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areness of Parents with Preschoolers on Multiple-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the State of Multiple-intelligences Education and their Needs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 학부모의 인식, 실태 및 요구

  • 하순련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
  • 서현아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parents with preschoolers about multiple-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the state of their multiple-intelligence education and their needs. This was done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uccessful utilization of early childhood multiple-intelligence programs, as parents exercise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multiple intelligenc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50 parents of preschoolers in six different kindergartens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awareness of the parents of the preschoolers on multiple-intelligence education, they placed an importance on that education in general. Second, concerning the state of their multiple-intelligence education, there was a strong tendency for them to rely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study aids produced by relevant companies to foster the strength of their children. Third, regarding a time for early childhood multiple- intelligence education, they considered it advisable for preschoolers to start to receive that education at the Western age of 2 to 7, and they preferred teachers who had a good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y and needs of preschoolers. The parents wanted their children to receive that education, and hoped to receive parent education about it.

본 연구는 유아기 다중지능의 발굴과 지원에 있어서 유아 학부모의 중요한 역할을 인식하고 유아 학부모가 바라보는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및 요구 조사를 통해 유아기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 소재 6개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유아의 학부모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학부모들의 다중지능교육에 대한 전반적 인식 높게 나타났으며, 둘째 유아 학부모들은 자녀의 강점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유아교육기관과 유아용 학습지에 의존하는 경향이 많았다. 셋째 유아 학부모들은 다중지능 교육 시기는 만2세-만7세 이하가 적절하며 유아의 심리와 욕구에 대한 이해가 있는 교사를 선호하였다. 그리고 유아자녀의 다중지능 교육에의 참여와 이와 관련한 부모교육을 희망하였다. 그러나 일부 유아학부모들은 다중지능 교육을 영재교육이나 특수교육의 일환으로 오해하고 있는 부분도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유아 부모의 다중지능 교육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도모와 또한 다중지능 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과 교사 역할의 중요성에 대하여 인지하고 이후 다중지능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숙(2007).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다중지능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인향(2009). 어머니 특성변인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권희정(2011).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부모 효능감 간의 상관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명희, 김영천(1998). 다중지능이론: 그 기본 전제와 시사점. 교육과정연구, 16(1), 299-330.
  5. 김명희, 김양분, 김영천, 이경희, 정태희(1996).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열린교육의 수행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과교육공동연구보고서. PR-96.
  6. 김민영(2010). 유아의 다중지능 및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 리더십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성아(2009). 자녀의 다중지능 프로파일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유미(2003). 뇌를 알고 가르치자. 서울: 학지사.
  9. 김정환(1998). 지능, 감성지수, 창의성과 교육. 교수논총, 14(1). 73-95.
  10. 김주영(2002).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과학수업활동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류숙희(2006). 지능숲: 유아용 다중지능 맞춤 프로그램. 다중지능연구소.
  12. 문용린(2004). 지력혁명. 서울: 비즈니스북스.
  13. 문용린, 류숙희, 김현진 외(1999). 다중 지능 이론의 교육적 의미와 학교에서의 활용방안 연구원, 교육 행정 지도자 과정 현장 교육 연구. 서울대 사범대학 부설 교육행정 연수.
  14. 박수진(2001).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조기/특기교육에 관한 실태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박은실(2005). 영재성과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박춘희(2002).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박혜진(2002). 유치원 만 5세 반 유아의 이전 교육경험과 다중지능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박희숙(2004). 프로젝트 스펙트럼에 기초한 유아 다중지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 서주현(2009).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지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송경희(2002). 유아의 다중지능과 어머니의 자녀교육관의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송숙경(2004). 다중지능이론의 교육적 시사점과 한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안재신(2003).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음악교육연구. 24, 67-83.
  23. 오미애(2006). 유아의 다중지능에 대한 부모와 교사평가의 인식비교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유구종, 조희정(2007). 유아교육에서의 다중지능 접근 활동과 평가를 통한 통학교육 방안. 홀리스틱교육연구. 11(1). 51-72.
  25. 윤현숙(2007).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다중지능 그리고 또래놀이상호작용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1(4), 380-405.
  26. 이경화(2007). 유아 재능 판별을 위한 한국형 다중지능(MI) 검사개발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6(2). 85-106
  27. 이송이(2011). 유아의 다중지능과 양육환경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이신동,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2002). 유아영재교육의 이해. 서울: 학문사
  29. 이영재(1997). 다중지능이론의 교육학적 의의. 발달장애학회지, 1, 135-147.
  30. 이태종(2004). 학습양식에 입각한 교수-학습 방법. 창의력개발연구, 7, 89-105.
  31. 장영숙(2004). 영재유아와 일반유아의 다중지능과 부모의 다중지능 및 교육수준과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8(3). 111-136.
  32. 장영숙, 강경석, 송경희(2003). 유아의 다중지능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3). 247-26.
  33. 장영애(2011). 부모의 양육행동 및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초등학교 아동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2(1), 115-129.
  34. 정숙영(2008). 어머니가 인식한 유아 다중지능과 사교육과의 관계. 건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정애란(2006). 유아의 프뢰벨 은물교육기간 및 부모배경변인과 다중지능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정태희(1998a).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교수-학습활동 개발 및 효과 분석: 개인적 지능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7. 정태희(1998b).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유아능력 평가: Project Spectrum. 교육논총. 14, 123-145.
  38. 정황순(2000). 창의성 계발 프로그램의 적용이 창의성, 정서지능 및 다중지능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9. 조귀남(2004). 유아의 가정환경과 다중지능의 상관관계 연구. 동아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지성애, 이규남, 박유영, 이규림, 천현미(2006). 유아의 프로젝트 스펙트럼 활동 특성과 다중지능 및 유치원 적응력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46, 93-116
  41. 추성경(2012).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지능과 다중지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2. 프윽 마잉(2008).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다중지능의 관계 : 베트남과 한국의 비교.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3. 하대현(1988). H. Gardner의 다지능 이론의 교육적 적용: 그 가능성과 한계. 교육심리연구, 12(1), 73-100.
  44. 하대현(1996). 인간지능이론과 연구의 최근 동향과 과제. 교육심리연구. 10(1). 127-161.
  45. 한명희(2002). 교육의 미학적 탐구. 서울: 집문당.
  46. 홍순정(1999). 지능과 창의성. 서울: 양서원.
  47. 홍은정(2004). 부모 양육태도와 아동의 다중지능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8. 황윤한(2005). 다중지능이론의 이해. 한국다중지능교육학회 교사직무연수자료. 1-2.
  49. 황윤한, 조영임(2004). 개별화 수업과 다중지능 학습 양식. 다중지능교육연구. 1(1). 55-81.
  50. 황윤한, 조영임(2005). 학습양식으로서의 다중지능이론. 다중지능교육연구, 2(1), 31-54.
  51. 황혜경(2005). 개인적 지능 향상을 위한 유아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다중지능교육연구. 2 (1), 97-117.
  52. Aoki, T. T.(1979). Toward curriculum inquiry in a new key. Occasional Paper No. 2. Edmonton: Department of Secondary Education,. University of Alberta.
  53. Armstrong, T. (1994).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classroom: Association for supervision & curriculum development. 전윤식, 강영심 역(1997). 복합지능과 교육.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54. Chen, J., Isberg, E., & Krechevsky, M.(1998). Project Spectrum: Early Learning Activities. Teachers College Press of Columbia University.
  55. Feldman, D. H. (1980). Beyond universals in cognitive development. Norwood, NJ: Ablex.
  56. Gardner, H. (1983). Multiple intelligence: The theory in practice, N. Y. : Basic books. 김명희, 이경희 역(1998). 다중지능의 이론과 실제, 서울: 양서원.
  57. Gardner, H.(1989). Zero-based arts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Arts PROPEL. Studies in Art Education. A Journal of Issues and Research. 30(2), 71-83.
  58. Gardner, H. (1993). 하워드 가드너 다중지능. 문용린. 유재경 역(2006). 서울: 웅진지식 하우스.
  59. Vialle, W.,& Perry, J.(1995). Nurturing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Australian Classroom. Hawker Brownlow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