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Droughts in Korea: Construction of Drought Severity-Area-Duration Curves

가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연구: 가뭄심도-가뭄면적-가뭄지속기간 곡선의 작성

  • 김보경 (인하대학교 환경토목공학부) ;
  • 김상단 (부경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부) ;
  • 이재수 (전주대학교 토목환경도시공학부) ;
  • 김형수 (인하대학교 환경토목공학부)
  • Received : 2005.10.04
  • Accepted : 2005.12.15
  • Published : 2006.01.31

Abstract

The rainfall depth-area-duration analysis which is used to characterize precipitation extremes for specification of so-called design storms, provides a basis for evaluation of drought severity when storm depth is replaced by an appropriate measure of drought severity. So we propose a method for constructing drought severity-area-duration curves in this study. Monthly precipitation data over the whole Korea are used to compute SPI. Such SPIs are abstracted to several independent spatial components from EOF analysis. Using Kriging method, these spatial components are used to constitute grid-based SPI data set over the whole Korea including Jeju island with $6km{\times}6km$ resolution. After identifying main drought events, the drought severity-area-duration curves for these events over 32-year period of record are finally constructed. As a result, such curves show the similar shape with storm-based curves in the sense that the drought severity (or rainfall depth)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drought area from the curves, but drought-based curves are different from storm-based curves in the sense that the drought severity decreasing rate with respect to drought area is much less than depth decreasing rate.

제반 수문학적 문제 해결을 위하여 강우사상에 대해 최대평균우량깊이-유역면적-지속기간 관계곡선을 작성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관계곡선의 항목 중 최대평균우량깊이를 가뭄심도의 항으로 대체한 가뭄심도-영향면적-지속기간 관계 곡선의 작성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전역의 기상청 월 강수량 자료로부터 산정된 SPI 가뭄지수는 EOF 기법을 이용하여 핵심적인 공간정보로 축약되며, 이를 다시 Kriging 기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역에 대해 $6km{\times}6km$의 해상도를 가진 SPI 값으로 할당하였다. 격자기반의 가뭄지수 자료의 시간적 분포특성과 공간특성이 고려된 주요 가뭄사상을 식별한 후, 이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영향면적별 지속시간별 가뭄지수가 산정된다. 이에 따라 가뭄심도-가뭄면적-가뭄지속기간 관계곡선이 도시된다. 우리나라 전역에 대한 곡선 작성 결과, 지속기간이 짧고 영향면적이 작을수록 가뭄심도가 깊어지며 영향면적이 증가할수록 가뭄심도가 낮아진다는 면에서는 강우분석시와 비슷한 모양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으나, 가뭄심도의 면적에 따른 감소율은 가뭄분석시의 강우깊이의 면적에 따른 감소율보다 훨씬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류재희, 윤용남, 이동률, 안재현(2001) 가뭄평가를 위한 가뭄지수의 비교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 한국수자원학회, pp.122-127
  2. 유원희(2000) 유출량 계열을 이용한 가뭄지수 산정.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3. 유철상, 전경수, 김기욱(2004) 한강유역 강수의 산지효과 추정 -II EOF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1B호, pp.41-46
  4. 윤강훈, 서봉철, 신현석(2004)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 홍수강우의 공간해석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지원학회, 제37권3호, pp.233-240
  5. 장연규, 김상단, 최계운(2004) SPI 가뭄지수의 EOF 분석을 이용한 가뭄의 공간적 특성 연구. 대한토목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4897-4902
  6. 최장환, 심명필(2000) 가뭄의 분류와 사회 . 경제적 영향.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1266-1408, 제33권 3호, pp.90-96
  7. Benjamin, L.B. (2002) The Long-Range Predictability of European Drought, National Drought Mitigation center, Doctor of Philosophy of the University of London
  8. Guttman, N.B. (1999) Accepting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5, No.2, pp.311-322 https://doi.org/10.1111/j.1752-1688.1999.tb03592.x
  9. HEC (1991) National study ofwater management during drought. US Army Corps of Engineers,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10. Hisdal, H. and Tallaksen, L.M. (2003) Estimation of regional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characteristics : a case study for Denmark. Journal of Hydrology, Vol. 281, pp.230-247 https://doi.org/10.1016/S0022-1694(03)00233-6
  11.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Preprints,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17-22 January, Anaheim, California, pp.179-184
  12. von Storch, H. (1995) Spatial Patterns: EOFs and CCA. In : von Storch H, Navarra A (eds) Analysis of Climate Variability. Application of Statistical Techniques, Berlin, Heidelberg : Springer, pp. 227-258
  13. Wilhite, D.A. (1991) Drought Planning and State Government Current Statu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72, No. 10, p.1531-1536 https://doi.org/10.1175/1520-0477(1991)072<1531:DPASGC>2.0.CO;2
  14. Willks, S.D. (1995) Statistical Methods in the Atomospheric Sciences (lnternational Geophysic Series, Vol. 59), San Diego, California : Academic Press, pp. 467
  15. Yoo, C. and Kim, S. (2004) EOF Analysis of surface soil moisture field variability. Advance in Water Resources, Vol. 27, pp.831-842 https://doi.org/10.1016/j.advwatres.2004.04.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