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s of Agro-Based Materials for Water Dropwort (Oenanthe stolonifera DC) Organic Farming

미나리 유기재배를 위한 활용자재 시용효과

  • Received : 2009.11.30
  • Accepted : 2010.01.08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Organic farming is a type of agricultural practices based on naturally occurring processes excluding or strictly limiting the use of synthetic fertilizers, pesticides, and other chemica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agro-based materials, effective microorganisms (EM), liquid silicate (LS), and organic liquid fertilizer (OLF) for water dropwort (Oenanthe stolonifera DC.) cultivation. Soil pH, soil organic matter, and plant available phosphorous decreased with LS application. Exchangeable Ca and Mg decreased with EM application,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xchangeable Ca and K decreased with OLF application. Most of essential nutrient contents in water dropwort were reduced with the treatments of LS, EM, and OLF as compared with those in control plot, except nitrogen and phosphorus. However, diseases and insect pests were almost not observed in the water dropwort in the agro-based material application plots, except cluster caterpillar (Spodoptera litura). Productivity of water dropwort tended to be reduced: its higher productivity in the OLF and EM+LS plots and lower in the LS and control plots.

미나리 유기재배 방법을 설정하기 위해 관행 재배구를 대조구로 하고 유용미생물제(effective microorganism), 액상규산염(silicate solution), 및 유기액상비료(organic liquid fertilizer)를 사용하여 재배하였다. 미나리 수확기에 조사한 토양 pH, EC, OM, 유효인산, 치환성 칼슘, 유효규산함량은 수확기에 감소하였고, 치환성칼륨과 마그네슘은 1, 2년차에는 수확기에 감소하였지만, 3년차에는 증가하였다. 대조구에 비해 액상규산염을 사용할 경우 pH, 유기물, 유효인산함량이 감소하였고, 유용미생물제는 치환성 Ca과 Mg, 유기액상비료는 EC와 치환성 Ca과 K가 감소하였다. 미나리에 함유되어 있는 다량원소 가운데 C, N, P, K, 및 S는 대조구보다 함유량이 많았고, Ca과 Mg은 대조구와 비슷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과 역병은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점무늬병은 대조구에서 나타났다. 생육시기별로 처리간에 엽록소 함량 차이는 없었지만, 액상규산염을 사용한 구의 초장은 60.2 cm, 수량 3,698 kg/10a로 가장 적었고, 유기액상비료를 사용한 경우 66.0 cm와 4,387 kg/10a로 가장 많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진한. 1979. 미나리에 관한 연구. 충북대 논문집. 17: 260-263.
  2. 김진한.박상일. 1977. 미나리 특성 조사 및 석회의 시용효과. 충북대 논문집. 12: 327-331.
  3. 김창배.박노권.이숙희.박선도.최부술. 1994. 밭에서 규산 및 퇴비의 장기연용에 의한 보리 수량 및 토양의 이화학성 변화.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7(3): 195-200.
  4. 손상목. 2000. Codex 유기식품규격 내용과 한국 유기경종과 축산의 적용 실천. 유기농업학회지. 9(2): 39-54.
  5. 양승열. 1983. 한국산 미나리의 형태 및 생태에 관한 연구. 미나리의 주요 형태적 유형. 순천대학논문집. 2: 193-206.
  6. 양승열. 1984. 한국산 미나리의 주요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 논문집. 3: 421-447.
  7. 양승열.정연규.양원모. 1989. 한국산 미나리(Oenanthe javanica DC)의 우량계통 선발을 위한 주요 특성에 관한 연구. J. Kor. Soc. Hort. Sci. 30(3): 180-186.
  8. 이병일. 2005. 한국의 미나리. 산해, 서울.
  9. 임선욱.백남인. 1983. 답토양에서의 시비규산과 인산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6(4): 325-332.
  10. 허남칠.김충모.박숙.나환식. 2000. 전라남도내 미나리의 중금속 함량 및 기생충에 대한 조사. Korean J. Food Sci. Technol. 32(4): 970-973.
  11. Chung, J. B. and H. Y. Choi. 2006. Content and availability of micronutrients in manurebased composts. Korean. J. Soil Sci. Fert. 39(4): 230-236.
  12. Hwang, J. M., and Y. Park. 1998. Growth and composition of fall season water dropwater under various cultivation systems. J. Kor. Soc. Hort. Sci. 39(6): 657-660.
  13. Hwang, J. M., Y. Park, and K. Kwon. 1997. Clean cultivation of water cerely on eutrophic Andong Lake. Extension Research Rpt. Andong, Korea.(in Korean)
  14. Jeswani, L. M., B. R. Murty, and R. B. Mehra. 1970. Divergence in relation to geographical origin in a world collection of linseed. Ind. J. Gen. and Plt. Breed. 30: 11-25.
  15. Miller R. O. 1998. High-temperature oxidation: Dry ashing. In Hand book of Reference Methods for Plant Analysis(Ed Y. P. Kalra). CRC Press LLC. pp. 51-52.
  16. Park. Y., H. Kim, Y. Kim, and I. Kim. 1996 Uptake of heavy metal ions by water dropwort (Oenanthe stolonifera DC) and identification of its heavy metal-binding protein. Kor. J. Agric. Chem. Biotechnol. 39: 506-511.
  17. Shin, J. D., and M. S. Lee. 1997. Bioremediation bentazon using minari (Oenanthe stolonifera DC.) plant. Kor. J. Envrion. Agri. 16(3): 207-211.
  18. Verma, M. M., B. R. Murty, and H. B. Sinho. 1973. Adaptation and genetic diversity in soybean. II.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 with adaptation. Ind. J. Gen. and Plt. Breed. 33: 326-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