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extbook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초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한 e-PBL 기반 정보통신교육 지도 방안 (A Teaching Method about e-PBL Based Information Communication Education using Cyber Home Study System)

  • 김현배;강정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91-302
    • /
    • 2009
  •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교육현장에서는 컴퓨터 기능 습득을 중점으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정보통신기술교육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학습자 중심의 변화된 교육환경을 요구하고 있지만, 일선의 교육현장에서는 여전히 컴퓨터 기능 습득만을 컴퓨터교육내용의 전부로 인식하고 있다. 본 논문은 '울산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e-PBL환경'을 구축하고 효과적인 컴퓨터교과 지도방안을 설계한다. '울산 사이버가정학습'을 웹 환경으로 구축하고, 정보통신기술교육 교재 '우리 생활과 정보'의 각 단원을 재구성하여 학습자 중심의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연구한다.

  • PDF

웹 전자교과서 평가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for Web Electronic Textbooks)

  • 이돈언;김의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53-64
    • /
    • 2001
  • 인터넷 학습 자료를 평가하는 그 동안의 연구들은 학습자료를 제작하는 프로그래머나 연구자의 입장에서 평가 문항들이 개발되어 자료의 신빙성이나 인터페이스의 설계 등을 위주로 평가항목이 개발되었다. 학습자나 사용자들의 편의성이나 활용성은 거의 고려가 되지 않은 상태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결하고자 현직교사들과 학생들을 위한 평가문항을 제작하여 실질적으로 사용자 입장에서의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한 수업을 설계하고자 하는 사람들과 학생들이 인터넷 학습자료를 찾고자 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웹 전자교과서 평가준거 80개를 마련하였다. 연구의 결과물은 앞으로 인터넷상에 수 없이 많이 만들어질 전자교과서들을 평가하게 될 것이며 평가된 웹 전자교과서는 학생들과 교사들에게 유의미하게 제공되어 학생들의 학습력을 신장시킬 것이다.

  • PDF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의 개념과 미래형 교과서의 방향 정립을 위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study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extbooks using online content and the direction of future textbooks)

  • 안성훈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4호
    • /
    • pp.257-264
    • /
    • 2021
  • COIVD-19로 인해 2020년부터 온라인 수업이 실시되면서 e-book, 구글 도구, 동영상 등 수업 시 온라인 콘텐츠 활용이 증가하였다. 이에 학생들이 온라인 환경에서도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교사가 만들어가는 교과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교사들은 온라인 수업 및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하는 학생 참여형 수업이 확대됨에 따라 서책형 교과서뿐 아니라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를 능동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즉, 온라인 수업을 위한 대비에만 국한하지 않고, 미래 교육체제로 변환을 위해 온라인 교과서의 개념 정립과 현행 교과서의 제도 및 방향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도입되고 잇는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의 개념 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들을 분석하였고 향후에 개발될 미래형 교과서의 개발 방향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탐색하였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원주율의 지도방안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pi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최은아;강향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589-610
    • /
    • 2022
  • 본 연구는 2023년부터 적용 예정인 6학년 2학기 검정 교과서를 대상으로 초등 수학에서 원주율 개념을 어떻게 지도하고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여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주율 개념과 원주율 지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으며, 개념 추론하기, 속성 이해하기, 관계 적용하기의 교수·학습요소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통해, 어림 활동이 원주율 개념의 추론 활동으로 연결되기 위한 다양한 어림 맥락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과 지름과 원주를 실제로 측정을 해야 하는 동기를 제공하는 문제 상황의 제시, 지름을 단위로 하여 원주 위를 반복하여 세는 측도의 속성을 탐구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 원주율의 상수 속성의 명시화, 상황에 따라 원주율의 근삿값 선택의 유연함을 경험하게 할 것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이상의 결론과 교수학적 시사점을 바탕으로 원주율의 도입 맥락과 공학 도구 활용에 초점을 맞추어 초등 수학에서 원주율 개념의 지도 방안과 향후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에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Second Language Classroom Discourse: The Roles of Teacher and Learners

  • Jung, Euen-Hyuk Sarah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4호
    • /
    • pp.121-137
    • /
    • 2005
  •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roles of teacher and learners affect the repair patterns of both teacher's and learner's utterances in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ESL) classroom discourse. The study analyzed beginning ESL classroom discourse and found that the structure of repair seems to be greatly influenced by the roles of participants in a second language classroom. The teacher's repair work was mainly characterized by self-repair. In contrast, learners' repair sequences were predominantly characterized by other-repair. More specifically, self-initiation by the learner of the trouble source was cooperatively completed by the teacher and the other learners. Other-initiated and other-completed repair was the most prevalent form in the current classroom data, which was carried out by the teacher in both modulated and unmodulated manners. When the trouble sources were mostly concerned with the learners' problems with linguistic competence and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textbook, other-repair took place in a modulated manner (i.e., recasting and prompting). On the other hand, when dealing with learners' errors with factual knowledge, other-repair was conducted in an unmodulated way (i.e., 'no' plus correction).

  • PDF

MiC 교과서의 함수 과제에 대한 의사소통의 유형별 요소에 관한 탐색 (A study on the Elements of Communication in the Tasks of Function of Mathematics in Context Textbook)

  • 황혜정;최선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353-374
    • /
    • 2016
  • 우리나라 2015 개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의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 중 하나는 창의적 역량을 갖춘 융합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을 제안하며 이를 위하여 수학 교과 역량을 강조하였는데, 이 중 하나가 의사소통이다. 본 연구에서는 김상화 방정숙(2010)이 제안한 D.R.O.C 유형을 근간으로 의사소통의 유형별 요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의사소통 요소를 탐색을 위하여 Mathematics in Context 교과서를 선정하여 총 34개의 함수 내용 관련 과제에 속한 316개 문항을 대상으로 하였다. 해당 교과서는 수학적 의사소통의 유형별 요소에 따른 과제 중심의 수업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함수 내용의 특성상 주로 그래프로 나타내거나 해석하는 것과 같은 표현에 해당하는 문항들이 많음을 보였다. 또한 자신이 접한 내용, 문제 풀이 과정, 또는 자신의 판단이나 생각들을 언어를 통해 말하고, 동료들과 서로 설명해 보게 하는 담화 유형과 구체물을 이용하는 조작 유형들을 다룸으로써 처음 접하는 용어나 개념에 친숙하게 접근하도록 이끌고 있었다. 한 마디로, 의사소통 유형 및 요소를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함수 관련 내용을 습득할 수 있도록 과제들이 비교적 풍부히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공지능 수학> 교과서의 '관련 학습 요소' 반영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Related Learning Elements' Reflected in Textbooks)

  • 권오남;이경원;오세준;박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445-473
    • /
    • 2021
  •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 과목으로 설계된 <인공지능 수학> 교과서를 분석하여 차기 교육과정 설계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인공지능 수학> 시안을 담은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에서는 '학습 요소' 대신에 '관련 학습 요소'를 제시하고 있다. '관련 학습 요소'는 인공지능의 맥락에서 활용될 수 있는 수학적 개념이나 원리로 정의하고 있는데 '관련 학습 요소'를 다루는 범위와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제한은 없다. 이에 '관련 학습 요소'가 <인공지능 수학> 교과서에서 반영된 양상을 형식, 범위와 방법, 공학적 도구 활용 방식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교과서별로 '관련 학습 요소'를 교과서에 기술하는 형식상의 차이와 수학 개념을 취급하는 양과 범위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관련 학습 요소'를 하나의 수학 개념과 동일하게 정의하여 사용한 경우와 정의보다는 인공지능의 맥락에서 설명 위주로 서술하였다. '관련 학습 요소'를 인공지능의 맥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교과서별로 유사한 공학적 도구를 다루었지만, 계산과 결과를 해석하는 활동 중심이었다. 고등학교 수학 과목으로서 <인공지능 수학>의 지향을 교과서에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서 '관련 학습 요소'에 관한 체계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학생들이 인공지능 맥락의 활용 사례를 경험하기 위해서는 공학적 도구를 활용하여 문제를 설정하고 해결할 수 있는 내실화된 활동이 교과서에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러시아의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준별 교수내용의 분석 (An Analysis of Differentiated Teaching Materials in the Russian Mathematics Textbooks)

  • 한인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139-170
    • /
    • 2022
  • 수준별 수학교육과 관련하여 러시아는 우리나라보다 오랜 연구와 실천의 경험을 가지고 있다. 현재 러시아에서 사용 중인 10-11학년 수학과 교육과정은 수준별 교육과정으로 기본수준과 심화수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본수준과 심화수준은 다루는 최소필수내용,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수준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리고 10-11학년의 수학교과서도 수준별 교과서이다.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의 10학년 '대수와 해석의 기초'의 교과서들 중에서 같은 저자 그룹에 의해 집필된 기본수준 교과서, 심화수준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심화수준 교과서에만 있는 '실수', '복소수' 단원의 내용을 조사하여 심화의 성격으로 추가된 주요 학습 내용과 교과서 기술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기본수준 교과서와 심화수준 교과서에 모두 포함된 단원인 '함수', '삼각함수', '삼각방정식', '삼각함수 식들의 변환', '도함수'에 대해서는 기본수준과 심화수준 교과서의 주요 학습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고, 두 수준의 교과서에 제시된 정의와 정리의 서술상 특징도 비교, 분석하였다.

경남 창원시 초등학교 학교숲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School Forests of Elementary Schools in Changwon-City, Gyeongnam-do)

  • 강미영;주정운;김소진;김태운;문현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07-218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school forests in order to utilize school forests as a plac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analyzing the planting status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Changwon-city. School forests including meditation forest were the largest in Yongho elementary school (below e.s.) in meditation forest school and Dogye (e.s) in normal school. Jehwang (e.s.) and Sangnam (e.s.) showed the most abundant green area given for the management per member. The number of planting species and individuals in school forests differed greatly by elementary schools.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lanted species for establishment of meditation for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ncordance rate between the plants planted in the school forest and the plants mentioned in the textbook between meditation forest schools and normal schools. Index of ecological health averaged 3.2 for meditation forest schools and 2.4 for normal schools, which is the result of increase in green area and green rate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meditation forest.

과학교과서의 학년 간 언어적 특성 분석 -텍스트 정합성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Linguistic Features in Science Textbooks across Grade Levels: Focus on Text Cohesion)

  • 류지수;전문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71-82
    • /
    • 2021
  • 교과서를 통한 학습의 효율성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에 수록된 텍스트 특성이 예상된 학습자의 특성(i.e., 언어적 및 인지적 능력, 배경지식 수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조절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현재 연구에서는 과학교과서 개발에 이러한 체계적인 원칙이 반영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학교 1, 2, 3학년 과학교과서의 학년 간 언어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어 분석 프로그램인 Auto-Kohesion 시스템을 활용하여 기존 텍스트 분석 연구에 많이 활용되었던 텍스트 표층 구조 측정치, 어휘 관련 측정치, 통사적 복잡성 측정치와 같은 피상적 측정치에 더하여 여러 정합성 관련 측정치(e.g., 명사 반복, 접속사, 대명사)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 대체로 어절 및 문장 길이, 어휘 빈도와 같은 피상적으로 두드러지는 특성에 대해서는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텍스트 복잡도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조절이 이루어졌지만, 그 외의 많은 언어적 특질에 대해서는 체계적으로 조절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러 정합성 측정치들이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시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저학년 학습자들이 교과서를 사용할 때 발달 단계에 맞지 않는 어려운 텍스트를 접할 가능성이 있어서 학습 의욕 및 효율성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아울러 고학년 교과서가 고등 교육을 대비하여 더욱 복잡한 텍스트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시키기 위한 용도로 적절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추후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예상된 독자 특성의 변화에 따라 정합성 측정치를 포함한 여러 언어적 특성이 단계적으로 조절되어야 함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