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ought year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27초

이변량 가뭄빈도해석을 통한 다목적댐의 용수공급능력 평가 (Bivariate Drought Frequency Analysis to Evaluate Water Supply Capacity of Multi-Purpose Dams)

  • 유지수;신지예;권민성;김태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231-238
    • /
    • 2017
  • 용수공급시설의 설계 및 운영에 기준이 되는 이수안전도는 용수공급안전도의 평가를 위한 중요한 지표이지만, 이수안전도에 대한 일관된 지침이 없어 댐 설계 과정에서 저마다 사용된 자료기간과 평가 방법이 서로 상이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목적댐의 용수공급능력을 일관성 있게 평가하기 위해 가뭄의 심도와 지속기간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이변량 가뭄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확률론적 개념을 바탕으로 가뭄사상을 평가하여 댐유역의 가뭄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우리나라의 5개 다목적댐(소양강, 충주, 안동, 대청, 섬진강)을 대상으로 특정 가뭄상황에서의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여름과 가을에는 자체 유입량만으로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하지만, 강수량이 적은 봄과 겨울에는 1년 빈도의 작은 가뭄에도 용수부족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어촌의 용수계획을 위한 저수지군 물수지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Multireservoir Water Balance Model for the Planning of Rural Water Demands)

  • 정하우;김성준;한형근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95-105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ltireservoir water balance model which may be used to evaluate rural water demands such as agricultural water, domestic water, industrial water and livestock water and to determine effective storage of reservoir. The model was verified to compare the observed reservoir release data with the simulated reservoir release data of the existing Munsan and Dongbu reservoirs located in the Gisan rural district for 3 years('87~'89). For model application, the effective storages of existing reservoirs(Munsan & Dongbu) were evaluated for 10-year frequency drought and that of newly planned reservoirs(Kumbok & Kudong) were determined for 10-year frequency drought. In addition, the behavior of effective storages for existing reservoirs were analyzed in the case of introducing new reservoirs in the existing system.

  • PDF

탄.소성구성식에 의한 점토지반의 거동해석 (I) -Lade의 모델, 입방체 삼축시험 및 토질매개변수 결정- (A Behavior of Clayey Foundation Using Elasto-plastic Constitutive Model - On the Lade's Model, Cubical Triaxial Test and the Determination of Soil Parameters-)

  • 이문수;이광동;오재화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06-118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ltireservoir water balance model which may be used to evaluate rural water demands such as agricultural water, domestic water, industrial water and livestock water and to determine effective storage of reservoir. The model was verified to compare the observed reservoir release data with the simulated reservoir release data of the existing Munsan and Dongbu reservoirs located in the Gisan rural district for 3 years('87~'89). For model application, the effective storages of existing reservoirs(Munsan & Dongbu) were evaluated for 10-year frequency drought and that of newly planned reservoirs(Kumbok & Kudong) were determined for 10-year frequency drought. In addition, the behavior of effective storages for existing reservoirs were analyzed in the case of introducing new reservoirs in the existing system.

  • PDF

가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연구: 가뭄심도-가뭄면적-가뭄지속기간 곡선의 작성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Droughts in Korea: Construction of Drought Severity-Area-Duration Curves)

  • 김보경;김상단;이재수;김형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B호
    • /
    • pp.69-78
    • /
    • 2006
  • 제반 수문학적 문제 해결을 위하여 강우사상에 대해 최대평균우량깊이-유역면적-지속기간 관계곡선을 작성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관계곡선의 항목 중 최대평균우량깊이를 가뭄심도의 항으로 대체한 가뭄심도-영향면적-지속기간 관계 곡선의 작성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전역의 기상청 월 강수량 자료로부터 산정된 SPI 가뭄지수는 EOF 기법을 이용하여 핵심적인 공간정보로 축약되며, 이를 다시 Kriging 기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역에 대해 $6km{\times}6km$의 해상도를 가진 SPI 값으로 할당하였다. 격자기반의 가뭄지수 자료의 시간적 분포특성과 공간특성이 고려된 주요 가뭄사상을 식별한 후, 이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영향면적별 지속시간별 가뭄지수가 산정된다. 이에 따라 가뭄심도-가뭄면적-가뭄지속기간 관계곡선이 도시된다. 우리나라 전역에 대한 곡선 작성 결과, 지속기간이 짧고 영향면적이 작을수록 가뭄심도가 깊어지며 영향면적이 증가할수록 가뭄심도가 낮아진다는 면에서는 강우분석시와 비슷한 모양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으나, 가뭄심도의 면적에 따른 감소율은 가뭄분석시의 강우깊이의 면적에 따른 감소율보다 훨씬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 밭작물의 농업용수 재이용 타당성 평가 (Feasibility Study of Wastewater Reuse for the Vegetable Farming in Jejudo)

  • 성충현;강문성;장태일;박승우;이광야;김해도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1권1호
    • /
    • pp.27-32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wastewater reuse for the vegetable farming. The study region, about 250 ha in size, is located on the west coast of Jejudo, Korea. Major agricultural products of the study area are the cabbage, broccoli, garlic and onion. To confirm the feasibility of wastewater reuse, the drought duration and the water requirement analysis were conducted respectively. The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of the study region (1,121 mm) was smaller than that of Jeju island (1,975 mm). The drought duration for a ten-year return period in October through November was more than 20 days. The water requirement for irrigation was calculated by the FAQ Penman-Monteith method which took into account the cultivated crops, planting system, and meteorological conditions of the study region. The water requirement for a ten-year return period was estimated 4.7 mm/day and the water demand for irrigation was $4,584\;m^3/day$. As a result, the irrigation water for the crops was insufficient during their breeding season, especially in October through November. Thu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study region required the alternative water supply such as wastewater reuse during the non-rainy season. As drought continues to place considerable stress on the availability of fresh water supplies in the study region, irrigation with reclaimed wastewater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to meet future water demands.

PLS-SEM을 이용한 강원도 산불 발생의 영향 요인 평가 : 가뭄 및 기상학적 요인을 중심으로 (Evaluating Impact Factors of Forest Fire Occurrences in Gangwon Province Using PLS-SEM: A Focus on Drought and Meteorological Factors)

  • 유지영;한정우;김동욱;김태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3호
    • /
    • pp.209-217
    • /
    • 2021
  • 산불은 대부분 인위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되지만, 산불의 피해가 대규모로 확산하는 연소 조건은 자연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인자 사이의 의존 및 인과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 모형(PLS-SEM)을 이용하여 기상 및 가뭄이 산불 발생에 미치는 인과관계와 영향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지난 2015년부터 약 5년 기간 동안 발생한 강원도 산불에 미치는 가뭄의 영향은 27 %, 기상학적 영향은 38 %로 확인되었다. 또한, 강원도에서 발생한 산불 중에서 봄철에 발생한 산불은 약 60 %의 비율을 차지하며, 이는 기상학적 요인과 더불어 이전 연도의 가을과 겨울철 가뭄이 산불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산불 발생위험을 평가하는 데 있어 극심한 기상학적 가뭄이 가을과 겨울철에 발생했다면, 이듬해 봄에는 산불의 발생확률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상승된 이산화탄소와 온도 그리고 한발 영향에 따른 감자의 군락 형태와 무기영양 변화 (Impact of Elevated Carbon Dioxide, Temperature, and Drought on Potato Canopy Architecture and Change in Macronutrients)

  • 이윤호;조현숙;김준환;상완규;신평;백재경;서명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2호
    • /
    • pp.164-173
    • /
    • 2018
  • 본 연구는 옥외환경조절 시설인 SPAR챔버에서 향후 기후변화가 지속 될 경우 상승된 이산화탄소와 온도 그리고 한발에 따른 감자의 군락 형태와 무기영양 변화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T+2.8C700는 상승된 $CO_2$와 고온에 의하여 초장과 엽면적 그리고 건물중이 상당히 증가 하였고, AT+2.8C700DS는 한발의 영향으로 상당히 감소하였다. 2. 수확기에서 잎은 AT+2.8C700은 ATC450에 비하여 질소와 인산이 감소한 반면 칼륨, 칼슘 그리고 마그네슘 농도가 증가하였다. 괴경은 질소, 인산 그리고 칼륨이 감소하였으며, 칼슘과 마그네슘은 변화가 없었다. 반면, AT+2.8C700DS는 한발의 영향으로 무기영양 농도가 상대적으로 다른 처리비하여 낮았지만, 마그네슘 농도만 증가하였다. 3. $CO_2$와 온도 상승을 보면 AT+2.8C700는 ATC450에 비하여 질소 농도의 감소로 26% 단백질 함량이 감소를 하였다. 한발을 받은 AT+2.8C700DS보다 AT+2.8C700는 단백질 함량이 20%가 감소 하였다. 4. 따라서 상승된 $CO_2$ 농도와 한발은 무기영양의 변화뿐만 아니라 광합성 관련된 당과 아미노산 같은 2차 대사물질도 변화와 인간의 단백질 섭취에도 영향을 줄 것이다.

다년간 계속되는 갈수의 크기 및 심도에 관한 빈도분석 방안 (An Approach for Frequency Analysis of Multiyear Drought Magnitude and Severity)

  • 이길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111-120
    • /
    • 1987
  • 부족량의 지속기간에 따른 성질을 관측하여, 다년간 계속되는 가뭄의 크기와 심도에 관한 빈도분석 방안을 개발하였다. 평균 부족량의 변화를 식별하기 위하여, 월 부족량의 통계치에 의한 표준화와 자료의 통합과정이 시행되었다. 가뭄의 크기와 심도에 관한 매개변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Gamma 분포함수의 재생산성이 부족량에 대하여 적용되었다. 이들 분포와 지속기간 분포와의 복합화 맞 연구 결과가 실시간 예측에 관하여 의미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 PDF

저수지 관리 관행을 반영한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 추정 (Estim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Storage Based on Empirical Method)

  • 강한솔;안현욱;남원호;이광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5호
    • /
    • pp.1-10
    • /
    • 2019
  • Due to the climate change the drought had been occurring more frequently in recent two decades a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s. The change in the pattern and frequency of the rainfall have a direct effect on the farming sector; therefore, the quantitative estimation of water supply is necessary for efficient agricultural water reservoir management. In past researches, there had been several studies conducted in estimation and evaluation of water supply based on the irrigational water requirement. However, some researches had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eoretical and observed data based on this requirement. Thu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approach in estimating reservoir rate based on empirical method that utilized observed reservoir rate data. The result of these two methods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one is seen to be more fitted for both R2 and RMSE with the observed reservoir rate. Among these procedures, the method that considers the drought year data shows more fitted outcomes. In addition, this new method was verified using 15-year (2002 to 2006) linear regression equation and then compare the preceeding 3-year (1999 to 2001) data to the theoretical method. The result using linear regression equation is also perceived to be more closely fitted to the observed reservoir rate data than the one based on theoretical irrigation water requirement. The new method developed in this research can therefore be used to provide more suitable supply data, and can contribute to effectively managing the reservoir operation in the country.

한반도 목적별 인공강우 실험가능일 추정 (Estimation of Available Days for a Cloud Seeding Experiment in Korea)

  • 정운선;장기호;차주완;구정모;이철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7-129
    • /
    • 202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eorologic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a cloud seeding experiment over the Korean peninsula and estimated the available days for the same. The conditions of available days appropriate for a cloud seeding experiment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four purposes: water resources, drought relief, forest fire prevention, and air quality improvement. The average number of available days for a cloud seeding experiment were 91.27 (water resources), 45.93-51.11 (drought relief), 40.28-46.00 (forest fire prevention), and 42.19-44.60 days/year (air quality improvement). If six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per available day for a cloud seeding experiment, the number of times cloud seeding experiments could be conducted per year in a continuously operating system were estimated as 547.62 (water resources), 275.58-306.66 (drought relief), 241.68-276.00 (forest fire prevention), and 253.14-267.60 times/year (air quality improvement). From this result,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meteorologic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statistically estimate the available days for a cloud seeding experiment. The data on the available days for a cloud seeding experiment might be useful for preparing and performing such an experi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