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out

검색결과 2,698건 처리시간 0.031초

배합 및 접합면 처리에 따른 신·구 콘크리트의 부착특성 평가 (Assessment of Bond Characteristics between New and Old Concrete in Various Mixtures and Joint Conditions)

  • 조병두;김상현;전세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507-515
    • /
    • 2014
  •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이음부는 적절한 처리에도 불구하고 누수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누수 현상이 신 구 콘크리트 간의 부착특성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여러가지 조건하에서 부착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신 구 콘크리트의 접합부를 모사하는 시편들을 제작하여 접합부의 접착강도, 휨강도 및 쪼갬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주요 실험 변수는 혼화재의 종류 및 혼입률, 접합면의 처리 방법, 지수판의 종류였다. 그 외 신 구 콘크리트 타설 간격의 영향, 강도시험 재령에 따른 영향도 고찰하였다. 실험 결과 혼화재 사용에 따라 부착강도가 어느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포졸란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칼슘실리케이트 수화물이 접합부의 공극을 메우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한편, 접합면이 거칠고 건조할수록 부착성능이 향상되었으며, 지수판의 표면 거칠기는 지수판의 부착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험 방법에 따른 부착강도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이를 고려한 평가가 요망된다.

경남 거창 농경지 멧돼지(Sus scrofa)의 식이물 분석 (Diet of The Wild boar (Sus scrofa) in Agricultural Land of Geochang, Gyeongnam Province, Korea)

  • 이성민;이우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2호
    • /
    • pp.307-312
    • /
    • 2014
  • 최근 멧돼지의 개체수 및 농작물 피해 증가로 인하여 사회적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국내 멧돼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여 향후 효과적인 멧돼지 관리를 위해서는 종에 대한 생태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2012년 5월부터 12월까지 경남 거창군 일대에서 유해야생동물 포획을 통해 수집된 멧돼지 위 내용물(n=79) 분석을 통하여 식이습성 구명 및 선호 농작물을 파학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멧돼지는 주로 식물성 먹이를 섭식하며, 계절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식물성 먹이는 잎-줄기가 83.5%로 가장 높은 출현율 보였으며, 농작물을 포함한 식물성 먹이는 건중량의 93.5%을 차지하였다. 무척추동물의 발견 빈도는 높았으나 빠르게 소화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건중량은 낮게 나타났다. 식이농작물로는 밤, 벼, 사과 등이 선호하는 농작물로 나타났다. 수확기 농작물은 멧돼지가 야생 먹이보다 선호하여 의도적으로 섭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렁이는 총 수집된 위에서 50%의 출현율을 보였으며, 섭식 마릿수는 여름에 가장 높고, 겨울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멧돼지는 전형적인 잡식성의 성향을 보이며, 시기에 따라 섭식하는 식이물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멧돼지에 의한 농작물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밤나무림에 인접한 논과 사과 과수원의 우선적인 피해방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동지역 악기상 사례에 대한 MTSAT 위성 영상의 특징 (MTSAT Satellite Image Features on the Sever Storm Events in Yeongdong Region)

  • 김인혜;권태영;김덕래
    • 대기
    • /
    • 제22권1호
    • /
    • pp.29-45
    • /
    • 2012
  • An unusual autumn storm developed rapidly in the western part of the East sea on the early morning of 23 October 2006. This storm produced a record-breaking heavy rain and strong wind in the northern and middle part of the Yeong-dong region; 24-h rainfall of 304 mm over Gangneung and wind speed exceeding 63.7 m $s^{-1}$ over Sokcho. In this study, MTSAT-1R (Multi-fuctional Transport Satellite) water vapor and infrared channel imagery are examined to find out some features which are dynamical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torm. These features may be the precursor signals of the rapidly developing storm and can be employed for very short range forecast and nowcasting of severe storm. The satellite features are summarized: 1) MTSAT-1R Water Vapor imagery exhibited that distinct dark region develops over the Yellow sea at about 12 hours before the occurrence of maximum rainfall about 1100 KST on 23 October 2006. After then, it changes gradually into dry intrusion. This dark region in the water vapor image is closely related with the positive anomaly in 500 hPa Potential Vorticity field. 2) In the Infrared imagery, low stratus (brightness temperature: $0{\sim}5^{\circ}C$) develops from near Bo-Hai bay and Shanfung peninsula and then dissipates partially on the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These features are found at 10~12 hours before the maximum rainfall occurrence,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cold and warm advection in the lower troposphere. 3) The IR imagery reveals that two convective cloud cells (brightness temperature below $-50^{\circ}C$) merge each other and after merging it grows up rapidly over the western part of East sea at about 5 hours before the maximum rainfall occurrence. These features remind that there must be the upward flow in the upper troposphere and the low-layer convergence over the same region of East sea. The time of maximum growth of the convective cloud agrees well with the time of the maximum rainfall.

Zeolite 시용(施用)이 완두(豌豆)의 생육(生育) 및 질소고정(窒素固定)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 of Zeolite Application on the Growth and N2 Fixation Pea-Plant)

  • 안상배;미산충극;조성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7-231
    • /
    • 1990
  • 밭 토양(土壤)에서 개량제(改良劑)로써 Zeolite시용(施用)이 완두(豌豆)의 생육(生育) 및 질소고정(窒素固定)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코져 N. P. K 및 Zeolite등(等) 6개처리(個處理)를 vinyl house內에서 pot시험(試驗)으로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건물중(乾物重)은 질소비료(窒素肥料) 시용구(施用區)가 질소(窒素) 무시용구(無施用區)에 비(比)하여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나 Zeolite시용구(施用區)는 오히려 증가(增加)되었다. 2. 식물체중(植物體中) 질소함량(窒素含量)은 질소(窒素)와 Zeolite을 병용(倂用)함으로써 증가(增加)되었고 Zeolite시용량(施用量)은 2%시용(施用)이 1%보다 질소함량(窒素含量)이 낮았다. 그러나 토양중(土壤中)의 질소잔재량(窒素殘在量)은 2% 구(區)에서 많았다. 3. 식물체중(植物體中)의 표식질소(標識窒素)($^{15}N$)비료(肥料)의 유래(由來)된 질소량(窒素量)은 Zeolite를 병용(倂用)하는 편이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며 이러한 경향(傾向)은 식물체(植物體) 각(各) 부위(部位)에서도 같은 양상(樣相)을 보였다. 4. 식물체중(植物體中)의 질소고정(窒素固定)에 유래(由來)된 질소량(窒素量)은 Zeolite시용구(施用區)에서 많았다. 그러나 질소비료(窒素肥料) 시용구(施用區)에서는 그 증가량(增加量)이 적었다.

  • PDF

신개간지(新開墾地)에서 질소시비(窒素施肥)와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이 땅콩의 질소고정(窒素固定)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Fertilizer N Application and Bradyrhizobium sp. (Vigna) Inoculation on Symbiotic N2 Fixation of Peanut at Newly Reclaimed Soil)

  • 이상복;최윤희;김무기;박건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0-226
    • /
    • 1990
  • 질소시비(窒素旅肥)와 근류균접종(根瘤菌接種)이 땅콩의 질소고정(窒素固定)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호남지역(湖南地域) 야산신개간지(野山新開墾地) 토양(土壤)에 질소무시비(窒素無旅肥)에서 32kg/10a시비(旅肥)까지 5수준(水準)으로 하고 국내(國內)에서 선발(選拔)한 B. sp. HCR-3와 HCR-46균주(菌株)를 각각(各各) 영호(嶺湖)땅콩에 접종(接種)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땅콩접종후(播種後) 근권(根圈)에서 접종균주(接種菌株)의 생존세포수(生存細胞數)는 질소시비량(窒素旅肥量)이 증가(增加)할수록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고 땅콩이 생육(生育)함에 따라 20일(日)까지는 감소(減少)하다가 그 이후(以後) 증가(增加)하여 125일(日)에는 8kg/10a이하(以下) 시비구(施肥區)에서 초기접종수준(初期接種水準)에 달하였다. 2. 근류수(根瘤數), 근류중(根瘤重),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은 질소(窒素)를 증시(增施)할수록 감소(減少)되었고 균접종(菌接種)으로 인하여 무접종(無接種)보다 증가(增加)되었다. 3.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과 질소흡수(窒素吸收)량은 질소(窒素)를 증시(增施)할 수록 증가(增加)되었으며, 균접종(菌接種)은 무접종(無接種)보다 소비구(少肥區)에서는 높았으나 다비구(多肥區)일 수록 차이가 없었다. 4. 종실수량(種實收量)은 무접종구(無接種區)에서는 질소(窒素) 8kg/10a시비구(施肥區)에서 가장 높았으나, 접종구(接種區)에서는 8㎏/10a 시비구(施肥區)까지는 차이(差異)가 없었고 그 이상(以上) 증시(增旅)할수록 접종(接種), 무접종(無接種) 모두 감소(減少)하였으며, 또한 질소무시용하(窒素無旅用下)에서 근류균접종(根瘤菌接種)은 무접종(無接種)에 비(比)하여 27~32%증수(增收)되었는데 이는 질소(窒素)로써 8kg/10a시비(旅肥)와 유사(類似)하였다.

  • PDF

호주(濠洲)의 Brigalow 토양(土壤)에서 무기성분(無機成分)이 세가지 작물(作物)의 질소흡수(窒素吸收)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oil Mineral Nutrients on Nitrogen Uptake of three Crops in Australian Brigalow Soil)

  • 안윤수;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1-208
    • /
    • 1994
  • 밭토양(土壤) 심층(深層)에 용탈집적(溶脫集積)되어 있는 Nitrate를 작물(作物)이 이용(利用)할때 이의 흡수(吸收)를 저해(沮害)하는 토양성분(土壤成分)을 찾고자 검은연두(緣豆), 해바라기, 수수등 3가지 작물(作物)을 공시(供試)하여 이들 작물(作物)의 시용실소(施用室素)의 회수율(回收率)과 다른 토양성분(土壤成分)들의 관계를 구명(究明)하였다. 3가지 작물(作物)의 건물중(乾物重)과 질소규수량(窒素叫收量)은 토양(土壤)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이 높은 토양(土壤)에서 많았다. 염소흡수량(鹽素吸收量)은 해바리기와 수수에서는 염소농도(鹽素濃度)가 낮고 질소함량(窒素含量)이 높은 토양(土壤)에서, 검은연두(緣豆)에서는 질소함량(窒素含量)이 높은 토양(土壤)과 염소농도(鹽素濃度)가 높은 토양(土壤)에서 높았다. 3가지 작물의 시비질소(施肥窒素) 흡수비율(吸收比率)과 검은녹두(綠豆)의 고정질소(固定窒素) 비율(比率)은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 함량(含量)이 가장 높은 토양(土壤)에서 낮았으며 토양질소(土壤窒素) 흡수비율(吸收比率)은 반대(反對)의 경향(傾向)을 보였다. 각종(各種) 양(陽)이온들의 흡수량(吸收量)이 증가(增加)할수록 3가지 작물(作物)의 시용질소(施用窒素) 회수율(回收率)이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해바라기와 수수에서는 염소흡수량(鹽素吸收量)이 많아짐에 따라 시용질소회수율(施用窒素回收率)도 증가(增加)하였으나 검은녹두(綠豆)에서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검은연두(緣豆)의 시용질소(施用窒素) 회수율(回收率)은 토양(土壤)중 염소농도(鹽素濃度)가 높을수록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있는 감소(減少)를 보였다.

  • PDF

사계성 신품종 딸기 '고하'의 기내배양을 위한 배지의 적정 조건 (Appropriate in Vitro Culture Conditions of Growing Medium for New Ever-bearing Strawberry 'Goha')

  • 이종남;김혜진;김기덕;권영석;임주성;용영록;임학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6호
    • /
    • pp.1051-1056
    • /
    • 2010
  • 본 실험은 신품종 사계성 딸기 '고하'의 무병주 생산을 위해 기내배양 시 적정조건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식물 재료로는 생장점 배양 후 4주된 유식물체를 이용하였다. 배지 종류는 MS배지, Gamborg B5배지 및 White배지 등 3종류를 사용하였다. MS배지 농도는 1/3배, 1/2배, 1배, 2배, 3배 농도 등 5처리, sucrose 농도는 1, 3, 5 및 8% (w/v) 등 4처리를 두었다. 배지 종류별 실험 결과, MS배지의 관부직경이 2.1mm로 가장 굵었다. 생체중은 MS배지가 482mg으로 Gamborg B5배지의 394mg과 White배지의 222mg에 비해 88g, 260g 각각 더 무거웠다. MS배지 1/2배 처리가 생체 중, 건물중, D/F율 등의 생육량이 다른 농도에 비해 높았다. 초장은 sucrose 1%에서 3.6cm로 가장 길었으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점점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생체중은 sucrose 3% 농도까지 증가하다가 5%이상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사계성 딸기 '고하'의 기내배양 시 1/2 MS 배지에 sucrose 1%을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합류식 관거 유지관리를 위한 하수 및 지표면 고형물 부하량 산정 (Estimation of Solid Sediments Load by Sewer and Land Surface for Maintenance of Combined Sewer Systems)

  • 이재수;박무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6호
    • /
    • pp.533-544
    • /
    • 2006
  • 합류식 관거 내 고형물의 퇴적으로 인해 통수능이 감소하여 여름철 장마시 국지적인 침수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관거 내 퇴적을 더욱 초래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관거의 적절한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배수유역에서의 하수 및 지표면으로부터의 고형물 부하량을 산정할 필요가 있으나 많은 비용과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환경보호청에서 제시한 건조기의 합류관거 내 고형물 퇴적 부하량 산정기법과 지표면에서의 고형물 부하량 산정기법을 우리나라 군자배수유역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하수로부터의 고형물 부하량은 205,759ka/yr이고 지표면으로부터의 고형물 부하량은 1,321,993kg/yr로 총 1,527,752kg/yr로 나타났다. 또한 수거량은 1,486,636kg/yr로 나타나 적절한 산정결과를 보여주었다. 배수유역에서 관거 및 지표면에서의 장기적인 관측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국내설정에 맞도록 산정공식의 수정이 이루어지면 더욱 신뢰성 있는 산정을 할 수가 있으며 이를 통해 실무에서 많은 비용과 노력을 줄이고 합류식 관거 유지관리를 할 수가 있겠다.

담배 육묘시 근권의 공간 제한이 근계의 형태와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ace Limitation of Rhizosphere on Morphology and Development of Root System in Tobacco Seedlings)

  • 이상각;심상인;강병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75-481
    • /
    • 1996
  • 본 실험은 육묘기간동안 근권의 공간제한이 뿌리 및 지상부의 생장에 미t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가로 세로가 각각 5cm이고 깊이가 5, 15, 30cm인 포트를 이용하여 포트의 용적을 조절하였다. 뿌리의 발달과 지상부의 생장은 가식 후의 담배육묘기간 동안 근계의 형태발달 및 지하부와 지상부의 생장을 조사하여 포트 용적에 따른 근계의 발달 양상을 알아보고 우량묘 생산에 있어서 합리적인 포트 규격과 이식 적기를 수립하고자 실시하였다. 1. 근권의 공간 제한은 환경반응에 따른 뿌리생장을 억제하여 지상부의 주요 생육형질을 감소시켰다 포트 깊이에 따른 용적제한은 관부에서 새로운 뿌리형성을 유도하였다. 2. 뿌리수의 발달은 포트 깊이가 얕을수록 많았고, 상대증식률도 컸다. 전체 뿌리길이와 평균 간장률은 포트 깊이가 깊을수록 길었다. 3. 각 순위별 뿌리수는 포트깊이가 깊을수록 1차 순위와 2차 순위 뿌리수가 많았고 얕을수록 3차 순위의 뿌리수가 많았다. 뿌리의 구조는 가식 후 20일에는 깊은 포트에서 넓은 뿌리 구조를 보였고 가식 후 25일에는 얕은 포트에서 넓은 뿌리 구조를 보여 공간제한에 따른 뿌리 형태와 구조가 변화하였다.

  • PDF

건초 4 초종의 Diallel 혼파조합에서 경합 (The Competition Relations of Four Forage Species in Diallel Combination Mixture)

  • 조명제;이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26-433
    • /
    • 1986
  • 목초의 단ㆍ혼파군낙에서 초종조합별 수량성과 각 초종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경합력을 평가하고 그들의 상호관계를 비교하여 이상적인 혼파초지모형의 기초자료 및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오차드그라스, 토올페스큐, 라디노클로버 및 알팔파의 각 단파와 2초종의 혼파조합으로 이루어진 10개의 대형폿트 군락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경합관계는 지상부와 지하부를 분리하여 건물중으로 평가하였데 그 방법으로서 는 expected yield, aggressivity, relative yield total (RYT) 및 compensation index (CI)와 general combining ability (GCA) 및 specific combining ability(SCA)를 계산하여 비교ㆍ해석하였다. 목초수량에서는 화본과초종인 오차드그라스, 토올페스큐의 각 단파 및 그들의 혼파가 유리하였고 두과초종인 라디노클로버와 알팔파의 단파 및 혼파의 경우에는 불리하였다. 목초의 수량으로 살피본 지상부경합에서 토올페스큐-라디노클로버 혼파조합만이 RYT가 1.05로 유리하였고 단파의 경우보다 토올페스큐가 우점종이었다. 또한 화본과혼파와 두과혼파는 사본과-두과혼파조합보다 우열정도의 차이가 적었고 화본과초종은 두과초종에 대해 우점종이었으며 그 중 오차드그라스가 가장 우점력이 큰 초종으로 냐타딘고 알팔파는 가장 낮은 초종이었다. 한편 혼파의 경우 조합능력을 나타내는 혼생능력에서는 토올페스큐가 가장 켰으며 그 다음이 오차드그라스였고 라디노클로버는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합별 혼생능력은 동일과간혼파조합이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본과와 두과가 혼합된 조합이 불리하게 나타났는데 그 중 토올페스큐와 라디노는 혼생능력이 가장 큰 조합이었다. 지하부 경합에서도 지상부와 마찬가지로 토올페스큐-라디노혼파가 RYT가 가장 크고 혼생능력도 큰조합이었으며, 4초종중 오차드그라스가 우점력이 가장 컸고 근부의 혼생능력에서도 지상부와 달리 오차드그라스가 가장 큰 초종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