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opwort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113초

한국의 농작업환경과 인체부담에 관한 연구(II) -작목별 건강조사도, 농작업자 생활행동조사도, 축적적 피로증후군을 중심으로 - (Study on farm work environment and physical load in Korea - Focusing on health survey, living behavior, cumulative fatigue symptoms by crops -)

  • 최정화;정성태;설향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3-50
    • /
    • 1998
  • To obtain basic data for efficient health plan, we investigated the condition of farmers' health, living behavior, working environment, and cumulative fatigue symptoms by crops (greenhouse melon, rice and red pepper, stock farming, pear, grapes, dropwort, sweet potato, potato, radish. cabb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ondition of farmers health : Among them, cabbage cultivators were in bad health concerning cardiovascular system, musculo-skeletal system, and skin condition. (2) Living behavior : $\circled1$ Radish cultivators were in best of their physical condition. $\circled2$ Rice and red pepper cultivators were taking a regular recess as compared with dropwort cultivators. $\circled3$ On concerning bathe, sleeping, and clothes, stock farmers were in relatively bad condition. (3) Working environment : cabbage, greenhouse melon, and dropwort cultivators had relatively Poor working environment. (4) Cumulative fatigue symptoms : $\circled1$ Dropwort cultivators were in the worst of their condition concerning loss of their energy, physical condition. decline of will to labor, sense of unease, and low spirits. $\circled2$ On concerning general fatigue, dropwort, sweet potato, and cabbage cultivator were in bad condition.

  • PDF

미나리 유기재배를 위한 활용자재 시용효과 (Applications of Agro-Based Materials for Water Dropwort (Oenanthe stolonifera DC) Organic Farming)

  • 안병구;문영훈;권영립;이진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3-92
    • /
    • 2010
  • 미나리 유기재배 방법을 설정하기 위해 관행 재배구를 대조구로 하고 유용미생물제(effective microorganism), 액상규산염(silicate solution), 및 유기액상비료(organic liquid fertilizer)를 사용하여 재배하였다. 미나리 수확기에 조사한 토양 pH, EC, OM, 유효인산, 치환성 칼슘, 유효규산함량은 수확기에 감소하였고, 치환성칼륨과 마그네슘은 1, 2년차에는 수확기에 감소하였지만, 3년차에는 증가하였다. 대조구에 비해 액상규산염을 사용할 경우 pH, 유기물, 유효인산함량이 감소하였고, 유용미생물제는 치환성 Ca과 Mg, 유기액상비료는 EC와 치환성 Ca과 K가 감소하였다. 미나리에 함유되어 있는 다량원소 가운데 C, N, P, K, 및 S는 대조구보다 함유량이 많았고, Ca과 Mg은 대조구와 비슷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과 역병은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점무늬병은 대조구에서 나타났다. 생육시기별로 처리간에 엽록소 함량 차이는 없었지만, 액상규산염을 사용한 구의 초장은 60.2 cm, 수량 3,698 kg/10a로 가장 적었고, 유기액상비료를 사용한 경우 66.0 cm와 4,387 kg/10a로 가장 많았다.

밭미나리 발효액이 알콜투여 흰쥐의 간기능관련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Oenanthe stolonifera DC) Extract on the Activity of Enzymes Related to Liver Function of Alcohol-administered Rats and Mice)

  • 황태익;임현옥;이재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7-114
    • /
    • 1999
  • 미나리는 간을 보호하며 간질환을 예방, 치유하는 효능이 있는 기능성식물로 인식되어 민간요법에 널리애용되고 있다. 그래서 알콜을 렛트와 마우스에 처리하여 만성, 아급성, 급성중독을 유도하고 밭미나리 발효액과 추출물 그리고 물미나리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렛트와 마우스에 에탄올을 2일동안 투여한결과 total cholesterol과 total glyceride의 수치가 증가되었으며 20일동안 밭미나리발효액과 추출물 그리고 물미나리추출물을 투여한후 에탄올을 2일동안 급여한균에서는 total cholesterol과 total glyceride의 감소 효과가 있었으나 처리간의 유의성은 인정되지않았다. 그러나 실험동물의 혈청중에 알콜에의해서 높아졌던 alanine aminotransferase 와 asparate aminotransferase는 밭미나리발효액 과 추출물에 의해서 감소되었으며 밭미나리발효액투여군에서 가장 많이 감소되어 처리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렛트에 10%에탄올을 10개월간 투여하여 만성알콜중독을 유발시킨다음 5일동안 물만 급여한군과 밭미나리발효액을 투여한군을 비교한바 total cholesterol은 40%, total glyceride는 60%의 감소효과가 있었으며 alanine aminotransferase 와 asparate aminotrasferase는 87.2%와 91.7%를 감소시켜 정상에 가깝게 회복시키는효과가 인정되었다. alkaline phosphatase,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및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은 알콜의 처리에 의해서 급만성모두 유의적인 변동을 나타냈으며 밭미나리 발효액의 처리에 의해서 alkaline phosphatase와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에 특히 유의적인 감소를 가져왔다. 이와같은 결과는 물미나리보다 밭미나리발효액이 알콜성 간질환에 효능이있음을 시 사하는것이라 하겠다.

  • PDF

수생식물에 의한 축산폐수의 오염물질 감소 효과 (The Effect of Clarification by Aquatic Plant on Livestock Wastewater)

  • 정광화;김원호;김맹중;서성;최기춘;조영무;김영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3-89
    • /
    • 2000
  • In general, livestock wastewater consists of many pollutants such as nitrogen, phosphorus, carbonic compounds and inorganic substances. Most carbonic and organic compounds are sufficiently removed by conventional secondary processes, but nitrogen, phosphorus and soluble inorganic compounds are little removed by traditional clarification process. These remained substances in wastewater, for instances, phosphorus and nitrogen are efficiently eliminated by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or botanical removing process. Concentrations of $BOD_s$, SS, T-N and T-P in influent livestock wastewater used in this study were 126mg/l, 115mg/l, 45mg/l and 13mg/l, respectively. The hydraulic retention time(HRT) of wastewater was about 10 days in the pond packed with aquatic plants. A water-hyacinth and a water-dropwort were used as an experimental stuff plant. The removal ratios of nitrogen was 44.3% for the water-hyacinth and 40.2% for the water-dropwort. The removal efficiency of phosphorus in experimental ponds reached by 57.9% for the water-hyacinth and 58.5% for the water-dropwort for 10 days, respectively. Removal ratios of BODs and SS of livestock wastewater for 10 days were reached by 80.1%, 91.0% for he water-hyacinth, respectively. At the same condition, the removal ratios of BODs and SS were reached by 75.0%, 87.6% for the water-dropwort, respectively.

  • PDF

미나리가루의 첨가가 Castella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opwort Powder on the Quality of Castella)

  • 박상준;이광석;안혜령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34-839
    • /
    • 2007
  • 밀가루의 3%, 6%, 9%, 12%를 미나리가루로 대체한 castella를 제조하여 최적의 비율을 알아보고, 대체 비율에 따라 castella의 비중 및 비용적, 색도와 조직감, 관능적 특성을 통해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미나리가루의 첨가는 castella의 비중을 증가시켰는데 미나리가루가 12% 첨가된 DP 12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나머지는 첨가량이 줄어들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비용적은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낮게 나타났다. 색도에서 L값은 미나리가루를 첨가한 castella보다 대조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미나리가루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낮아졌고, a값은 미나리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미나리가루의 색소 성분의 증가로 인하여 녹색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조직감 측정 결과는 견고성, 접착성, 씹힘성에서 미나리가루가 9% 첨가된 DP 9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응집성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탄력성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는 castella의 속질색과 껍질색이 대조구에 비해 진했다. 기공의 크기는 미나리가루 첨가랑이 많아질수록 작아지고, 기공의 균일성은 미나리가루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일정했다. 견고성은 미나리가루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높게 나타났고, 미나리가루의 맛도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미나리가루 9%가 첨가된 DP 9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미나리가루 첨가에 대한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9%를 첨가한 DP 9나 12%를 첨가한 DP 12가 좋겠지만, 재료비 대비 측면에서는 미나리 가루를 3% 첨가한 DP 3이 미나리가루 첨가의 적정량으로 보여진다.e)에 있어서는 검은콩 청국장 가루를 10% 첨가한 BC10시료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는데, 이 결과는 청국장 냄새가 강하지 않고 촉촉한 정도(moistness)나 부드러움(softness)에 있어서도 무첨가 마들렌과의 차이가 가장 적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검은콩 청국장 가루 첨가 마들렌 제조 시 10%를 첨가하는 것이 조직과 관능 특성 상 적정 첨가량임을 알 수 있었다.과 통신탑재체 및 통신탑재체와 CBSSIM을 연동시키는 PCTS를 포함한 HITL시뮬레이터의 설계 및 구현 내용에 관해 기술한다.에 관해 기술한다.와 관련된 involucrin, loricrin, filaggrin의 단백질 발현이 최소한 2-3배 이상 증가함을 HaCaT 세포에 UA와 ONA(각 10$\mu$M)를 24 h 처리 후 실험 결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UA와 ONA가 장벽기능 향상뿐 아니라 PPAR $\alpha$를 통한 표피 각질세포 분화를 유도함을 제시할 수 있었다. Masson-trichrome과 elastic fiber 염색법을 통해서, UA와 ONA 도포에 따른 콜라겐섬유의 비후(thickening)와 엘라스틴섬유의 신장(elongation)을 조직 사진으로 확인하였다. 시험관 시험을 통한 콜라겐 및 엘라스틴 합성실험과 엘라스틴 분해효소에 대한 저해능 평가를 통해 진피에 대한 UA와 ONA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들을 토대로 UA와 ONA는 피부장벽기능 유지뿐 아니라, 진피 내 콜라겐섬유와 엘라스틴섬유 합성을 촉진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UA와 ONA는 장벽기능 및 진피강화에 관여할

  • PDF

미나리꽝을 이용한 영양물질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ies on Removal of Nutrient Material by Using Dropwort Field)

  • 이영신;김창회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6-20
    • /
    • 2003
  • Nitrogen(N) and phosphorus(P) in surface streams mainly lead to euthrophication. It aggravates water quality and consequently increases the purification costs. As a resolution of water contamination caused by household drainage through irrigation route by 70% of the 1,300 community residents in Eum-Am Myun, Seo-San city, was implemented biological self-purification method by growing Oenanthe Javanica along the polluted water tunnel. The contaminated water was efficiently purified after passing the dropwort field; DO conc. of effluent water was increased 8.3∼61.9% after through the drop wort field. HRT of experiment system was changed 0.05∼1.50/day. 50% of BOD was eliminated at the range above 12 mg/l of Influent BOD conc. Also, 50% of COD was eliminated at the range above 30 mg/l of Influent COD conc. Finnally, the influent T-N loading at range below 1.5 g/m$^3$/d reduced 50% of Influent T-N conc., and so did influent T-P loading at the range below 0.03 g/m$^3$/dwas reduced 50% of Influent T-P conc.

2-AF에 의해 유발된 미생물 변이원성에 미치는 들미나리즙의 돌연변이 억제작용 (Antimutagenicity of Small Water Dropwort Juice on the Microbial Mutagencity Induced by 2-Aminofluorene)

  • 한규석;정의호;함승시;심태흠;이택수;이해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25-230
    • /
    • 199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ages showing the antimutagenic effects on the microbial mutation by addition of the juice extracted from small water dropwort. It was not able to find out the signal showing the genic derepression or change of gene repair system by addition of the juice. And it was hardly possible to expect the conversion of 2-AF to inactive form by the juice. however the longer 2-AF and S-9 mix were contacted before addition of the juice, the stronger the microbial mutagenisity of 2-AF was, and after addition of the juice, the mutagenicity was decreased rapidly. It seems that some components in the juice act as inhibitor of a enzyme in S-9 mix, and block the conversion of 2-AF to the ultimate mutagen.

  • PDF

시판 녹황색 채소류 중의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조리과정에 의한 변화 (Analysis of Flavonoids in Raw and Blanching of Several Green-Yellow Vegetables)

  • 조정옥;정인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2-47
    • /
    • 2000
  • Flavonoids in commerical green-yellow vegetables (carrot, mugwort, perilla leaf, leek and water dropwort) were analyzed by HPLC. Flavonoids analyzed in samples were myricetin, luteolin , qercetin, apigenin and kaempferol. When 2N HCI and a reaction period of 1 hours was used, quercetin and kaempferol could be detected in leek and water dropwort, luteolin and apigenin could be detected in perilla leaf. Increasing reaction period up to 6 hours with 2N HCI led a degradation of quercetin and kaempferol to approximately 90% in leek and water dropwort, but it led to a increasing of luteolin and apigenin of maximum 300% in perilla leaf. After the blanching process, the amount of the flavonoids increased whereas the components of the flavonoids were not changed.

  • PDF

The Effect of Vegetable Extracts on the Activity of Alcohol Dehydrogenase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 Jung, Soon-Teck;Kang, Bae-Kw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4호
    • /
    • pp.224-229
    • /
    • 2001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ean sprouts (Glycine max), dropwort (Oenanthe javanica), and radish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acanthiformis) extracts on alcohol dehydrogenase (ADH). The extracts from three kinds of vegetables were prepared by extracting with boiling water, distilling water, and ethyl alcohol. Among extracts, boiling water extract showed the highest activating effect on ADH, respectively and distilled water extract had a greater effect on ADH activation than that of alcohol extract. The ADH facilitating effect of bean sprout extract by distilled wat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dropwort or radish, hut the effect of the bean sprout extract by ethyl alcohol was lower than others. The facilitating effect on ADH of mixture extracts of bean sprout and dropwort were mixed at 1 : 1 mixture of boiled-water extract showed the highest effectiveness. And bean sprout extract separated below 3000 molecular weight (MW) range of extract fraction had greater ADH activity than large MW parts.

  • PDF

토양내 중금속 유효도와 미나리중의 흡수이행성 평가 (Availability of Heavy Metals in Soil and Their Translocation to Water Dropwort (Oenanthe javanica DC.) Cultivated near Industrial Complex)

  • 정구복;김원일;이종식;신중두;김진호;이정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23-330
    • /
    • 2006
  • 공업단지 인근 중금속 복합오염 농경지에서 중금속 오염 특성과 재배작물인 미나리중에 흡수 축적된 중금속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토양내 중금속의 상대적인 오염평가지수, 미나리의 중금속 축적양상 및 식물흡수도 등을 분석 검토하였다. 토양의 화학성분은 일반 논토양보다 대체로 높았으며, 특히 토양 pH및 치환성 Ca 함량이 매우 높았다. 토양의 중금속 중 Cd 및 Cu 농도가 우리나라 토양환경기준을 초과하였고, 년차별 0.1N-HCl 추출 가용성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의 중금속 오염지수(PI) 및 그 편차는 재배토양 보다 농수로 퇴적토양에서 높았고, 중금속별 지화학적농축계수(Igeo)는 Cu>Cd>Ni>Zn>Pb 순이었다. 토양의 전함량에 대한 0.1N-HCl 침출성 함량 비율은 Cd>Cu>Zn>Ni>Pb 순이었고, 그 관계에서 Cd 및 Ni 성분은 고도의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미나리 부위별 중금속은 대부분이 뿌리에 축적되었으며, 지상부로의 이행지수(TF)는 Zn 및 Cu가 높은 경향이었다. 식물 흡수도는 비나리 부위 및 성분별로 큰 차이를 보였고, 토양 및 부위별 농도간에는 Cd, Cu 및 Ni 성분이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토양의 중금속 오염도는 매우 높았으나 재배작물인 미나리중의 중금속은 대부분 뿌리에서 축적되고, 가식부위인 지상부로의 이행성은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