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arning service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26초

QoS보장형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분산 원격강의 컨텐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istributed Remote Lecture Contents for QoS Guarantee Streaming Service)

  • 최용준;구자효;임인택;최병도;김종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9A권4호
    • /
    • pp.603-614
    • /
    • 2002
  •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컨텐츠를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효율은 저작방식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영상녹화장치를 사용하여 동영상으로 녹화된 강의는 미디어 서버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며, 원격강의 저작도구를 사용하여 저작된 강의는 컨텐츠 파일을 학습자가 다운로드 하여 재생하게 된다 최근에는 플래시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저작한 컨텐츠의 서비스 방식도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 동기화 기법으로 저작된 원격강의 컨텐츠를 재생 시간별고 블록화 하여 인터넷의 여러 서버에 분산배치하고, 이를 학습자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형태로 수집하고 재생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다운로드를 기반으로 한 스트리밍 시스템으로, 일반적인 동영상 스트리밍 방식과는 달리 컨텐츠 자체의 QoS를 보장할 수 있으며, 컨텐츠의 자료를 최신의 것으로 보완하는데 필요한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라 컨텐츠 블록별로 별도로 저작과 관리가 이루어지는 특성으로 인하여 전자게시판과 같은 동적 웹페이지를 컨텐츠 내에 포함시키는 복합 컨텐츠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스마트 학습 공간 구성을 위한 Timed Button 기반의 다중스크린 동기화 기법 (A Study on Multi-Screen synchronization techniques based on Timed Button configuration for smart learning space)

  • 윤용익;조윤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91-99
    • /
    • 2013
  • 스마트 디바이스의 개발과 발달,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편화에 따라 사용자들은 한 개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소지하게 되었다. 기존의 온라인 학습 서비스는 하나의 스크린을 분할시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왔다. 그러나 기존의 PC환경과 다르게 스마트 디바이스가 발달되고 보편화됨에 따라, 사용자의 학습공간은 하나의 스크린 환경에서 다중스크린 환경으로 변화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스크린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학습공간을 구성하고, 스마트 학습공간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융합하여 서비스하는 시스템을 제고하고자 한다. 이에 다중스크린 관련연구 분야와 다중스크린 환경에 합당한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분석 설계하여 Timed Button이라는 스마트 디바이스 간의 동기화 기법을 제시한다.

SCORM 지원 공개 소프트웨어 학습 관리 시스템 (Open Software Learning Management System support SCORM)

  • 백영태;이세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85-196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국제 학습 콘텐츠 표준인 SCORM을 지원하는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의 학습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기존 학습 관리 시스템을 비교 분석하여 무들(Moodle)을 선정하였고 학사관리시스템, 스트리밍서비스 등의 기존 시스템들과 연동 운용함으로써,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 학습관리 시스템의 현실적 가능성을 보였다. 공개 학습 관리 시스템인 무들은 모듈화 구조를 수용해 사용의 편의성과 확장성을 충분히 제공하고 있으며, SCORM지원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또한, 사회적 구성주의 학습 이론을 기반으로 설계, 구현되어 있다는 중요한 장점을 갖고 있다. 이 연구는 학습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 공개S/W 기반 e-Learning시스템 구축이 안정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보였다.

  • PDF

스마트 미디어 시대 EBS의 콘텐츠 서비스 (Contents Service of EBS in the Era of Smart Media)

  • 박주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6-46
    • /
    • 2015
  • 본 논문의 목적은 스마트 미디어 시대에 다양한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교육방송 EBS의 콘텐츠 서비스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다양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 유형은 무엇인지, 그리고 콘텐츠 서비스 전략과 내용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EBS는 웹기반과 모바일 영역에서 EBS 방송 실시간 서비스, 다시보기 VOD, 그리고 e-learning 서비스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콘텐츠를 다양한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역량은 잘 구축되어 있다고 판단되지만, EBS의 멀티 플랫폼 서비스가 e-learning측면에 치우쳐져 있어, EBS의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 차별성을 인지시킬 수 있는 서비스 재편이 필요하다. EBS가 개방성을 확대하고 다양한 웹서비스와 SNS 서비스 등을 더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공영적 통합 미디어 플랫폼으로서 역할 강화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

모바일 러닝에서의 신규 융합서비스 도출을 위한 분석: 사회연결망 분석과 연관성 분석 사례 (An Analysis for Deriving New Convergent Service of Mobile Learning: The Case of Social Network Analysis and Association Rule)

  • 백헌;김진화;김용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1-37
    • /
    • 2013
  • 본 연구는 모바일 러닝의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 융합의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일 러닝의 유형 및 특성을 분석 하였다. 먼저 현재 모바일 러닝 서비스는 어떤 서비스를 중심으로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활용도가 높은 서비스는 무엇인지 알아 보았다. 두 번째로는 모바일에서 주로 이뤄지고 있는 서비스와 이러닝에서 주로 이뤄지고 있는 서비스의 복합적 융합가능성을 살펴 보았다. 세 번째로는 모바일에서의 서비스와 이러닝에서의 공통된 서비스를 중심으로 앞으로 융합이 활성화 될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하여 포털 사이트에서 관련 웹페이지를 통하여 변수를 추출하였으며, 사회 네트워크 분석과 연관성 분석을 사용하였다. 이는 웹페이지마다 변수의 종류와 수가 다르기 때문에 전체적인 웹 상에서 각각의 변수들의 위치와 네트워크상에서의 복잡한 연결 정도를 살펴보기 힘들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연관규칙을 발견하고자 연관성 분석을 하였다. 규칙의 해석을 위해서는 사회 네트워크 분석 결과와 연관규칙을 함께 고려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모바일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이러닝에서 제공되고 있는 공통된 서비스 중에서 빈도수가 높은 서비스로는 게임과 SNS로 나타났으며, 이외 결제, 광고, 메일, 이벤트, 동영상, 클라우드, 전자책, 증강현실, 취업 등으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서비스를 중심으로 이러닝의 다양한 서비스와 융합하여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통된 서비스와 함께 모바일에서는 검색, 뉴스, GPS 등의 서비스가 활성화 되고 있으며, 이러닝에서는 시뮬레이션, 교양, 공교육 등의 서비스가 활성화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모바일과 이러닝의 공통된 변수를 기반으로 각각의 서비스의 융합이 높게 나타난 변수로는 모바일에서는 게임과 SNS, 게임과 스포츠, SNS와 광고, 게임과 이벤트, SNS와 전자책, 게임과 커뮤니티가 융합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닝에서는 게임, 동영상, 상담, 전자책을 전항으로 하여 시뮬레이션, 말하기, 공교육, 출결관리 등의 서비스의 융합정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모바일서비스와 이러닝서비스의 공통된 서비스중에서, 모바일 러닝 서비스에서 활성화가 높은 서비스와 사용자를 기반한 모바일 러닝 서비스의 활성화가 높은 서비스인 게임, SNS, 전자책을 기준으로 서비스 융합 활성화 가능성을 예측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모바일을 활용한 이러닝 서비스의 관련 서비스 융합으로, 모바일 러닝의 활성화에 대한 전략적 방향성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유통산업 인력 역량강화를 위한 이러닝 콘텐츠 정보공개 항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arning Contents Opening Information for Distribution Industry Labor Competence)

  • 김용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8호
    • /
    • pp.65-73
    • /
    • 2017
  • Purpose - Although e-learning has this advantage, currently many organizations have failed to recognize the necessity for basic e-learning educational training. It follows that practitioners working in the above organizations face the difficulty of having to find educational training processes of boosting their capabilities by themselves, rather than being able to utilize the educational training processes offered by e-learning. So of their own accord, learners have considered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relating to being able to choose between high quality educational training proce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opening e-learning content information for enabling an efficient choice of learning processes related to e-learn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pinpoint the items of e-learning content information, the study was initi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ss. First, information relating to e-learning content (offered on e-learning websites) was researched. Second, based on the items of information which emerged from the research, selection and validity verification took place with 5 e-learning specialists as the subjects. Third, the opinions of adult learners at K University were collated relating to the items of information which emerged from the research. Results - The e-learning content information was comprised of 16 items in order to improve the choosing process for learner's e-learning content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when learners were choosing e-learning processes, the most highly considered item was 'mobile support' (4.35). Following this (in order) were 'tuition fees' (4.30), 'certificate issuing' (4.23), and 'awareness of educational institution' (4.18). The least considered items were 'recruiting learners' (3.01) and 'tutor support' (3.18). Conclusions - The 16 items of e-learning content information in this study, were deemed to be helpful to learners in providing them with a choice of desirable e-learning process when this process was offered to them. Following this, there is a need for service institutions offering e-learning processes to make public the information suggested by this study. Research into educational methods additionally points to a necessity for not only e-learning forms, but also offline educational methods and a combination of blended learning to be offered and run parallel to e-learning.

e-Learning QA 표준화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Strategy for e-Learning Quality Assurance)

  • 한태인;김광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3권2호
    • /
    • pp.143-157
    • /
    • 2005
  • Many papers point out that the e-Learn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ustries, and the effect on other industries can be more powerful than any other business. Therefore, we think about social, cultural,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effect of the e-Learning in order to enlarge industry scale as well as educational performances. In many cases of developed countries, various kinds of study have been performed for the e-Learning quality assurance because quality of the e-learning should operate on effective and efficient learning and continuous market development of education industries. The e-Learning quality assurance has import function not only for learning contents reusability like a SCORM and metadata but also for learning system, solution and service operation, so activities for the quality assurance should consider of cultural and tactical approach when it is applied in the e-learning busines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concept, domain and purpose of the e-Learning quality assurance. Furthermore, this paper proposes the process and methodology in order to make the quality assurance standard model which is consist of 6 phase such as Environment Research, Needs Analysis, Framework, Metric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Feedback through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pre-studied worldwide quality control, management and assurance documents.

  • PDF

DACUM 직무 분석 기법을 통한 이러닝 품질 관리사의 직무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Task Model of e-Learning Quality Managers Based on the DACUM Method)

  • 류진선;김희필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10-19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DACUM 직무 분석 방법을 통하여 이러닝 품질 관리사의 직무를 분석하고 직무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DACUM 직무 분석을 위해 1명의 직무 분석가, 9명의 직무 분석 협조자, 1명의 서기, 1명의 실무자로 이루어진 DACUM 직무분석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품질 관리사의 직무는 7개의 임무(서비스 기획, 인프라 구축, 콘텐츠 개발, 서비스 운영, 서비스 평가, 품질 관리 행정, 전문성 계발)로 구성되었으며, 각 임무별 과업은 총 61개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러닝 품질 관리사의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14개의 지식, 21개의 기능 및 19개의 태도가 추출되었다. 둘째, 직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러닝 품질 관리사의 직무 능력 모형을 만들었다. 이 직무 모형은 이러닝 품질 관리사의 임무와 임무별 과업이 상호 연관성을 갖도록 논리적인 순서 등을 고려하여 DACUM 차트로 완성되었다.

모바일환경의 원격교육실현을 위한 LMS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MS Model for Distance Education of Mobile Environment)

  • 김석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9-1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언제, 어디서나, 어떤 내용에 관계없이 학습할수있는 유비쿼터스환경의 e-learning 모델을 위하여 기존 e-learning 모델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망과 차세대 센서기술등을 적용하여 SCORM표준안을 기반으로 한 LMS에 학습콘텐츠의 변환서비스와 협력학습서비스기능을 추가한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응하는 LMS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

스마트 환경에서 이-러닝 서비스를 위한 학습 미디어 Harmonizing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Harmonizing media for E-learning service in Smart Environment)

  • 김스베틀라나;윤용익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37-143
    • /
    • 2012
  • 학습자들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접속을 통한 각종 학습처리까지 가능하다. 일상생활에서 계속적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의 자유를 얻는 만큼 학습자들의 다양한 학습(learning) 서비스 요구와 이용 또한 활발해 진 것이다. 이점에서 요구하는 학습의 관련된 자료들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조화로운 융합형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이-러닝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융합형 학습 서비스는 하나의 혹은 여러 디바이스를 통해 복합 미디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콘텐츠간의 조화로운 동기화는 중요 조건이다. 현재는 대표적으로 융합미디어간의 동기화를 제공하는 방법은 콘텐츠간 절대적인 시간 값을 맞추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콘텐츠를 전송시 시간적인 딜레이 발생한다. 또한 콘텐츠의 지속시간에 대한 절대적인 시간값을 직접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콘텐츠 작성 시 여러 문제들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는 동기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내용에 따른 하모나이징 동기화 기법 모델(Harmonizing Sync Model)을 제고하고자 한다. 내용에 따른 동기화 기법은 학습 콘텐츠를 집합관계를 효과적으로 모델링 하여 다양한 학습 융합미디어를 갖춘 스마트러닝 개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