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9초

유아보육·교육기관의 교사 전문성 지원 환경이 유아교사의 인공지능 기술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디지털 기기 활용 경험에 의해 조절된 과학교수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stitution's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on Teachers' Intention to Accept AI Technolog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cience Teaching Attitude Modified by Experience of Using Smart·Digital Device)

  • 안혜령;이보람;조우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61-85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science teaching attitud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of institutions and their intention to accept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and whether the experience of using smart and digital devices moderates the effect of science teaching attitude.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18 teachers with more than 1 year of experience in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setting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Process macro model 4, 14 were performed using SPSS 27.0 and The Process macro 3.5. Results: First, the science teaching attitud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rved as a mediator between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of institutions and teachers' intention to accept AI technology. Second, the experience of using smart and digital devices was found to moderate the effect of teachers' science teaching attitude on their intention to accept AI technolog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results showed that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that supports teachers' professionalism development and provides rich experience is crucial for promoting teachers' active acceptance of AI technology.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reating a supportive institutional envionment for teacher's professional growth, enhancing science teaching attitudes, and facilitating the use of various devices.

남자유아교사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Parents' and Female Teachers' Perceptions of Mal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enters)

  • 최지훈;임원신
    • 아동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5-183
    • /
    • 2012
  • This was a comparative study,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mal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s on the part of both parents and female teachers at such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necessary or not to employ qualified mal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both the female teachers and the parents responded positively in general. Second, when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the role of male teachers, both teachers and parents believed that male teachers would be able to help children to develop their potential. Third, the female teachers indicated that they believed that the male teachers may need to develop a stronger sense of vocation, fairness, and sincerity when engag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the parents, female teachers generally show greater affection and magnanimity towards children. Fourth, when examining the femal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male teachers' teaching capabilitie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ir opinions were generally that the capabilities of male teachers depend on their training and educational level. Fifth, when examining the parent's perceptions of the male teacher's teaching capabilit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ose parents who have experience of male teachers gave higher ratings regarding their capabilities than those parents who had no previous experience of male teachers. Finally, it was observed that, when comparing the teacher group with the parent-group, the teacher-group assessed the male teachers' teaching abilities higher than the parent-group did.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뮤지컬 관람 실태와 활성화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Watching the Children's Musical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오선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441-4449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뮤지컬 관람에 대한 현장의 실태를 알아보고, 문제점 및 활성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뮤지컬 관람이 어떻게 실시되어지고 있는가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뮤지컬 관람과 연계한 교육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셋째, 뮤지컬의 관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159명을 대상으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대부분의 유아들은 뮤지컬 관람을 매우 흥미로워하며 새롭고 다양한 경험의 제공과 새로운 문화를 접할 수 있다고 하였다. 둘째, 뮤지컬 관람 시 사전교육 활동으로는 홍보지, 미디어 홍보영상 등을 활용한다고 답하였으며, 사후활동으로는 뮤지컬관람의 내용과 관련하여 그리기미술활동, 이야기 꾸미기활동, 동극활동으로 전개했을 때 교육적으로 효과적 이였다고 하였다. 셋째, 뮤지컬관람을 실시할 때 문제점으로는 단체유아들의 이동에 있어 통제의 어려움이 많다고 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뮤지컬관람의 교육적 효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다양한 교육접근 방법의 뮤지컬관람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영재 대상 차별화 교육 실태 및 지원요구 (The Realities of the Differentiated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 and Support Need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이현지;태진미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473-49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영재 대상 차별화 교육 실태와 지원 요구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및 기타(영어유치원 및 놀이학교)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 및 원장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최종 수집된 설문지는 총 309부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 어린이집, 기타기관 등의 유아교육기관에는 유아영재 대상의 차별화 교육을 위한 인프라가 충분히 구축되어 있지 않았다. 특히 유아영재를 위한 '차별화 교육 경험'이 세 기관 모두 보통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영재 대상 차별화 교육에 대한 교사의 요구도는 세 기관 모두 필요수준에 비해 현재 수준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규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영재 대상으로 교육적 요구와 발달특성에 부합하는 차별화 교육 방향 모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교수내용지식, 교수효능감과 교사의 태도 간의 구조분석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s Attitude for Childhood Music Education)

  • 김지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70-278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음악교육을 위한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사이에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 하고자 하였으며, 검증을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 교사 13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와 AMOS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도는 적절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확인하였다. 첫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내용지식은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내용지식은 유아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내용지식은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음악교수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 효과는 부분매개 효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음악적 발달을 위한 유아 교사의 전문성 강화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유아 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 변수가 유아들의 음악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영유아 학대예방 관련 부모교육 및 가정에서의 자녀교육 실태 (State of Parent Education and of Child Education at Home Related to Infant/Preschooler Abuse Prevention)

  • 성영화;이숙자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5-146
    • /
    • 2018
  • 본 연구는 부모들이 경험한 영유아학대예방과 관련한 부모교육 실태 및 가정에서 실시되고 있는 자녀교육실태에 대해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I시에 거주하고 있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302명의 부모들이며, 연구결과는 부모들이 응답한 설문지의 내용을 빈도분석하거나 카이검증을 실시하여 도출하였다. 먼저, 부모교육 실태를 살펴본 결과 영유아학대예방과 관련하여 교육을 받은 부모들이 12.6%로, 네 가지의 학대 유형 각각에 대해 교육을 받은 부모들이 그렇지 않은 부모들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들은 유아교육과 관련한 기관에서, 아동학대 및 유아교육관련 전문가에 의해 교육을 받았으며, 받은 교육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자녀교육 실태를 분석한 결과, 가정에서 자녀에게 학대예방교육을 실시한다고 응답한 부모들은 25.2%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학대와 학대 시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을 실시한다고 응답하였다. 가정에서는 영아기부터 학대예방교육을 시작하고, 일상에서 수시로, 주로 대화를 통해서 교육을 실시한다고 부모들은 응답하였다. 부모들은 학대와 관련한 자료의 부족으로 가정에서 학대예방교육을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부모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른 가정에서의 자녀의 학대예방교육 실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에서 바로 연계하고, 쉽게 활용 가능한 학대예방교육 매뉴얼의 개발과 방임에 대한 교육 및 홍보의 활성화에 대해 제시하였다.

브레인댄스 집단프로그램이 예비보육교사의 자기수용,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Brain Dance Group Program for Pre Early Childhood Care Teachers' Self Acceptance and Self Control)

  • 고은교;신수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624-639
    • /
    • 2015
  • 본 연구는 브레인댄스 집단프로그램이 예비보육교사의 자기수용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검증을 통해 보육교사의 인간적 자질 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N대학의 보육교사 자격 이수과정 학생 중 참여를 원하는 2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0명씩 무선 배정 하였다. 브레인댄스 집단프로그램 실시 전 후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브레인댄스 집단프로그램의 자기수용과 자기조절력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가 규명되어 브레인댄스가 예비보육교사의 자기수용과 자기조절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유용한 매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브레인댄스를 활용한 다양한 교육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브레인댄스 전문가와 교육 분야 전문가를 양성하는 대학교육기관의 교사인성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유보충식 도입 시기에 따른 유아기 우식증 관련성 연구: 2008~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Relationship between Complementary Feeding Introduction and Early Childhood Caries: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5)

  • 연미영;신혜선;이행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7-105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infant feeding type and duration are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complementary feeding, and whether the appropriate introduction of complementary feeding in infancy is related to tooth decay in toddlers. Methods: The subjects were 1,521 toddlers among 2~3 year old children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08 to 2015. The toddlers were divided into the appropriate group (4~6 months) and delayed group (>6 months) according to the timing of complementary feeding introduction. Results: The delayed group were 26.5% of subjects and the formula feeding period in the appropriate group and delayed group was 8.4 and 10.3 months, respectively (P=0.002).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breastfeeding period between the appropriate group and delayed group (P=0.6955). Early childhood caries was more common in the delayed group (P=0.0065). The delayed introduction of complementary feeding was associated with a risk of early childhood caries according to the logistic models (OR 1.81, 95% CI 1.27-2.57). Conclusions: The introduction of complementary feeding is associated with early childhood carie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proper introduction of complementary feeding in infancy should be emphasized, and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 for maternal care and breastfeeding should be provided through health care institutions.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 학부모의 인식, 실태 및 요구 (Awareness of Parents with Preschoolers on Multiple-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the State of Multiple-intelligences Education and their Needs)

  • 하순련;서현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31-355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기 다중지능의 발굴과 지원에 있어서 유아 학부모의 중요한 역할을 인식하고 유아 학부모가 바라보는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및 요구 조사를 통해 유아기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 소재 6개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유아의 학부모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학부모들의 다중지능교육에 대한 전반적 인식 높게 나타났으며, 둘째 유아 학부모들은 자녀의 강점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유아교육기관과 유아용 학습지에 의존하는 경향이 많았다. 셋째 유아 학부모들은 다중지능 교육 시기는 만2세-만7세 이하가 적절하며 유아의 심리와 욕구에 대한 이해가 있는 교사를 선호하였다. 그리고 유아자녀의 다중지능 교육에의 참여와 이와 관련한 부모교육을 희망하였다. 그러나 일부 유아학부모들은 다중지능 교육을 영재교육이나 특수교육의 일환으로 오해하고 있는 부분도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유아 부모의 다중지능 교육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도모와 또한 다중지능 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과 교사 역할의 중요성에 대하여 인지하고 이후 다중지능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교육부 중심 0-5세 유아학교 모델(안)의 단계별 정책 방향과 과제: 설립주체와 교사고용의 관점을 중심으로 (Step-by-step Policy Directions and Tasks of the 0-5-year-old Young Children School Model centered the Ministry of Education: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the Establishment Entity and Teacher Employment)

  • 김대욱;박창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69-580
    • /
    • 2022
  • 현재, 교육부 장관이 교육부 중심으로 유보통합추진하는 것을 공식 발표하였다. 유보통합의 핵심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통합으로, 구체적인 모델(안)을 개발할 필요가 있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보통합 논의 이후 유아학교를 중심으로 논의가 되어 왔고, 구체적인 사안에서 의견 차이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부 중심으로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통합된 이후 유아학교 모델(안)의 단계별 방향을 제안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문제는 교육부 중심 0-5세 유아학교 모델(안)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보통합이 실현된 이후의 설립유형별 유아교육기관 통합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첫째, 국가책임 단계별 0-5세 유아학교 모델(안)이 요구된다. 둘째, 다양한 설립유형별 특성을 반영한 세부적인 유아학교 모델(안)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유아학교 체제시 교원양성체계 개편, 방과후과정 운영 모델, 교육청 및 지자체 통합 방안 등의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