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age damage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5초

PET 섬유 보강재를 사용한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using PET fiber reinforcement)

  • 오리온;유용선;박찬기;박성기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261-283
    • /
    • 2023
  • 본 연구는 최근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성능 보강재료 적용이 검토되고 있는 합성섬유 종류 중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 보강재에 대하여 단기 및 장기 성능변화 여부 검토를 통해 PET 섬유의 성능 안정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PET 섬유를 산/알칼리 환경에 노출시킨 후 잔류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PET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배합의 재령별 휨강도, 등가 휨강도, 그리고 콘크리트 시편에서 채취한 PET 섬유를 주사현미경(SEM)을 이용하여 표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PET 섬유의 산/알칼리 환경 노출 실험결과, 산성 환경에서는 83.4~96.4%, 알칼리 환경에서는 42.4~97.9%의 강도 보유율을 나타내었다. 섬유 자체의 강도 보유율은 고온의 강알칼리 조건에 노출될 경우 강도 감소가 크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강도 보유율은 에폭시로 코팅된 가공사에서 강도보유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ET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배합의 휨강도 및 등가 휨강도 실험결과에서는 휨강도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등가 휨강도 결과도 섬유 보강재로써의 성능 저하는 나타나지 않았다. SEM 분석 결과에서도 PET 보강 섬유의 표면 손상이나 단면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섬유 보강 콘크리트가 초기 고온 노출되는 경우나 재령 경과에 따라서도 시멘트 콘크리트 환경에서는 PET 보강 섬유가 어떠한 손상이나 단면 감소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시멘트 콘크리트 환경에서는 PET 섬유에 대한 강도 감소 영향은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재령에 따른 휨강도, 등가 휨강도도 안정적으로 발현됨에 따라 PET 섬유 보강재의 사용으로 우려되는 가수분해로 인한 성능저하 등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안정적인 잔류강도 보유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방사선 조사가 백서 하악과두 연골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형태계측학적 연구 (Morphometric Study of the Irradiation Effect on the Cartilage Formation in the Rat Mandibular Condyle)

  • 김정화;허민석;이삼선;최순철
    • 치과방사선
    • /
    • 제29권1호
    • /
    • pp.87-103
    • /
    • 1999
  •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degree of the damage and recovery of the irradiated rat condylar cartilage using the Image Analyzer. Materials and Methods: Experimental animals were 16 male rats of the Sprague-Dawley strain at the age of 20 day irradiated with the dose of 10 Gy in their head and neck region. Four rats were sacrificed at the each of the following time intervals - 1, 4, 7 and 14 days, respectively. The same number of control group animals were sacrificed at the each age of 21. 24, 27 and 34 days, respectively. The specimens were stained with 0.5% toluidine blue and examined with light microscope. The condylar cartilage was divided into 4 zones; fibrous zone, proliferating zone, upper hypertrophic zone, and lower hypertrophic zone. And then, the proliferating zone was subdivided into 2 layers - upper and lower layer, and upper and lower hypertrophic zone were subdivided into three layers, respectively - upper, middle and lower layer. With the aid of Image Analyzer, morphometric analysis was performed. The thickness, the numerical density of cells, the cell area density, the extracellular matrix area density, the mean area of single cell, the mean area of extracellular matrix per single cell were measured and analysed.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thickness of the fibrous zone was slightly increased and that of the proliferating zone and the upper and the lower hypertrophic zone was markedly decreased. With time, the thickness of the fibrous zone was gradually increased and that of the proliferating zone and the upper and the lower hypertrophic zone was steadily in the decreased state. The numerical density of cells of the proliferating zone was increased on post-irradiated 1 day, but decreased after post-irradiated 4 day, and that of the upper hypertrophic zone was decreased. The numerical density of cells of the lower hypertrophic zone was decreased in the early stage and then was decreased or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with tim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ell area density of the fibrous zone and the proliferating zone was decreased in the early stage and then gradually increased or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with time. The cell area density of the upper and the lower hypertrophic zone was varied with time. The extracellular matrix area density value were totally opposite to the cell area density values: The mean area of single cell of the fibrous zone and the proliferating zone was .decreased on post-irradiated 1 day, and increased after post-irradiated 4 day. The mean area of single cell of the upper hypertrophic zone was varied with each layer and tim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mean area of extracellular matrix per single cell of the fibrous zon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control group, and that of the proliferating zone was decreased on post-irradiated 1 day, and increased after post-irradiated 4 day. The mean area of extracellular matrix per single cell of the lower hypertrophic zone was increased in the early stage. and that of upper hypertrophic zone was varied with each layer and time. Conclusion: The condylar cartilages of rats were affected by irradiation, but the changes were vaned with each layer and time. By morphometric analysis. the changes of the cells of the condylar cartilage of irradiated rat could be calculated quantitatively.

  • PDF

프로폴리스 섭취 후 흡연자의 임파구 DNA 손상도 및 항산화 상태의 변화: 이중맹검 교차 인체시험 (Changes in Lymphocyte DNA Damage and Antioxidant Status after Supplementing Propolis to Korean Smokers: A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Cross-Over Trial)

  • 강명희;이혜진;김미경;성미경;권오란;박유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5호
    • /
    • pp.442-452
    • /
    • 2009
  • 흡연은 신체 내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할 뿐 아니라 체내 항산화 상태를 악화시킨다. 따라서 흡연으로 인해 유도되는 산화 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한 여러 다양한 식품영양학적인 시도들이 되어져 왔다.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 식물에서 뽑아낸 수지에 꿀벌 자신의 침과 효소 등을 혼합하여 만든 천연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가 산화 스트레스로 인해 나타난 흡연자의 DNA 손상을 회복시키어 항산화 영양 상태를 개선시키는지를 보고자 하여 placebo를 사용하는 double- blind cross-over 인체시험을 수행하였다. 흡연자에게 800 mg의 프로폴리스와 placebo를 4주 섭취시킨 후 2주 washout period를 가진 뒤 다시 군을 바꾸어 교차시험으로 4주간 섭취시킨 후, comet assay에 의한 DNA 손상도 및 신체 내 항산화 효소 수준, 총 항산화력 및 항산화 비타민 상태를 분석하였다. 처음 2주 동안의 고갈기간 후에 흡연자 29명 (평균나이: 34.38 ${\pm}$ 1.73세)을 프로폴리스군과 위약군의 두 군으로 나누어 하루에 프로폴리스 또는 위약을 4주 동안 공급하였고 2주 동안의 washout 기간을 가진 후에 교차실험을 위해 대상자의 군을 바꾸어 다시 4주 동안 프로폴리스와 위약을 공급하였다. Comet assay로 분석한 대상자의 임파구 DNA 손상정도는 프로폴리스를 섭취한 군이나 위약을 섭취한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총 항산화 영양상태도 두 군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적혈구 항산화 효소인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도, 그리고 혈장 vitamin C와 tocopherol 수준도 프로폴리스군과 위약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흡연자에 있어서 프로폴리스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소아에서의 요로감염과 방광요관역류에 관한 고찰 (Urinary Tract Infection and Vesicoureteral Reflux in Children)

  • 임현석;박창로;고철우;구자훈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권1호
    • /
    • pp.46-52
    • /
    • 1997
  • 목적 : 소아기의 요로감염은 신손상을 유발하여 신반흔, 고혈압, 말기신부전증 등을 일으키며 요로감염에 흔히 동반되는 방광요관역류는 이와같은 신손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조사는 한국소아에서의 요로감염과 방광요관역류와의 관계를 밝히고 또한 신반흔 발생과의 관련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 대상 환아는 1990년 1월부터 1996년 6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요로감염으로 진단된 291례로 하였고, 신 초음파 검사, 경정맥 신우 조영술, 배뇨성 방광요로 조영술, DMSA 주사 등을 시행하여 방광요관역류 및 신반흔을 확인하였다. 역류의정도는 국제 소아 역류 조사팀에 의한 분류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대상환아는 남아 177례, 여아 114례로서 총 291례였으며, 1세이하에서는 남아 대 여아비가 134:42로 남아가 훨씬 많았고, 5세이상에서는 11:35로 여아에서 그 빈도가 높았다. 방광요관역류는 64례(22%)에서 관찰되었으며 1등급 4.0%, 2등급 3.0%, 3등급 2.7%, 4등급 5.8% 및 5등급 6.2%였으며 남녀의 차이는 없었다. 원인 균주로는 E.coli가 167례로서 가장 많았으며 방광요관역류의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합병증으로서는 신결석이 4례에서 관찰되었고 5등급 방광요관역 류 환아 4례에서는 내원당시 말기신부전증의 증세를 보였다. 방광요관역류의 경 중에 따른 신반흔의 빈도는 역류가 없었던 경우 1.2%, 1등급 6.7%, 2등급 27.3%, 3등급 29.4%, 4등급 57.1% 및 5등급 100%로서 총 582개의 신장중49개(8.4%)에서 반흔이 관찰되었으며 역류가 심할수록 이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연령에 따른 신반흔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를 요약하면 역류의 정도가 심할수록 신반흔의 빈도가 높으며 그러므로 소아에서의 요로감염과 방광요관역류의 조기발견 및 적절한 치료는 신손상을 예방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이라 하겠다.

  • PDF

급성 약물중독에 합병된 일과성 혹은 지속성 고암모니아혈증의 특성 (General Characteristics for Poisoning-Induced Transient or Sustained Hyperammonemia)

  • 이수형;박홍인;최마이클승필;제동욱;노우영;김성훈;이미진;안재윤;문성배;이동언;박정배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6-143
    • /
    • 2016
  • Purpose: In patients with altered mentality caused by drugs or unknown causes, ammonia is checked to facilitate differential diagnosis or diagnose hepatic coma. This helps early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rain damage due to hyperammonemi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ntoxicated adult patients with hyperammonemia. Methods: We evaluated 95 patients with hyperammonemia among intoxicated patients above the age of 15 who visited our ED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5. We analyz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ype of poisoning substance, reason for ingestion, toxi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elapsed time from ingestion to hospital visit, lab, clinical progression and complications. Data were evaluated using the student's t test or Mann-Whitney U test for continuous variables, and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for frequency analysis of categorical variables. Results: When compared to healthy individuals, patients with hyperammonemia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ir SOFA score (p=0.016) and poison severity score (p<0.001). Additionally, patients with hyperammonemia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initial serum AST level (p=0.012) and maximum serum AST level during the hospital stay (p=0.026) when compared to healthy individuals. Moreover, individuals with sustained hyperammonemia compared to transient hyperammonemia showed clinically significant SOFA scores (p<0.001), poison severity scores (p=0.007), mortality rates in the ICU (p=0.021), as well as different duration of hospital stay (p=0.037), serum creatinine level (p=0.002),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p=0.025), and serum myoglobin (p=0.015). Conclusion: Most poisoning-induced hyperammonemia cases were transient and recovered without special treatment. Therefore, hyperammonemia is almost non-specific among poisoning patients.

동절기 벽식구조 건축물 벽부분의 버블시트 포설방법 변화가 이음부 노출철근의 온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Bubble Sheet Applying Methods on Temperature of Exposed Joint Rebar at Wall Surface of Load-Bearing Wall Structure Building During Winter)

  • 한천구;이제현;김민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9-15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겨울철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을 낮은 열전도율 재료로 덮어 주므로서 우수한 단열성을 갖으며, 높은 전용성으로 경제성까지 뛰어난 2중 버블시트에 의한 표면피복 양생공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하지만, 벽식구조 건축물 시공의 경우 버블시트로 포설되는 슬래브 부분은 초기동해를 방지할 수 있지만, 노출 철근 부분의 경우 버블시트의 포설이 까다롭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양생법 변화는 초기동해 피해 여부와 관련하여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시공중인 벽식구조 Apt 현장의 벽체부분을 동절기 저온 조건하에서 시공하는 것을 모사하여 각종 표면피복 양생방법 변화에 따른 매립 및 노출철근 부분의 위치별 온도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양생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여러 양생방법 중 D방법의 양생이 가장 우수하게 초기동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시공의 효율성 및 시공의 편리성 까지도 감안하면 철근과 철근의 간격부 만큼에 버블시트를 좁은 폭으로 잘라 덮어주는 B방법도 우수한 방법으로 추천된다.

흡착 영역 분리 압력을 고려한 시멘트페이스트의 자기 수축 (Autogenous Shrinkage of Cement Paste Considering Disjoining Pressure in Thin Adsorbed Region)

  • 이창수;박종혁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213-218
    • /
    • 2006
  • 시멘트페이스트 공극 내 확장 메니스커스 영역을 초승달 영역, 박막 영역, 흡착 영역으로 구분하고 공극 크기에 따른 액막 두께, 흡착층 두께, 모세관 압력, 분리 압력을 압력 평형 방정식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그 결과 공극 크기와 흡착층 두께와의 연관식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공극 크기 $1nm{\sim}1{\mu}m$에 따른 흡착층 두께는 $0.299{\sim}2.700nm$로 나타났고 특히 10nm이하의 공극에서 흡착층 두께 감소에 따른 분리압력의 증가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시멘트페이스트의 자기 수축은 10nm이하의 공극이 생성되면서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분리 압력과 모세관 압력을 수축 구동력으로 적용한 자기 수축 예측치는 실험값에 비하여 재령 $1{\sim}4$일까지는 작게 이후부터는 큰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초기재령에서의 공극측정시 공극 손상과 이에 따른 수축구동력 과소평가와 불포화 개별공극 가정에 따른 수축구동력 과대평가의 상호작용으로 판단되므로 추후 이에 대한 보완점으로 수화도등의 공극 대체 모델과 불포화공극에 대한 고려사항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표투과레이더(GPR)에 의한 도로포장의 전자기적 특성값 고찰 (A Consideration on the Electromagnetic Properties of Road Pavement Using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 이지영;심재원;이상래;이강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3호
    • /
    • pp.285-294
    • /
    • 2020
  • 본 연구는 실제 공용 중인 도로에서 약 20년에 걸쳐 지표투과레이더(GPR) 조사하고 도로포장의 전자기적 특성값인 유전상수와 감쇠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도로포장의 일반적인 특성값 범위, 영향인자, 그리고 보정방법을 제시하였다. 비접촉식(Air-coupled) 1 GHz GPR 안테나로 조사한 아스팔트 포장의 일반적인 유전상수 범위는 4~7이었다.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 초기 재령에서는 유전상수가 매우 큰 값을 보였으나 재령이 경과할수록 급격하게 작아졌다. 재령 10년 이후에는 6~12 범위에 수렴하였다. 공기 중에 노출된 포장의 유전상수는 대기의 상대습도에 따라 증감하였으나 덧씌우기 포장층이 있는 경우 영향성은 1/8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레이더 파의 감쇠는 일반적으로 포장층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커지게 되며, 손상 구간에서도 증가하였다. GPR 조사 시 기상조건에 따라서 포장의 전자기적 특성값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포장상태가 양호한 경우보다 손상이 발달한 상태에서 영향성이 크게 나타났다. 이밖에 동일한 주파수의 GPR 안테나로 조사한 경우에도 장비의 특성이 달라지면 결과값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GPR 조사는 도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날씨의 변화가 거의 없고 도로표면이 깨끗한 상태에서 숙련자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보정코어, 장비 보정 등을 통해 해석결과의 신뢰도를 향상하는 것이 요구된다.

Styrene 노출에 반응을 보이는 혈청 단백질에 대한 프로테오믹스 분석 (Proteomic analysis of serum proteins responsive to styrene exposure)

  • 김기웅;허경화;원용림;정진욱;김태균;박인정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5-244
    • /
    • 2007
  • By comparing the proteins from the workers exposed to styrene with the ones from controls, it may be possible to identify proteins that play a role in the occurrence and progress of occupational disease and thus to study the molecular mechanisms of occupational disease. In order to find the biomarkers for assessing the styrene effects early, before clinical symptoms develop an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adverse health effects, we surveyed 134 employees, among whom 52 workers(30 male and 22 female) were chronically exposed to styrene in 10 glass-reinforced plastic boat manufacturing factories in Korea and 82 controls had never been occupationally exposed to hazardous chemicals including styrene. The age and drinking habits and serum biochemistry such as total protein, BUN and serum creatinine in both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Exposed worke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exposure levels of styrene(G1, below 1/2 TLV; G2, 1/2 TLV to TLV; G3, above TLV). The mean concentration of airborne styrene in G1 group was $10.93{\pm}11.33ppm$, and those of urinary mandelic acid(MA) and phenylglyoxylic acid(PGA) were $0.17{\pm}0.21$ and $0.13{\pm}0.11g/g$ creatinine, respectively. The mean concentration of airborne styrene in G2 and G3 groups were $47.54{\pm}22.43$ and $65.33{\pm}33.47ppm$, respectively, and levels of urinary metabolites such as MA and PGA increased considerably as expected with the increase in exposure level of styrene. The airborne styrene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urinary concentration of MA(r=0.784, p=0.000) and PGA(r=0.626, p<0.001). In the 2D electrophoresis, the concentration of five proteins including complement C3 precursor, alpha-1-antitrypsin(AAT), vitamin D binding protein precursor(DBP), alpha-1-B-glycoprotein(A1BG) and inter alpha trypsin inhibitor(ITI) heavy chain-related protein were significantly altered in workers exposed to styrene compared with controls. While expression of complement C3 precursor and AAT increased by exposure to styrene, expression of DBP, A1BG and ITI heavy chain-related protein de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osure of styrene might affects levels of plasma proteinase, carriers of endogenous substances and immune system. In particular, increasing of AAT with the increase in exposure level of styrene can explain the tissue damage and inflammation by the imbalance of proteinase/antiproteinase and decrease of DBP, A1BG and ITI heavy chain-related protein in workers exposed to styrene is associated with dysfunction and/or declination in immune system and signal transduction

Correlates of Lymphedema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 Case Control Study in Shiraz, Southern Iran

  • Honarvar, Behnam;Sayar, Negin;Tahmasebi, Sedigheh;Zakeri, Zeinab;Talei, Asra;Rostami, Sara;Khademi, Sahar;Sarvestani, Amene Sabzi;Sekhavati, Eghba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sup3호
    • /
    • pp.81-85
    • /
    • 2016
  • Globally, the burden of breast cancer (BC) continues to increase. BC related lymphedema (BCRL) is currently non curable and as a life time risk it affects at least 25% of BC patients. Knowing more about BCRL and appropriate control of its modifiable risk factors can improve quality of life (QOL) of the affected patients. In this case control study to detect factors, 400 women with BCRL (as the case group) and 283 patients with BC without lymphedema (as the control group) that were referred to Shiraz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affiliated BC clinic center were assessed. The data were analyzed in SPSS. The mean age of the case group was $52.3{\pm}11.0years$ and of the control group was $50.1{\pm}10.9years$. In patients with BCRL, 203(50.7%) had left (Lt) side BC and in non- lymphedema group 151 (53.3%) had Lt side BC. Out of all BCRL patients, 204 (51%) had lymphedema in all parts of their affected upper extremities, 100 (25%) had swelling in the arm and forearm and 23 (5.7%) had edema in both the upper extremity and trunk. Edema, heaviness, concern about changing body image, pain and paresthesia were the most common signs/symptoms among patients with BCRL. In BCRL patients, the difference of circumference between the affected upper limb and non-affected limb was $4.4{\pm}2.5cm$ and the difference in volume displacement was $528.7{\pm}374.4milliliters$. Multiple variable analysis showed that moderate to severe activity (OR; odds ratio =14, 95% CI :2.6-73.3), invasiveness of BC (OR =13.7, 95% CI :7.3-25.6), modified radical mastectomy (OR=4.3, 95% CI :2.3-7.9), BMI =>25 (OR=4.2, 95% CI :2-8.7), radiotherapy (OR=3.9, 95% CI :1.8-8.2), past history of limb damage (OR=1.7, 95% CI :0.9-3.1) and the number of excised lymph nodes (OR=1.06, 95% CI :1.02-1.09)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lymphedema in women with BC. Modifiable risk factors of BCRL such as non-guided moderate to severe physical activity, high BMI and trauma to the limb should be controlled as early as possible in BC patients to prevent development of BCRL and improve QOL of thes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