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gnition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2초

소동물용 뇌자도 측정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Magnetoencephalograph System for Small Animals)

  • 김지은;김인선;강찬석;권혁찬;김진목;이용호;김기웅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13권1호
    • /
    • pp.18-23
    • /
    • 2011
  • We developed a four-channel first order gradiometer system to measure magnetoencephalogram for mice. We used double relaxation oscillation SQUID (DROS). The diameter of the pickup coil is 4 m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ils is 5 mm. Coil distance was designed to have good spatial resolution for a small mouse brain. We evaluated the current dipole localization confidence region for a mouse brain, using the spherical conductor model. The white noise of the measurement system was about 30 fT/$Hz^{1/2}$/cm when measured in a magnetically shielded room. We measured magnetic signal from a phantom having the same size of a mouse brain, which was filled with 0.9% saline solu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ed system has a feasibility to study the functions of brain of small animals.

소비자의 웨어러블즈 스포츠웨어 기술수용 과정에서 연령, 인지욕구, 패션관여의 조절효과 연구 (Differing effects of perceived psychological benefits of wearables adoption by consumer age, need for cognition, and involvement)

  • 이은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289-299
    • /
    • 2020
  • 본 연구는 기존의 기술수용모델의 핵심인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지각된 편의성이 소비자의 제품 품질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연령, 인지욕구, 그리고 패션관여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조사했다. 분석 결과, 가정되었던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의 지각된 품질에의 긍정적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웨어러블즈의 수용에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설명했던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일관되었다. 반면 가정되었던 연령, 인지욕구, 패션관여의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가령 응답자 연령은 웨어러블즈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이 지각된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부적 조절효과를 보인 반면,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지각된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A Design-related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for Brand Communication in Retail Spaces

  • LEE, Jeongmin;CHU, Wujin;YI, Jisu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6호
    • /
    • pp.109-123
    • /
    • 2022
  • Purpose: This research presents a practical tool aimed at increasing collaboration between designers and marketers for effective retail space branding. We present a design-related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DIP Model), which is a schematic map that includes cognitive theories which have design applications to retail space brand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ractitioner opinion survey, 43 theories pertaining to the brand communication in retail spaces were selected, and design applications of the theories were analysed through field trips to stores of global brands. Results: The DIP Model consists of two ax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axis (i.e., encoding vsretrieval) and the regulatory focus axis(i.e., promotion vs prevention). Theories related to information processing axis are theories that facilitate the encoding and retrieval of information as intended by the company. Theories related to regulatory focus axis are theories that reinforce positive cognition and prevent negative cognition regarding the brand. Conclusions: The DIP Model is developed as a tool to categorise cognitive theories that are applicable to the design of brand communication in retail spaces. As such, the model can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behavioural design, with the aim of building stronger brands in retail spaces.

작업자의 인지를 고려한 공정 설계에 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Analysis of a Process Design Considering Worker's Cognition)

  • 김연민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80-85
    • /
    • 2016
  • This study suggests a process design using cognitive processes. Job characteristic model for job design and recent cognitive engineering studies for process design are reviewed briefly. By using these concepts, the lean production system is re-interpreted in terms of cognitive engineering and the latent dimensions of the lean production system are revealed as the application of cognitive engineering principles. An integrated process design framework for cognitive manufacturing system using job characteristic model is suggested for the effective design of manufacturing system. Propositions for empirical analysis of this model are also analyz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Propositions are (1) experiential cognition and motivation potential affect the ability, role perception, and need for achievement of the operator in the manufacturing system, (2) the ability, role perception, and need for achievement of the operator affect the job performance. Both propositions are support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How Language Locates Events

  • 남승호
    • 인지과학
    • /
    • 제10권1호
    • /
    • pp.45-55
    • /
    • 1999
  • 본 논문은 사건/사타에 대한 공간적 인지가 수행되는 기본적인 방식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그 사건/사태에 참여하는 참가자의 위치가 가장 주요한 요인임을 주장하고, 자연언어는 공간적 인지를 표현하기 위해 비교적 "단순한" 의미유형을 사용하고 있으며, 공간표현을 해석할 때 사건/사태 전체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으로 해석하지 않고, 그 참가자로 표현된 논항(arguments)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으로 해석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장소표현이 타동사의 두 논항의 위치를 지정하는 방식을 네 가지 유형의 노항지향성(argument orientations)으로 분류하여 기술하였고, 논항지향성을 통하여 영어를 포함한 자연언어의 장소표현이 관계(relations)의 집합에서 관계의 집합으로 사상하는 교차함수(intersecting functioins)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의미해석상의 제약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 PDF

천연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위성자료의 객체 및 픽셀기반의 비교 (Comparison of object oriented and pixel based classification of satellite data for effective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 자야쿠마;허준;손홍규;이정빈;김종석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5-218
    • /
    • 2007
  • 이 논문은 고해상도 Quickbird 영상을 이용하여 세부레벨계획을 위한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하였으며 고해상도 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를 위하여 객체기반분류와 ISODATA 기법을 적용하였다. 객체기반분류는 eCognition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으며 ISODATA 기법의 토지피복분류 결과와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은 인도의 Sukkalampatti이라 하는 작은 유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고해상도 영상의 사용으로 토지피복분류에 있어서 공간 해상도에 따른 토지피복의 세부레벨분류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또한, 객체기반분류와 ISODATA 기법의 분류 결과는 eCognition을 사용한 객체기반 토지피복분류결과가 ISODATA의 픽셀기반의 분류방법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 PDF

고해상도 영상 및 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객체 기반 건물 탐지 (Object-based classification for building detection using VHR image and Lidar data)

  • 윤여상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7-310
    • /
    • 2006
  • 고해상도(VHR, Very High Resolution) 영상은 활용에 따라 도심의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잠재적 가치가 매우 큰 자료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해상도 영상자료는 매우 높은 공간해상력으로 인해 같은 용도의 객체 혹은 같은 객체(예, 건물)라 할지라도 다양한 분광 특성 및 형태로 표현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고해상도영상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주제도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현재까지 영상분류 분야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화소(pixel)단위 기반의 분석방법으로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세그멘트(segment) 혹은 객체(object) 기반 분류기법을 고해상도 영상 및 라이다 자료에 적용하여 도심지역의 건물들을 추출해 보았으며, 그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판단해 보았다. 이러한 세그멘트 기법은 분류하고자 하는 객체들을 하나의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집단으로 모으는 방법을 말하는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multi-resolution image segmentation기법을 제공해주는 eCognition이라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다.

  • PDF

일개 농촌지역 노인의 아포지단백 E 다형성과 인지기능 변화 (Apolipoprotein E Polymorphism and Cognitive Function Change of the Elderly in a Rural Area, Korea)

  • 김상규;황태윤;이경수;강복수;조희순;배영경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2권4호
    • /
    • pp.261-266
    • /
    • 2009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gnitive function change related to aging, the incidence of cognitive impairment, and the association between apolipoprotein E polymorphism and cognitive impairment through a follow-up of the elderly with normal cognitive ability at baseline. Methods : Two hundred and fifteen subjects aged 65 and over were surveyed in February, 1998 (baseline survey), and their cognitive function was assessed again in 2003 1st follow-up) and the once again in 2006 (2nd follow-up). Ninety one subjects completed all surveys up through the 2nd follow-up and their cognitive function scores using MMSE-K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apolipoprotein E allele were analyzed. Results : The cognitive function scores decreased with aging and the difference between baseline and the 2nd follow-up scores of the study increased with the age group. The incidence rate of cognitive impairment through an 8-year follow-up was 38.5% and higher in older age groups. Age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for incidence of cognitive impairm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polipoprotein E genotype and incidence of cognitive impairment. Conclusions : The cognition of the elderly decreased with aging and the association of apolipoprotein E genotype with incidence of cognitive impairment was not significant in this study. To confirm the association between apolipoprotein E polymorphism and incidence of cognitive impairment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