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9초

ON THE MATCHING NUMBER AND THE INDEPENDENCE NUMBER OF A RANDOM INDUCED SUBHYPERGRAPH OF A HYPERGRAPH

  • Lee, Sang June
    • 대한수학회보
    • /
    • 제55권5호
    • /
    • pp.1523-1528
    • /
    • 2018
  • For $r{\geq}2$, let ${\mathcal{H}}$ be an r-uniform hypergraph with n vertices and m hyperedges. Let R be a random vertex set obtained by choosing each vertex of ${\mathcal{H}}$ independently with probability p. Let ${\mathcal{H}}[R]$ be the subhypergraph of ${\mathcal{H}}$ induced on R. We obtain an upper bound on the matching number ${\nu}({\mathcal{H}}[R])$ and a lower bound on the independence number ${\alpha}({\mathcal{H}}[R])$ of ${\mathcal{H}}[R]$. First, we show that if $mp^r{\geq}{\log}\;n$, then ${\nu}(H[R]){\leq}2e^{\ell}mp^r$ with probability at least $1-1/n^{\ell}$ for each positive integer ${\ell}$. It is best possible up to a constant factor depending only on ${\ell}$ if $m{\leq}n/r$. Next, we show that if $mp^r{\geq}{\log}\;n$, then ${\alpha}({\mathcal{H}}[R]){\geq}np-{\sqrt{3{\ell}np\;{\log}\;n}-2re^{\ell}mp^r$ with probability at least $1-3/n^{\ell}$.

개오가피의 성분 및 항암효과 (Chemical Components of Acanthopanax divaricatus and Anticancer Effect in Leaves)

  • 육창수;노영수;서성훈;임재윤;한덕용
    • 약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51-261
    • /
    • 1996
  • Acanthopanax divaricatus Seem. is a medicinal plant growing widely through out Korea, Japan and China. The plant material of Acanthopanax spp. is used as analgesic , tonic, sedative drug as well as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rheumatism and diabetes. From the stem barks and root barks of A. divaricatus, diterpenoid compound was isolated and identified as pamaric acid ($C_{20}H_{30}O_2,\;mp\;164^{\circ}C$), lignan compound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d-sesamin ($C_{20}H_{18}O_6,\;mp\;123{\sim}124^{\circ}C$), eletheroside E ($C_{34}H_{46}O_{18},\;mp\;257{\sim}259^{\circ}C$), three sterol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beta}$-sitosterol, campesterol, stigmasterol, and six fatty aci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stear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onic acid and behenic acid. And also leaves of A. divaricatus, chiisanoside were identified, one of secotriterpenoidal compound(white amorphorous powder crystal, mp $228^{\circ}C$). Anticancer activity and nephrotoxicity were tested by MTT assay. Anticancer effect of chiisanoside was much lower than that of cisplatin.

  • PDF

산란계 사료 내 미세조류(Mychonastes pushpae) 첨가에 따른 생산성, 장내 면역세포 및 장내 미생물의 변화 (Changes of Productivity, Intestinal Immune Cells and Gut Microbiota in Laying Hens by Microalgae (Mychonastes pushpae) Supplementation)

  • 김예은;한고은;주상석;김유빈;정지영;김명후;이경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27-143
    • /
    • 2024
  • 본 연구는 미세조류(Mychonastes pushpae, MP) 급여를 통한 산란계의 생산성, 장관 면역의 분포, 장내 미생물 구성 및 미생물 기능 관련 유전자의 풍부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료 내 미세조류(MP) 첨가 시 계란의 생산성이 증가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미세조류가 첨가된 사료 섭취 시 산란계의 소장 내 CD3+ T cell subset중 하나인 CD8-TCR γδ+ T cells과 MHCII+ APC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관찰되었으며, 장내 미생물 중 유익균을 증가시키고 불포화 지방산 생산 관련 유전자 풍부도가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유해균 침입과 관련된 유전자 풍부도가 감소하여 산란계 또는 산란계 유래 계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미세조류(MP)가 산란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장관 면역과 장내 미생물 조절을 통해 산란계의 장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축산식품(계란)의 안전성을 강화할 가능성을 가진 효과적인 항생제 대체제임을 제안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시판용 넙치(치어)사료의 성분 비교분석을 통한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Extruded Pellets and Moist Pellet Based on Biochemical Analyses for Juvenile Olive Flounder, Parazichthys Olivaceus)

  • 최세민;한경민;왕소길;이승형;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4-150
    • /
    • 2004
  • 본 연구는 현재 국내 넙치 양식장에서 이용되고 있는 MP, DEP-1, DEP-2, DEP-3, FEP-1, FEP-2에 대해서 농림부에서 규정하고 성분규격 등록항목 외에 사료의 P/E ratio, POV, AnV, Totox, VBN, 총균수, 사료내 지방산 및 아미노산 조성과 그동안 이루어진 넙치 사료영양관련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여 국내 시판중인 넙치 사료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6가지 사료 모두 요구량 이상으로 단백질이 과잉첨가 된 것으로 생각되며 MP, DEP-1, DEP-2, FEP-1은 사료 내 지질 함량도 과잉첨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H ratio를 기준으로 볼때, MP와 FEP-2는 특히 단백질 함량이 과잉 첨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FEP-1는 특히 지방이 너무 많이 첨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MP가 배합사료에 비해 사료내 인 함량이 요구량 이상으로 과잉 첨가되어 있어 수질오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지방산패 및 단백질 부패는 MP가 배합사료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이 높으며, 더욱더 취급 시에 보관 및 관리에 신경을 써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지방산의 조성에 있어서는 DHA와 EPA 모두 MP가 배합사료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배합사료는 이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료 내 라이신 함량은 MP와 FEP-2가 요구량 수준으로 첨가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 외 사료들은 요구량 기준으로 라이신 함량이 부족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추가첨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농림부에서 양축용 사료 및 반추동물용 섬유질 배합사료의 성분등록을 축종과 사육시기별 품질관리 기준과 같이 양어용 배합사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어종별, 크기별 품질관리 기준이 마련되어야 사료회사 및 양식업자가 배합사료에 대한 신뢰성을 회복하고, 이를 통하여 생사료에서 배합사료로 전환을 앞당길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변형된 페이스 마스크의 치아 및 골격적 효과 (Effects of conventional and modified facemask therapies on dentofacial structures)

  • Yagci, Ahmet;Uysal, Tanca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32-443
    • /
    • 2010
  • 이번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페이스 마스크와 변형된 페이스 마스크의 치아 및 골격적 효과를 평가하고자 III급 부정교합환에서 치료군과 비치료군을 비교하였다. 24명의 환자(여자: 13명, 남자: 11)로 구성된 기존의 페이스 마스크 그룹(Group 1, mean age, $9.2{\pm}1.4$ years)과 24명의 환자(여자: 12명, 남자: 12명)로 구성된 변형된 페이스 마스크(Group 2, mean age, $9.3{\pm}1.6$ years); 그리고 21 명(여자: 11 명, 남자: 10명)으로 구성된 대조군 그룹(Group 3, mean age, $9.8{\pm}1.9$ years)으로 분류하였다. 그룹 내 그룹 간에 치료군과 대조군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룹 내 비교는 비모수적인 방법의 Wilcoxon's test으로 그룹 간의 변화는 Kruskal-Wallis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후 그룹 간의 통계적인 유효성 검증을 위하여 Mann-Whitney test와 Bonferroni's correction 을 시행하였다 (p < 0.016). Group 1에서 SNB 변화가 대조군보다 적었다. SNA, ANB, SN-MP, A to N perp과 Upper lip to E plane이 증가하였다. Group 2에서는 SNB, U1-NA (mm) U1-NA ($^{\circ}$) and Pog to N perp (mm) 변화는 대조군보다 적었다. SNA, ANB, SN-MP, A to N perp과 Upper lip to E plane이 증가하였다. 변형된 페이스 마스크는 상악 열성장이 있는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악궁 확장을 동반한 페이스 마스크를 통하여 상악은 회전을 야기시키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하였으며 모든 치료군에서 하악은 후하방으로 이동하였다.

제 I 급 부정교합 환자의 발치와 비발치 교정치료 전.후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PRE- AND POST-TREATMENT CEPHALOMETRIC MEASUREMENTS: EXTRACTION VS. NON-EXTRACTION GROUPS OF CLASS I MALOCCLUSION)

  • 유형석;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61-770
    • /
    • 1997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교정과와 영동세브란스 병원 치과 교정과에 내원하여 최근에 교정치료가 끝난 제 I 급 부정교합 환자중 소구치를 발치하고 치료한 발치군과 비발치로 치료한 비발치 치료군 71명을 선정하고 다시 연령에 따라 청소년기와 성인으로 분류하여 교정치료 전후의 두부방사선 계측분석 사진을 통하여 치아와 연조직의 수평$\cdot$수직적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치군과 비발치군간의 비교에서는 SN-MP angle, E-line에 대한 상순의 이동, 상악 제1대구치의 수직이동량, 하악 제1대구치의 수평이동량 등의 항목을 제외한 모든 치아계측항목과 연조직 계측항목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2. 청소년기의 발치군과 비발치군간의 비교에서는 상하악 전치의 경사도와 수직기준선으로부터의 전치부 수평 변화 항목, 상악 제1대구치의 근심이동, E-line에 대한 상,하순의 위치변화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3. 성인에서의 발치와 비발치군간의 비교에서는 상하악 전치의 경사도와 수직기준선으로부터의 수평적 위치 변화와, 상악 제1대구치의 수직 고경 및 하악 제1대구치의 근심이동, E-line과 수직기준선으로부터의 상,하순의 위치 변화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4. 청소년기와 성인 모두에서 SN-MP angle의 변화는 발치군과 비발치군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 PDF

Comparison of In vitro Gas Production, Metabolizable Energy, Organic Matter Digestibility and Microbial Protein Production of Some Legume Hays

  • Karabulut, Ali;Canbolat, Onder;Kalkan, Hatice;Gurbuzol, Fatmagul;Sucu, Ekin;Filya, Ismai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4호
    • /
    • pp.517-522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in vitro gas production kinetics, metabolizable energy (ME), organic matter digestibility (OMD) and microbial protein (MP) production of widely used legume hays in ruminant nutrition in Turkey. Gas production were determined at 0, 3, 6, 12, 24, 48, 72 and 96 h and their kinetics were described using the equation p = a+b ($1-e^{-c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legume hays in terms of chemical composition.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legume hays ranged from 11.7 to 18.6% of dry matter (DM); crude fat from 2.1 to 3.5% DM; neutral detergent fiber from 35.6 to 52.0% DM; acid detergent fiber from 32.0 to 35.5% DM and acid detergent lignin 1.7 to 11.0% DM. Total gas production after 96 h incubation ranged between 61.67 and 76.00 ml/0.200 g of substrate. At 24, 72 and 96 h incubation the total gas production for common vetch were significantly (p<0.01)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legume hays. The ME, OMD and MP of legume hays ranged from 9.09 to 11.12 MJ/kg DM, 61.30 to 75.54% and 90.35 to 138.05 g/kg DM, respectively. The ME, OMD and MP of common vetch was significantly (p<0.01)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hays due to low cell-wall contents and high crude protein.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differenc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legume hays resulted in the differences in the in vitro gas production, gas production kinetics and the estimated parameters such as ME, OMD and MP. Common vetch can be recommended to hay producers and ruminant breeders, due to high ME, OMD and MP production.

Therapeutic Efficacy and Safety of Prolonged Macrolide, Corticosteroid, Doxycycline, and Levofloxacin against Macrolide-Unresponsive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in Children

  • Ha, Seok Gyun;Oh, Kyung Jin;Ko, Kwang-Pil;Sun, Yong Han;Ryoo, Eell;Tchah, Hann;Jeon, In Sang;Kim, Hyo Jeong;Ahn, Jung Min;Cho, Hye-Kyung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43호
    • /
    • pp.268.1-268.11
    • /
    • 2018
  • Background: We aimed to compar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prolonged macrolide (PMC), corticosteroids (CST), doxycycline (DXC), and levofloxacin (LFX) against macrolide-unresponsive Mycoplasma pneumoniae (MP) pneumonia in children and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secondary treatment ag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data of patients with MP pneumonia hospitalized between January 2015 and April 2017. Macrolide-unresponsiveness was clinically defined with a persistent fever of ${\geq}38.0^{\circ}C$ at ${\geq}72$ hours after macrolide treatment. The cas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PMC, CST, DXC, and LFX. We compared the time to defervescence (TTD) after secondary treatment and the TTD after initial macrolide treatment in each group with adjustment using propensity score-matching analysis. Results: Among 1,165 cases of MP pneumonia, 190 (16.3%) were unresponsive to macrolides.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achieved defervescence within 48 hours in CST, DXC, and LFX groups were 96.9% (31/33), 85.7% (12/14), and 83.3% (5/6), respectively. The TTD after initial macrolide treatment did not differ between PMC and CST groups (5.1 vs. 4.2 days, P = 0.085), PMC and DXC groups (4.9 vs. 5.7 days, P = 0.453), and PMC and LFX groups (4.4 vs. 5.0 days, P = 0.283). No side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CST, DXC, and LFX groups. Conclusion: The change to secondary treatment did not show better efficacy compared to PMC in children with macrolide-unresponsive MP pneumoni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guide appropriate treatment in children with MP pneumonia.

벼농사의 기후스마트농업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MP-MAS 활용 연구 (The Study of MP-MAS Utilization to Support Decision-Making for Climate-Smart Agriculture in Rice Farming)

  • 김학영;김준;최성원;요하나 마리아 인드리와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78-388
    • /
    • 2016
  • 국제사회는 현재 1) 지속가능한 생산력 및 소득의 증대, 2)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탄력 구축, 그리고 3) 온실 기체 방출의 감축을 함께 달성하는 기후스마트농업(Climate-Smart Agriculture, CSA)의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고자 협력하고 있다. 이는 200여 년 전 다산 정약용이 강조한 후농(厚農), 편농(便農), 상농(上農)의 3농의 비전과 맥락을 같이 할 뿐 아니라, 성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관리할 총체적 지수의 개발과 이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실용적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스마트농업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행위자 기반 모형인 MP-MAS를 소개하고, 국내 적용을 위해 구축한 초기 모형을 벼농사에 적용하여 도출한 예비 결과를 제시하였다. MP-MAS는 농민들과 정책 입안자들이 함께 다른 관점에서 다양한 선택 사양을 고려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추후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탄력 구축과 온실기체 방출의 감축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확장될 경우, 국제적인 압박으로 다가오는 기후스마트농업의 목표 달성뿐만 아니라, 다산의 3농 비전인 지속가능한 농업-사회시스템을 구현하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텔 MKL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Xeon Phi Coprocessor 벤치마크 (Benchmarking the Intel Xeon Phi Coprocessor with Intel MKL library)

  • 박영수;박구락;김진묵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5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2호
    • /
    • pp.1-4
    • /
    • 2014
  • 인텔 Many Integrated Core (MIC) 아키텍쳐는 61개의 코어가 하나의 칩에 결합되어 있다. Xeon Phi 로 명명된 인텔 MIC는 인텔 E5 Xeon CPU 보다 2배의 single precision GFLOPs 성능을 제공한다. 인텔 MIC 는 수치연산에 최적화 되어 있는 아키텍쳐이다. 우리는 Xeon Phi 7120P를 가지고 벤치마킹을 하였고 클락스피드 1.238GHz, 61Core 이고 한 개의 코어당 4쓰레드를 사용하며 이론상 최고 성능은 Peak Double Precision(GFLOP)는 약 2-TFlops 이다. 이에 우리는 인텔 X86 아키텍쳐에서 openMP 와 인텔 MKL(Math kernel library)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병렬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쓰레드 수를 증가 시키면서 인텔 Xeon Phi 와 E5 Xeon CPU에서 single precision 성능을 벤치마킹 하여, Xeon Phi 와 Xeon E5 의 이론적인 성능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또한 openMP와 인텔 MKL라이브러리를 사용한 병렬환경에서 CPU의 성능 지표인 클락스피드와 코어수 외에 Vector unit size 의 크기가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