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linical Trials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초

한의 임상 정보의 효율적 통합을 위한 한의임상 데이터베이스 및 E-CRF 입력 시스템 구축 (Implementation of database and E-CRF for efficient integration of Korean clinical data)

  • 소지호;전영주;이범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205-212
    • /
    • 2016
  • 최근 의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서양의학 뿐만 아니라 한의학 분야에서도 임상 데이터에 대한 통합 및 표준화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유사한 임상시험 뿐만 아니라 전혀 다른 임상시험의 데이터도 하나의 표준에 맞춰 통합 구축된다면 통합된 의료데이터는 암묵적 한의의료지식 도출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의임상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국제표준으로 널리 사용되는 CDISC 표준안을 기반으로 한의임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임상현장에서 편리한 데이터 입력을 위해 E-CRF를 구축하였다. 아울러, 실제 4개의 임상연구에 대한 데이터 저장과정을 거쳐 한의임상 데이터 통합에 대한 예를 보였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통합된 데이터로부터 암묵적 의료지식도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고, 데이터 통합을 통한 효율적 관리뿐만 아니라 반복적이거나 불필요한 임상시험 방지, 정제 된 데이터의 재배포를 통하여 연구의 편리성과 협업을 촉진할 수 있다.

효율성 측정지표를 활용한 전자적 임상시험프로세스 효과분석 (Effect Analysis of Electronic Clinical Trial Systems)

  • 이현주;최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50-35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적 임상시험 데이터 관리를 위한 설계 시 시간적 요인에 주목하여 시스템의 효율성을 검증해 보고자 함이다. 임상시험 데이터 관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고 시스템 도입이 활발한 데 반해, 실제 효율성 측정에 관한 실증연구는 많지 않다. 특히 국내의 경우 임상시험 데이터 관리를 위한 전산화 도입률 조차 낮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자적 임상시험 데이터 관리에 대한 중요성 인식 확산을 위하여 전자적 시스템의 효과에 대한 실증연구를 시도하였으며, 시간효율성 측정지표를 활용하여 다기관 임상시험 사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전자적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임상시험 전체 프로세스에 제공할 수 있는 시간 측면에서의 효율성을 검증하였으며 전자적 임상시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활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국내 첫 실증연구의 시도라는 의미가 있다. 나아가 전략적 데이터 관리 수립 및 임상단계 별 비교연구 등 향후 다양한 비교 연구들의 초석이 될 것이다.

임상시험 전자자료 관리를 위한 평가 프레임웍 (A Performance Evaluation Framework for e-Clinical Data Management)

  • 이현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5-55
    • /
    • 2012
  • 임상시험 전체 소요시간 및 비용의 절감, 임상 데이터 질의 향상을 위해 임상시험 전자자료의 관리가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임상시험 전자자료 관리는 전자 임상시험의 안정성 및 질을 위해 규정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것이 결정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전자적 시스템을 활용한 임상시험에 있어 데이터 관리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프레임웍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임상시험 프로세스에 근거하여 기반능력, 연구설계, 연구진행 및 연구완료 등 네 개의 주요 메트릭을 구성함으로써 데이터 관리의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성과척도를 도출한다. 이때 각 성과척도의 도출 기준은 임상시험 자체가 지향하는 데이터의 질 향상, 전자자료 관리 프로세스의 비용과 효율성 및 규정 준수 수준 등 네 가지의 관리적 관심을 기준으로 하며, 각 성과척도 별로 전자자료 관리 프로세스 상 실질적으로 측정 가능한 측정지표를 제시한다. 평가 프레임웍은 네 가지의 주요 측정 메트릭에 근거하여, 세 개의 데이터 영역(연구기관, 모니터링, 데이터관리센터) 별로 구성된다. 본 평가 프레임웍의 개발은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한 델파이 방법론으로 접근한 탐색적 연구로서 향후 실증적 후속 연구를 과제로 남기고 있다.

경구용 옥수수불검화정량추출물 치료제(인사돌)의 임상적 유효성 데이터의 통계적 타당성에 대한 연구 (Analysis of the statistical validity of clinical effectiveness data of a systemic titrated extract of Zea Mays L. unsaponifiable fraction chemotherapeutic agent (Insadol))

  • 최용근;;이정열;신상완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7호
    • /
    • pp.476-484
    • /
    • 2015
  • Purpose: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validity of clinical effectiveness data of clinical trials testing systemic titrated extract of Zea Mays L. unsaponifiable fraction chemotherapeutic agent. Material and Methods: Among 5 clinical trials claimed as proof of clinical effectiveness on the Web site of the manufacturer of this chemotherapeutic agent, a review of 4 clinical trials, written in either Korean or English, was conducted. Data were extracted from studies for the following variables: year of publication, age, sample size, follow-up period, combination with contemporary periodontal treatments, randomization, randomization check, blinded measurement, and statistical test type. Results: The study subjects' age intervals were too diverse to decide a common target population to generalize the findings. No study stated clearly the rationale for the sample size determination. Follow-up period to observe the start of clinical effectiveness was inconsistent and decided without any rationale of pathophysiological latent period. Randomization to make the comparisons on the same start line was performed but failed in a study. Randomization effect was not checked in 4 studies. Performance of blinded measurement of clinical outcomes to prevent bias was unclear in 2 studies. Type of statistical test was inappropriate in 3 studies.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validity of data on clinical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four available clinical trials have not demonstrated compelling evidence of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systemic titrated extract of Zea Mays L. unsaponifiable fraction chemotherapeutic agent to improve prognosis of periodontal disease either with the contemporary periodontal treatment or without it.

Novel Systemic Therapies for Advanced Gastric Cancer

  • Kim, Hong Jun;Oh, Sang Cheul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8권1호
    • /
    • pp.1-19
    • /
    • 2018
  • Gastric cancer (GC) is the second leading cause of cancer mortality and the fourth most commonly diagnosed malignant diseases. While continued efforts have been focused on GC treatment, the introduction of trastuzumab marked the beginning of a new era of target-specific treatments.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mutations in GC, satisfactory results obtained from various target-specific therapies were expected, yet most of them were unsuccessful in controlled clinical trials. There are several possible reasons underlying the failures, including the absence of patient selection depending on validated predictive biomarkers, the inappropriate combination of drugs, and tumor heterogeneity. In contrast to targeted agents, immuno-oncologic agents are designed to regulate and boost immunity, are not target-specific, and may overcome tumor heterogeneity. With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predictive biomarkers, including Epstein-Barr virus pattern, microsatellite instability status, and programmed death-ligand 1 (PD-L1) expression, as well as ideal combination regimens, a new frontier in the immuno-oncology of GC treatment is on the horizon. Since the field of immuno-oncology has witnessed innovative, practice-changing successes in other cancer types, several trials on GC are ongoing. Among immuno-oncologic therapies,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are the mainstay of clinical trials performed on GC. In this article, we review target-specific agents currently used in clinics or are undergoing clinical trials, and highlight the future clinical application of immuno-oncologic agents in inoperable GC.

초대받은 임상시험: 한국 임상시험 산업화 과정에서 생명자본(biocapital)과 윤리 가변성(ethical variability) (Invited Clinical Trials: Biocapital, Ethical Variability, and the Industrialization of Clinical Trial in Korea)

  • 송화선;박범순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1-45
    • /
    • 2018
  • 한국은 최근 세계 임상시험 중심지의 하나로 떠올랐다. 임상시험을 가장 많이 한 국가 순위에서 미국과 독일 등 전통적 제약 강국에 이어 6위를 차지했고, 도시별 순위에선 서울이 1위 자리에 올랐다. 이 논문은 한국에서 임상시험이 급격하게 증가한 배경으로 수요공급의 시장 메카니즘 외에 다른 요인, 즉 정부의 임상시험 산업화 정책이 중요했음을 보일 것이다. 1990년대 말 금융위기 이후 정부는 바이오테크놀로지(BT)를 차세대 국가 성장 동력으로 정하고 이를 위한 정책개발에 심혈을 기울였다.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다국적 제약사의 임상시험을 국내에 유치하고 이 분야를 키울 계획을 세우게 된 것이다. 정부가 제도정비, 인프라 구축, 관련 인력 양성 및 국민의식 개선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가운데, 해외 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임상시험수탁기관)가 들어와 사업을 시작했고, 국내 업체들도 생겨났다. 한국에서 임상시험은 정부에 의해 '초대?된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의 임상시험 산업화 과정 속에 묻혀있는 생명윤리의 문제를 끄집어내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인류학과 과학기술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생명자본?? (biocapital)과 ??윤리 가변성??(ethical variability)의 개념을 활용하여, 임상시험을 둘러싼 주요 행위자인 정부 담당자, CRO 직원, 병원 의료진, 환자 등이 실제로 어떤 동기와 목적을 가지고 여기에 참여했는지를 사회 구조적 관점에서 분석할 것이다. 임상시험 참여자의 동의서를 받고, IRB의 심의를 통과하고, 국제기준을 충분히 만족시킨다고 해도, 실제 상황에선 생명윤리의 원칙이 무시될 여지는 충분히 있고, 국가의 산업육성 프레임 안에서 생명윤리는 관련 서류를 갖추면 되는 절차상의 문제로 환원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Engineering Cell Therapies for Autoimmune Diseases: From Preclinical to Clinical Proof of Concept

  • Sangwook Oh;Aimee S. Payne
    • IMMUNE NETWORK
    • /
    • 제22권5호
    • /
    • pp.37.1-37.16
    • /
    • 2022
  • Autoimmune diseases are caused by a dysfunction of the acquired immune system. In a subset of autoimmune diseases, B cells escaping immune tolerance present autoantigen and produce cytokines and/or autoantibodies, resulting in systemic or organ-specific autoimmunity. Therefore, B cell depletion with monoclonal Abs targeting B cell lineage markers is standard care therapy for several B cell-mediated autoimmune disorders. In the last 5 years, genetically-engineered cellular immunotherapies targeting B cells have shown superior efficacy and long-term remission of B cell malignancies compared to historical clinical outcomes using B cell depletion with monoclonal Ab therapies. This has raised interest in understanding whether similar durable remission could be achieved with use of genetically-engineered cell therapies for autoimmunity. This review will focus on current human clinical trials using engineered cell therapies for B cell-associated autoimmune diseases.

소아 성장의 침구 및 수기요법에 대한 중의학 임상 연구 고찰 (Review of Clinical Researches in Chinese Medical Journal for Acupuncture, Moxibustion, and Manual Therapy of Pediatric Growth)

  • 박슬기;박소현;이선행;이진용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8-77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linical studies on the effect of acupuncture, moxibustion, and manual therapy in pediatric growth by analyz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onducted in China. Methods We searched the clinical studies from the China Academic Journal (CAJ) in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by specific key words and criteria. Selected 31 clinical stud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Total of 31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most of the studies,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moxibustion, and manual therapy on growth was significantly high. The most commonly used therapies were massage. The most commonly used massage methods were pinching spine (捏脊), pressing and kneading $Z\acute{u}s\bar{a}nl\check{i}$ (按?足三里), supplementing $P\acute{i}j\bar{i}ng$ (補脾經), supplementing $Sh\grave{e}nj\bar{i}ng$ (補腎經), rubbing Abdomen (摩腹), pushing $Y\check{o}ngqu\acute{a}n$ (推涌泉), supplementing $F\grave{e}ij\bar{i}ng$ (補肺經), kneading $T\grave{a}iy\acute{a}ng$ (?太陽), and kneading $Sh\acute{e}nqu\grave{e}$ (?神闕) etc.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linical studies from China, acupuncture, moxibustion, and manual therapy can be a valuable option for pediatric growth.

생존함수의 비교연구를 위한 표본수의 결정 (Sample Size Determination in survival Studies)

  • 박미라;김선우;이재원
    • 응용통계연구
    • /
    • 제11권2호
    • /
    • pp.269-285
    • /
    • 1998
  • 임상시험연구의 설계에서 적절한 표본수의 결정은 매우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생존분포를 비교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을 소개하고, 각 방법에서의 가정들을 고찰하였다. 또한 다양한 상황에서의 표본수와 검정력 등을 비교제시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각 방법들의 이론상의 검정력과 실제 검정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로서 의학연구자들이 처한 여러 상황에 적합한 표본수의 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Current Status of COVID-19 Vaccine Development: Focusing on Antigen Design and Clinical Trials on Later Stages

  • Pureum Lee;Chang-Ung Kim;Sang Hawn Seo ;Doo-Jin Kim
    • IMMUNE NETWORK
    • /
    • 제21권1호
    • /
    • pp.4.1-4.18
    • /
    • 2021
  • The global outbreak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s still threatening human health, economy, and social life worldwide. As a counteraction for this devastating disease, a number of vaccines are being developed with unprecedented speed combined with new technologies. As COVID-19 vaccines are being developed in the absence of a licensed human coronavirus vaccine, there remain further questions regarding the long-term efficacy and safety of the vaccines, as well as immunological mechanisms in depth. This review article discusses the current status of COVID-19 vaccine development, mainly focusing on antigen design, clinical trials in later stages, and immunological considerations for further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