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커머스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8초

e-커머스 창업생태계에서의 청년자영업자에 관한 연구 : N사 파트너스퀘어(광주) 이용자를 중심으로

  • 김종성;신지만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2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N사의 파트너스퀘어(광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청년자영업자를 대상으로 e-커머스 창업생태계인 온라인쇼핑몰에 진입하는 과정과 성과를 근거이론(Grounded Theory) 방법을 활용해 규명해 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심층 면접 조사 자료를 활용했는데, 연구 참여자의 선정에 있어 이론적 표본 추출(Theoretical Sampling)방식을 사용했으며,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 Corbin)이 제시한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순으로 진행한 후 패러다임모형으로 분석했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가 e-커머스에 대해 잘 알지 못하거나 부정적이라도 자녀의 창업에 대해서 긍정적이면 자녀가 온라인쇼핑몰을 통한 자영업에 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가 e-커머스에 부정적이고, 자녀의 창업에도 부정적이면 자녀는 온라인쇼핑몰을 통한 자영업에 진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층의 e-커머스를 통한 자영업 진입과 성과 창출조건으로 e-커머스 활용능력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N사의 파트너스퀘어(광주)는 e-커머스 활용능력을 증대시켜, 청년층이 온라인쇼핑몰을 통한 자영업 진입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년층은 온라인쇼핑몰을 통한 e-커머스 자영업에 진입한 이후 단순한 매출액 증가 이외에 자존감 상승, 기회발견, 창의성 역량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라이브커머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가치와 E-WOM 의도에서 판매자의 영향력은?

  • 최은지;전성민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5-139
    • /
    • 2022
  • 현재 COVID-19 전염병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오프라인 상점 대신 소비자는 전자 상거래를 선호하는 추세이다. 이에 실시간 상호작용과 상거래의 통합인 '라이브 커머스'가 각광받고 있다. 국내 라이브 커머스 시장규모가 2023년에는 10조원이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에 비하여 연구가 현저히 적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선 라이브커머스의 가치와 소비자의 동기가 적극적인 소비자 행동인 E-WOM 의도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살펴보았다. 라이브 커머스의 가치로는 쾌락적가치, 실용적가치, 상징적가치와 감정적가치로 분류하였다. 또한 수단-목적사슬 이론 및 이용과 충족 이론을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종속변수인 E-WOM 의도와에 사이에서 라이브커머스의 주역할을 하는 판매자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였다. 이때 판매자의 상호작용성과 신뢰도로 구분짓고 연구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지각된 위험성을 조절변수로 활용하여 지각된 가치들과 판매자의 사이에서 영향이 있는지 살펴보였다. 본 연구의 설문 응답 대상은 네이버 라이브 커머스 이용 대상자 4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 PDF

e-커머스 서비스 혁신을 위한 발전전략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ies for e-commerce Innovation)

  • 권혁인;백보현;안예진;이진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17-23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e-커머스의 산업 생태계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온라인유통산업 이해관계자들이 활용 가능한 e-커머스 활성화 요인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e-커머스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FGI를 진행하여 요인별 중요도를 산출하는 데 있다. 이에 선행연구와 FGI를 통해 도출된 핵심요인을 권혁인(2010)의 3 Level Service Model을 바탕으로 하여 계층구조모델을 구조화하고, AHP 방법론을 활용하여 각 요인의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상위요인에서는 민간(0.542) > 공동(0.237) > 공공(0.222) 순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하위요인에서는 가중치 내림차순으로 '검색서비스 개발(0.0970)' > '추천서비스 개발(0.0805)' > '소비자 니즈 분석(0.0534)' > '고객 소비 패턴 분석(0.0505)' > '타 플랫폼 연계 서비스 개발(0.0450)' 등으로 나타나 우선순위 15위 이내의 요인을 대상으로 각각의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e-커머스 기업 뿐만 아니라 e-커머스 산업 전반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e-커머스 생태계에 학문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유비쿼터스 상거래의 주요성공요인 (A study on Success Factors of U-commerce)

  • 전홍대;변대호
    • 지능정보연구
    • /
    • 제14권3호
    • /
    • pp.87-108
    • /
    • 2008
  • 최근 상거래의 패러다임은 e-커머스, m-커머스, u-커머스의 단계로 발전되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u-커머스의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u-커머스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아직 여러 가지 해결 과제가 남아있다. 그 가운데 주요 성공요인을 도출하는 것은 u-커머스 연구에 있어서 중요성이 높은 연구의 하나이다. 특히, 기업운영의 목표인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통해 u-커머스가 성공하기 위해서 필요한 요인을 분석해 본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적 고찰 등을 통하여 u-커머스 구현을 위해 요구되는 주요 성공요인을 정리하고 성공요인을 평가하기 위한 항목을 확정한다. 그리고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u-커머스 성공요인과 경영성과와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후 최종적으로 유의한 중요변수가 무엇인지를 도출한다.

  • PDF

소셜 커머스가 전자상거래에 미치는 영향 : 소셜 커머스 분석 모델 관점에서 (Impacts of Social Commerce in E-commerce : In perspective of Social Commerce Analysis Model)

  • 진동수;임재욱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1호
    • /
    • pp.369-390
    • /
    • 2012
  • 소셜 네트워크의 확산으로 소셜 커머스 산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지만, 기술적 차원이 아닌 비즈니스 모델 차원에서 소셜 커머스가 상거래 방식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 모델차원에서 소셜 커머스 분석 프레임워크로 참여자, 가치, 수익이라는 세 가지 차원을 설정하고 각각의 차원에서 소셜 커머스가 전자상거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및 제시하고, 현재 소셜 커머스가 가지는 한계점 및 향후 발전방향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m-커머스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 문영성
    • 정보화사회
    • /
    • 통권136호
    • /
    • pp.44-48
    • /
    • 2000
  • 영상 기술 및 인터넷 기술의 발전에 따라, "m-커머스(m-commerce: Mobile Commerce)"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e-커머스(e-commerce: Electronic Commerce)가 인터넷을 바탕으로 한 전자상거래라면 m-커머스는 휴대폰이나, 초미니 단말기로 인터넷이나 무선 데이터통신을 통해 인터넷 정보검색이나 쇼핑몰 등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 PDF

e-커머스(e-commerce) 이용자의 애착유형이 기술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Type of Attachment of e-commerce Users Impact on the Intention to Accept Technology)

  • 최준석;김성준;권두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5-45
    • /
    • 2021
  • 모바일 또는 웹을 활용한 e-커머스 산업은 빠른 성장세에 있으며, 다양한 플랫폼 서비스 출현으로 e-커머스 산업은 혁신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는 e-커머스 이용자들의 애착유형요인들에 대해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기반한 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지와 수용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실증 연구함으로써 e-커머스 서비스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e-커머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PLS(Partial Least Squares)를 활용한 내적 일관성, 확인적 요인분석, 판별 타당성, 적합도 검증을 통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안정과 지각된 유용성 및 지각된 사용용이성 간의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확인해 볼 수 있었으며 TAM과 수용의도와의 연관성을 검증해 볼 수 있었다.

E-커머스, 스마트 커머스의 단계별 진화에 따른 비교 연구 - 나선형 진화 모형의 확장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Evolution Stage of E-Commerce & Smart Commerce Service Focused on the Extended Spiral Evolution Model)

  • 이상옥;이상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281-1291
    • /
    • 2017
  • 본 연구는 e-커머스의 진화 과정을 정리하면서 초기의 사업모델부터 최근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커머스인 스마트 커머스의 출현까지 지난 20여 년 동안 국내 전자상거래 산업이 어떻게 진화되어 왔는지를 단계별로 고찰하였다. 연구자들은 단계별 진화 과정을 나선형 진화 이론을 적용, 비즈니스 모델의 진화, 플랫폼의 진화, 고객 서비스 가치의 진화, 분석과 평가 등 네 가지 진화 요인을 중심으로 설명하였고, 또 단계별 진화 과정에서 축적된 기술과 경험의 축을 중심으로 사업자의 관점과 사용자의 관점에서 탐색과 활용 이론을 적용, 혁신적인 기술과 고객의 피드백을 분석,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자들은 산업의 진화 연구를 통해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가 e-커머스 산업과 정책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공헌 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모바일 환경 최대 활용한 'm-비즈니스 시대 도래'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 디지털콘텐츠
    • /
    • 10호통권113호
    • /
    • pp.100-101
    • /
    • 2002
  • m-비즈니스가 태동하고 있다. 기존 모바일을 이용한 상거래 중심의 m-커머스 테두리를 벗어난 새로운 개념으로 m-비즈니스가 서서히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m-커머스는 이동전화 단말기나 PDA같은 발전된 형태의 기기를 이용해 디지털 콘텐츠와 상품, 서비스를 판매하는 활동을 말한다. e-커머스가 PC터미널을 이용해 거래활동을 했다면 m-커머스는 핸드폰이나 PDA를 통해서 거래활동을 하는 것과 같다.

  • PDF

5G 모바일 커머스 예측 사례 연구 - 베트남을 중심으로 - (A prediction Model of the 5G Mobile Commerce - Focus on the Vietnam -)

  • ;정다솔;유강호;이준동;최재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215-218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앞에 두고 베트남 기업들이 성장을 위하여 5G 모바일 커머스 연구를 진행한다. 최근 베트남 전자 상거래 시장은 유선 온라인과 모바일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선진국의 전자상거래 모델보다는 아직도 문제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 우선은 파악된 베트남 전자상거래 모델의 단점을 극복한 다음에 5G 통신을 시작한다면 5G 커머스에 어떻게 적용 가능한지, 어떤 방향의 적용이 유리한지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