designed based on the sequences of PPO genes of Tribolium castaneum and Drosophila melanogaster, and then plasmid DNA were cloned from PCR products obtained from different two color patterns. When the plasmid DNA band pattern were digested by restriction enzymes, BamH1, Xba1, and EcoR1, we found same size band pattern. However, this sequence was not homologous to sequence of T. castaneum PPO gene. Using the primer designed based on the sequence of D. melanogaster, 209 bp PCR product was observed.

Effect of harvest dates on β-carotene content and forage quality of rye (Secale cereale L.) silage and hay

  • Zhao, Guo Qiang;Wei, Sheng Nan;Liu, Chang;Kim, Hak Jin;Kim, Jong Geu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2호
    • /
    • pp.354-366
    • /
    • 2021
  • Limited data about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on forage quality and β-carotene content of rye produced in Korea are available, 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wo preservation method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rye harvested every 5 days between April 25 and May 31, and comparisons were done among rye silage wilted for different periods of time and hay of three growth stages of rye. For the silage, dry matter (DM),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s increased with advanced maturity of rye, whereas crude protein,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relative feed value (RFV), and DM loss decreased (p < 0.0001). Wilting increased the DM content and pH value significantly (p < 0.0001). Silage harvested at the heading stage had the lowest pH value (4.45), propionic acid (0.83 g/kg DM), butyric acid (0 g/kg DM), and fungi and yeast populations (3.70 Log CFU/g of fresh matter [FM]); conversely, it had the highest lactic acid (9.7 g/kg DM), lactic acid bacteria (LAB) (6.87 Log CFU/g of FM), total microorganisms (TM) (7.33 Log CFU/g of FM), and Flieg's score (70) (p < 0.0001). Wilting elevated LAB and TM populations, but it had no consistent effect on other fermentation products. Both delayed harvest and prolonged wilting decreased β-carotene content. Rye silage harvested around May 9 (heading stage) with 24 h of wilting was preferred for highland, Pyeongchang. For rye hay, advanced maturity decreased DM loss, IVDMD, TDN, and RFV, but it increased DM, ADF, and NDF significantly (p < 0.05). β-carotene was decreased by delay of hay-making. Consequently, to attain lower DM loss and higher hay quality, the harvest date of May 9 (heading stage) is recommended.

온라인 화훼서비스 디자인마케팅 연구 -밀레니얼세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Online Flower Service Design Marketing)

  • 이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72-181
    • /
    • 2022
  • 본 연구는 온라인으로 화훼를 구매하는 환경의 변화 속에서 밀레니얼 세대의 화훼서비스에 대한 디자인 니즈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밀레니얼 세대의 소비성향과 온라인 화훼구매 경향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꽃다발 제품을 중심으로 온라인 화훼상품 서비스인 화훼 배달 전문쇼핑몰과 화훼시장의 새로운 트렌드인 화훼 정기 구독 서비스의 시장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화훼서비스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밀레니얼 세대는 브랜드화된 화훼제품을 구매하길 원하고 친환경 화훼제품에 대한 선호가 높으며, 화훼디자인에 대한 개방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밀레니얼 세대는 현재 화훼 배달 전문쇼핑몰에서 주로 판매하는 크고 화려한 장미류의 디자인보다는 크고 작은 꽃이 섞인 자연스러운 품종의 꽃다발 디자인을 남녀 모두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밀레니얼 소비자의 니즈에 맞는 온라인 화훼서비스디자인이 개선되어 화훼구매가 활성화되고 새로운 온라인 화훼서비스 디자인 연구로 확장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학교급식 영양사의 지식, 태도, 실천 가이드라인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the Contents of the Guideline for Dietitian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KAP) for Sustainable Management at School Foodservice)

  • 이나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13-52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guideline's contents for dietitian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KAP) for the sustainability management at school foodservice. The contents for the guideline were determined by the Delphi technique of two rounds. The Delphi panels of experts were consisted of sixteen school dietitians and fourteen professors of food and nutrition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s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Based on the literature,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required for dieticians were classified into menu management, procurement, food production, facility and energy management, waste management, personnel management, and nutrition educ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Windows version 24 and EXCEL to calculate descriptive statistics, content validity ratio, degree of agreement, and degree of convergence. As a result of the second round, the validity scores of 'knows eco-friendly certification standards and labeling systems (4.53 point)' in the knowledge category, and 'tries to purchase local agricultural products (4.87 point)' in the attitude category were the highest. From that round in the practice category, the validity scores of 'plan menus for students' health', 'purchases eco-friendly food', and 'conserves energy in pre-processing and cooking process' were the highest with 4.73 point. Applying the criteria for securing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the contents of 25 knowledge items, 20 attitude items and 30 practice items were confirmed.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the guideline for dietitians required for the sustainability management.

멜론 포장용 펄프몰드 난좌 개발 (The Development of Pulp Mold Tray for Melon Packaging)

  • 최승렬;정훈;최동수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25-131
    • /
    • 2013
  • 본 연구에서 개발된 멜론용 펄프몰드난좌의 진동전달특성을 구명하고 모의수송시험을 통해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멜론 펄프몰드 난좌의 중량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는 상승하였고, 완충성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MS 평균 가속도의 진동전달률을 살펴보면 펄프몰드 난좌의 중량이 증가할수록 진동전달률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골판지 180 g 신문고지 50 g을 배합한 펄프몰드난좌의 경우 가진되는 진동가속도보다 큰 진동가속도가 전달되는 것으로 나타나 멜론의 포장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골판지 200 g 신문고지 50 g을 배합한 펄프몰드난좌의 진동전달률이 가장 작게 나타나 멜론의 포장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 상자포장보다는 펄프몰드난좌 포장 시 진동의 전달이 작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펄프몰드 난좌의 중앙에 위치한 멜론과 비교하여 주변에 위치한 멜론에 전달되는 진동가속도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존 상자포장과 펄프몰드난좌 포장의 모의 수송시험을 실시하여 경도를 측정한 결과, 무가진 멜론에 비하여 경도저하가 나타났지만, 난좌를 이용하여 포장하였을 때 기존 상자포장에 비하여 멜론의 경도 유지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펄프몰드 난좌를 이용한 멜론포장은 수송 중 진동에 의한 품질저하 요인을 감소시켜 상품성 유지에 효과적인 방법이라 판단된다.

  • PDF

국내산 유기자원 우각을 활용한 유기질비료의 작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Application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 Utilizing Livestock Horn Meal as Domestic Organic Resource on the Growth and Crop Yields)

  • 장재은;임갑준;이진구;윤승환;홍상은;신기해;강창성;홍순성
    • 유기물자원화
    • /
    • 제27권2호
    • /
    • pp.19-30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산 우각이 혼합된 유기질비료를 개발하여 가장 많은 유기재배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벼를 포함하여 가지에 대한 시용효과를 조사하고 수입 유박을 대체할 유기자원으로 우각의 활용가능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질소함량이 높은 국내산 유기자원 선발을 위하여 계분, 어분, 콩깻묵, 참깻묵, 들깻묵, 혈분, 우각, 맥주오니 등 8종을 분석하여 질소함량이 높은 유기자원을 선발하였고 보조제로 왕겨 바이오차, 미강 등을 원료별, 혼합비율별로 혼합하고 성분을 분석하여 유기농업에 사용 가능한 유기질비료 제조조건을 확립하였다. 우각은 전질소(T-N) 함량이 12.0 %로 높아 혈분 13.5 % 다음으로 높았으며 어분 및 깻묵은 전질소 함량이 5.9~7.9 % 수준이었다. 계분은 유기농업에 사용가능한 무항생제 산란계 계분을 사용하였으며, 맥주오니는 질소함량이 3.4 %로 나타났다. 무항생제 계분, 우각, 맥주오니 등을 주재료로 바이오차, 미강 등을 보조제로 사용하여 유기질비료를 제조한 결과. 수입유박의 질소함량(4.0~4.2 %) 대비 개발한 유기질비료의 질소함량은 7.5 %로 높고 중금속함량은 Zn 400 mg/kg, Cu 120 mg/kg 이하 등으로 나타나 질소 함량이 높고 유기농업자재 품질기준에 적합한 유기질비료를 개발하였다. 우각이 포함된 유기질비료를 사용하여 벼와 가지를 재배하면서 시용효과를 조사한 결과 토양검정질소시비량 기준 100 % 시용시 혼합유박 대비 시용량을 40 % 감소하였음에도 벼 생육 및 수량이 대등하였으며, 가지 재배시에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우각 등 국산 유기자원을 이용한 새로운 고농도 질소원 선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재배 적합 유기질비료 개발은 친환경농업 확대 보급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지역자원을 이용한 기존 수입 혼합유박 대체 연구의 출발점이자 폐기되고 있는 국내 유기자원의 활용 방안 모색에서 큰 의미를 가지며 향후 확대 보급된다면 친환경농산물의 안정적 생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erformance Analysis of a Vacuum Pyrolysis System

  • Ju, Young Min;Oh, Kwang Cheol;Lee, Kang Yol;Kim, Dae Hyu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3권1호
    • /
    • pp.14-20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a vacuum pyrolysis system, to analyze bio-oil characteristics, an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for farm-scale capacity. Methods: The biomass was pyrolyzed at 450, 480, and $490^{\circ}C$ on an electric heat plate in a vacuum reactor. The waste heat from the heat exchanger of the reactor was recycled to evaporate water from the bio-oil.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bio-oil was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moisture content (MC) in the bio-oil was approximately 9%, the high heating value (HHV) was approximately 26 MJ/kg, and 29 compounds were identified. These 29 compounds consisted of six series of carbohydrates, 17 series of lignins, and six series of resins. Conclusions: Owing to low water content and the oxygen content, the HHV of the bio-oil produced from the vacuum reactor was higher by about 6 MJ/kg than that of the bio-oil produced from a fluidized bed reactor.

Identification of the Gene Products Responsible for F Plasmid Partitioning

  • Kim, Sung-Uk;Kazuo Nagai;Gakuzo Tamura;Yu, Ju-Hyun;Bok, Song-Ha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권4호
    • /
    • pp.256-260
    • /
    • 1993
  • DNA subfragments, sopA, sopB and sopC which help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an ori C plasmid, were derived from a mini-F plasmid DNA (EcoRI restriction fragment f5) after digestion with restriction endonuclease, and cloned in the vector plasmid pBR322. The recombinant plasmids obtained were introduced into E. coli KY7231 and E. coli CSR603 strains, and proteins specified by the mini-F fragments were analysed by SDS-PAGE. Two proteins encoded by the F fragments were detected, and their molecular weights were 41,000 and 37,000 daltons. Fluorography after one and two 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of the lysates showed that these two proteins had been overproduced in the cells which were allowed to incorporate radioactive amino acid after plasmid amplification by chloramphenicol treatment. The isoelectric points of sopA and sopB proteins were 6.6 and 7.0, respectively.

  • PDF

천연고분자 키틴·키토산의 농업적 활용 (Agricultural application of natural polymers chitin and chitosan)

  • 정우진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3권1호
    • /
    • pp.33-42
    • /
    • 2020
  • 최근 환경친화적 농업정책의 흐름에 따라 친환경 유기농자재 중에서 농업용 키토산에 관한 제품 등록이 토양개량제, 작물생육용, 병해충방제용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되고 있으나, 천연고분자물질인 키틴 원료를 이용한 제품 등록은 미미한 실정이다. 다만 키틴 기질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키틴분해 미생물에 관한 유기농자재는 일부 등록되어 있다. 현재 국내 키틴·키토산 제조업체는 게껍질에서 산처리와 알카리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키틴 원료를 그대로 판매할 경우 매우 낮은 수익을 얻게 됨으로 탈아세틸화 단계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키토산 형태로 판매하거나 산처리와 효소처리에 의한 분자량을 달리한 키토산올리고당 형태로 제품화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실제 농업 현장에서는 토양개량을 위해 게껍질을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게껍질에 포함된 40~50%의 탄산칼슘의 분해는 유기산 생성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산업체에서 생산된 탄산칼슘을 제거한 키틴의 사용이 매우 효율적이다. 따라서 키틴생산 산업체에서는 식품용, 의료용 등의 고품질 고비용보다 농업용의 키틴을 저품질 저비용으로 생산함으로써 경쟁력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농업용 유기농자재 대부분 제품에서 키토산이 약산에 녹여진 상태인 액상임으로 실제적인 키토산의 농도는 1~5% 범위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일부 제품의 경우 첨가물로 미량의 키토산올리고당 또는 키토산아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작물이 생산되는 농가 토양내 키틴분해와 키토산분해를 할 수 있는 다양한 토양미생물이 존재함으로 키틴과 키토산을 기질로 하여 토양개량, 작물생육 향상, 병해충 방제 목적으로 적합하게 농업 현장에 잘 적용함으로써 천연에서 얻어진 고분자 키틴·키토산 농자재가 농가의 환경보전 및 농가소득 향상에 매우 의미 있는 역할을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보고문에서는 국내 주요 키틴·키토산 생산업체의 소개와 이들 업체의 주요 생산품을 살펴보고,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유기농업자재정보시스템에서 키틴·키토산 원료를 이용한 친환경 유기농자재 업체별 등록현황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국내 키틴·키토산의 농업적 활용 범위를 더욱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