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ed cabbage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33초

건조에 따른 채소류 중의 이산화황함량 분석 (Study of Sulfur Dioxide Contents in Various Fresh Vegetables During the Drying Process)

  • 하성용;김현정;우성민;이준배;조유진;김양선;반경녀;박종석;김희연;장영미;김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03-309
    • /
    • 2010
  • 본 연구는 신선채소류의 건조전 후의 이산화황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여 건조채소류에 이산화황사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행하였다. 신선채소류 6품목 182건을 수거하여 열풍건조하였고, 건조온도는 50~60도에서 최종수분함량이 10%정도 되도록 건조하였다. 건조전 신선채소류의 측정값은 발표된 문헌과 유사하였고, 건조후 측정값은 파, 양파, 양배추, 마늘, 무잎, 그리고 무에서 각각 평균적으로 104.6, 75.4, 129.1, 197.6, 23.0, 52.4 mg/kg 검출되었다. 국내 유통중인 건조채소류 41건을 분석한 결과 실험실에서 전처리 없이 건조한 시료들보다는 적은 값이 검출되었고, 아황산처리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건조에 따른 이산화황함량 변화를 검토한 결과 이산화황함량은 수분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지만, 증가량은 수분감소량을 고려한 예측값과는 다른 결과를 보여 주었고, 그 형태는 품목마다 몇가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무, 양파, 파 등은 측정값이 예측값보다 적게 검출되었고, 무잎은 다른 시료에 비해 매우 낮은 값을 보여주었으며, 양배추는 유사한 값으로 검출되었다. 마늘의 경우는 측정값이 예측값 보다 높은 경우도 있었으며, 일관성있는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이것은 건조채소류에서 검출되는 이산화황함량은 단순하게 수분함량의 변화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곧, 시료내에 이산화황함량에 영향을 주는 성분들이 건조과정중에 휘산 또는 효소반응등의 물리 화학적 변화가 수반되며, 수분의 감소가 시료내 이산화황함량의 증가에 중요한 요소이기는 하지만, 그 외에 함유 성분의 특성이나 건조조건 그리고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요 성분들의 변화등도 의미있는 영향을 미칠 것임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수입 또는 유통중인 건조채소류에 대한 아황산염류 관리를 위해서는 각 품목별 특정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와 같이 지속적으로 자연발생 이산화황함량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뿐 아니라 나아가 선택성있는 분석법의 검토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는 건조채소류의 아황산염류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자료로서 활용되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주요 밭작물에 대한 $^{99}Tc$의 토양-작물체 전이계수 (Soil-to-Plant Transfer Factors of $^{99}Tc$ for Korean Major Upland Crops)

  • 최용호;임광묵;전인;금동권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6권4호
    • /
    • pp.209-215
    • /
    • 2011
  • 우리나라 주요 밭작물(콩, 무, 배추)에 대한 $^{99}Tc$의 토양-작물체 전이계수(TF)를 조사하기 위하여 온실 내에서 포트실험을 수행하였다. 토양은 경주 방폐장 주변 네 곳(콩 두 곳, 무 및 배추 두 곳)의 밭에서 채취하였다. 파종 3-4 주 전에 건조 토양을 $^{99}Tc$ 용액과 혼합한 다음 포트에 담고 관개하였다. TF 값은 건조 토양 중 $^{99}Tc$ 농도(Bq $kg^{-1}$-dry)에 대한 작물체 내 농도(Bq $kg^{-1}$-dry or fresh)의 비로 나타내었다. TF 값은토양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콩알의 TF 값은 경엽부에 비해 극히 낮아 $^{99}Tc$의 종실로의 이동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콩알, 무 뿌리, 무 잎 및 배추 잎에 대한 $^{99}Tc$ 전이계수의 대표치가 각각 두 토양에 대한 산술평균치인 $1.8{\times}10^{-1}$, $1.2{\times}10^1$, $3.2{\times}10^2$, $1.3{\times}10^2$(건조 작물체 기준)로 제안되었다. 채소류의 경우 신선 작물체에 대한 대표치도 제안되었다. 본 제안치는 대표성이 충분치 못하므로 지속적으로 최신화 할 필요가 있다.

국내 자원으로 제조한 발효 유기질비료가 배추의 생육 및 질소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and Nitrogen Use Efficiency to Chinese Cabbage under Fermented Organic Fertilizer Treatment with Domestic Resource)

  • 김유진;김소희;이상민;이초롱
    • 유기물자원화
    • /
    • 제31권3호
    • /
    • pp.83-91
    • /
    • 2023
  • 본 연구는 수입산 아주까리박을 주원료로 하는 혼합유기질비료(혼합유박)을 대체하기 위해 국내 유기자원을 원료로 제조한 발효비료의 처리효과를 확인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발효비료는 주정박(30%), 깻묵(30%), 미강(20%), 어분(20%)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발효조건을 달리하여 기존 발효방식(비가림 하우스에 21일간 발효)으로 제조한 발효비료A (Fermented Organic fertilizer A. OFA)와 발효기간을 단축(40℃에서 5일간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비료B (Fermented Organic fertilizer B, OFB) 2종을 제조하였다. 본 실험의 처리구는 무처리(Control, NF), 혼합유박(Mixed organic fertilizer, MOF), 발효비료 처리구(OFA, OFB)로 설정하였으며, 노지 배추 표준시비량의 질소 기준(320 kg/ha)으로 자재를 처리하였다. 재배시험 결과 OFA, OFB와 MOF간의 배추의 생육과 수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배추의 질소이용효율은 발효비료 처리구(OFB : 81.4%, OFA : 79.1%)가 MOF (65.3%)보다 증가하였고, 발효비료를 처리한 토양의 Urease 활성도가 240~241 ㎍/g/dm/2h로 MOF (203 ㎍/g/dm/2h)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국내 유기자원으로 제조한 발효비료 2종은 혼합유박과 유사한 생육과 수량을 보였으며, 발효과정으로 작물의 양분흡수가 용이해져 질소이용효율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제조한 발효비료가 양분공급자재로 혼합유박을 대체 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발효기간을 기존대비 16일 단축시켜 제조한 OFB도 기존 발효비료(OFA)와 효과가 유사하여 현장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국민의 비타민과 무기질 급원식품(I) -칼슘과 철분의 급원식품- (Food sources of vitamin and mineral for Korean people(I) -calcium and iron rich foods-)

  • 김영남;나현주;강희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7-6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the calcium and iron rich foods in Korean people. The food sources presented in the current home economics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 were investigated. And 40 kinds of calcium and iron rich foods were selected by the quantity in 100g edible portion. one serving size and according to 1997 food supply data. Also 3 major food groups of calcium and iron supply in Korean were identified, and 10 rich foods for each food groups were selec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ood sources of calcium 1) The food sources of calcium presented in the home economics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 are milk and dairy products. small fishes such as anchovy icefish and dried strip and green vegetables etc. 2) The calcium rich foods by 100g edible portion were in order of skim milk powder river snail sesame sea mustard. whole milk powder. snapping turtle loach sea tangle(dried) opossum shrimp and sea lettuce(dried). And the calcium rich foods by the calcium content in one serving were in order of river snail snapping turtle opossum shrimp loach spiny lobster skate skim milk powder small alaska pollack freshwater crab condensed milk whole milk powder skate ray and milk. 3) The 3 major calcium supply food groups in Korean were vegetables fish and shellfishes and milk and dairy products. 4) The calcium supply foods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food supply in 1997 was in order of sea mustard, milk anchovy chinese cabbage soybean skin milk powder laver shrimp welsh onion and maize. The vegetables were the important sources of calcium in Korean. 2. The food sources of iron 1) The food sources of iron which are commonly presented in the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 were meat liver egg(egg yolk) and green vegetables etc 2) The iron rich foods on the basis of the iron content in 100g edible portion were in order of surf clam marsh clam laver(dried)( sea lettuce(dried), crayfish pelilla seed little neck clam orient hard clam, venus clam, and freshwater carab. And the iron rich foods by the iron content in one serving were in order of surf clam marsh clam crayfish little neck clam orient hard clam freshwater crab venus clam hen cockle green confertii(fresh) pen shell and spiny lobster. 3) The 3 major iron supply food groups in Korean were cereals an cereal products fishes and shellfishes and vegetables. 4) The iron supply food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food supply in 1997 was in order of soybean sea mustard maize rice meat edible viscera laver wheat flour, pook, red pepper, egg and bovine meat.

  • PDF

중·북부지역에서 재배된 GM 배추와 Non-GM 배추간의 식물체 특성 및 영양 성분 비교 분석 (Comparison of the Plant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Components between GM and Non-GM Chinese Cabbages Grown in the Central and Northern Parts of Korea)

  • 조동욱;오진표;박권우;이동진;정규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836-844
    • /
    • 2010
  • 본 연구는 GM 배추와 non-GM 배추 계통간의 식물체 생장 특성, 지방산의 조성 및 무기 영양 성분을 분석하여 GM 작물의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GM 배추(SKCP)와 모본(SC) 계통을 중부지역과 북부지역에서 2008년 가을과 2009년 봄과 가을에 밀식 및 일반 배치시험구로 나누어 40일간 재배하고 수확 후 특성을 조사하여 SKCP 계통과 SC 계통간의 차이점 및 재배 지역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밀식 배치 시험구에서 재배된 배추 식물체의 최외각 엽의 특성 9개 항목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두 지역에서 재배된 SKCP 계통과 SC 계통간에 통계적 유의차는 두 항목(잎의 모양과 모용수)을 제외하곤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식물체의 지상부의 특성 6개 항목과 지하부의 특성 3개 항목을 조사한 결과, 두 지역 모두에서 SKCP 계통과 SC 계통간의 통계적 유의차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중륵의 길이가 두 지역에서 계통간 약간의 유의차를 보였으며, 재배 지역간에도 통계적 유의차가 발생하였다. 중부와 북부지역의 일반 배치 시험구의 경우 최외각 잎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9개의 조사 항목 중 4개의 조사 항목에서 SKCP 계통과 SC 계통간의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특히 잎의 길이에서는 계통간, 재배 지역간 그리고 재배 시기별로 변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식물체의 지상부 특성 9개의 조사 항목 중 5개의 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차가 발생하였으며, 생체중 무게와 중륵의 길이와 넓이에서는 계통간, 지역간 그리고 시기별로 유의차가 크게 나타났다. 2009년도 가을에 중부와 북부 지역의 일반 배치 시험구에서 재배된 배추 식물체의 잎에 존재하는 주된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5 가지 지방산의 총 함량은 재배 지역 및 식물 계통간에 통계적 유의 차가 없었으나 linolenic acid를 제외한 4가지 지방산은 중부와 북부 지역에서 SKCP 비해 SC 계통이 건중량 1g당 함량이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배추 식물체의 잎에 존재하는 무기영양성분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다량 원소는 질소(N), 인(P), 칼슘(Ca), 칼륨(K), 마그네슘(Mg) 및 나트륨(Na)의 6가지이었고 미량원소는 구리(Cu), 철(Fe), 망간(Mn) 및 아연(Zn)의 4가지로 조사되었다. 무기영양 물질의 대사체 분석 데이터를 표준화 작업하여 스코어를 통해 시각화하여 본 결과, GM 및 non-GM 계통간에 특이적 변이에 따른 클러스터 형성은 확인할 수 없었으나, 지역간 차이에 따른 클러스터 형성은 확인할 수 있었다.

아미노산(酸) 발효부산물(醱酵副産物)의 농업적이용(農業的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use of glutamic acid fermentation residuum in agriculture)

  • 오왕근;오재섭;이규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7-103
    • /
    • 1975
  • 아미노산발효부산(酸醱酵副産) 유기물(有機物)의 비효화(肥料化)를 위(爲)하여 부산유기질액(副産有機質液)과 유기질분말비료(有機質粉末肥料)를 퇴비(堆肥)와 대비(對比) 무우와 배추를 공시작물(供試作物)로 재배시험(栽培試驗)을 하는외(外)에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에 준 영향(影響)의 일부(一部)를 조사(調査)하였다. 1. 질소비료(窒素肥料)로써의 아미노발효부산(酸醱酵副産) 유기질액(有機質液)과 유기질분말비료(有機質粉未肥料)는 요소(尿素)와 동등(同等) 또는 그 이상(以上)의 효과(郊果)를 보였다. 2. 아미노酸 발효부산(酸醱酵副産) 유기질액(有機質液)과 분말비료(粉末肥料)는 토양(土壤)을 산성(酸性)으로 하는 경향(傾向)이 있으며 이 경향(傾向)은 유기질분비(有機質粉肥)가 더 크다. 3. 철(鐵)과 붕소(硼素)를 위주(爲主)로 한 여러 미량요소(微量要素)(망강, 아연, 동(銅), 붕소등(硼素等))를 첨가한 아미노발효부산(酸醱酵副産) 유기질액(有機質液)은 원액(原液)보다 배추의 수량(收量)을 높이는데 유효(有效)하였다. 4. 아미노발효부산(酸醱酵副産) 유기질액(有機質液)은 액체(液體) 또는 고체(固體) 복합비료원(複合肥料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시중 절임배추의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Conventional Salted Cabbages)

  • 김진희;박건영;최혜선;양지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59-663
    • /
    • 2010
  • 시중 절임배추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5개 업체의 절임배추를 구입하여 염도 등 일반특성과 미생물학적 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시중 구입된 절임배추는 대부분 천일염을 사용하였으며, 일부 식염 혼합, 해수를 사용하는 업체도 있었다. 세척 방법으로는 지하수 4회 세척, 자동 세척 후 3단 세척, 버블 후 3단 세척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세척수로는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었다. 15개 업체 중 3개 업체 제품은 HACCP 인증을 받았다. 시중 절임배추의 염도는 0.5%에서 2.0%로서 저염도를 나타났다. pH는 최저 5.32에서 최대 6.47을 나타내었다. 물성은 최저 1,997 g에서 최대 3,665 g을 나타내었다. 일부 제품은 재세척이 필요한 제품도 있었고, 애벌레, 흙 등의 이물이 나오기도 했다. 시중 절임배추의 일반세균은 최저 3.37 log CFU/g에서 최대 6.05 log CFU/g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대장균군은 불검출에서 최대 2.93 log CFU/g로 나타났다. 이 중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병원성균 등은 불검출로 나타났다.

온라인 유통중인 과메기·야채세트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Microbial Contamination in Cololabis saira and Vegetables Distributed through Online Markets)

  • 김지윤;전은비;최만석;박신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694-698
    • /
    • 2020
  • The consumption of Gwamegi, a semi-dried saury Cololabis saira, and its vegetable sides has increased owing to its availability onlin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in Gwamegi and its accompanying vegetable sides bought online by measuring total viable bacteria, coliform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and fungi. The total viable bacteria ranged from 3-5 log CFU/g. The fungi in Gwamegi and garlic were 3.4 and 3.9 log CFU/g, respectively. The positive rate of bacterial contamination was 100% (2-3 log CFU/g) in Gwamegi, cabbage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and green chili Capsicum annuum, whereas the contamination positive rate was 80% and 60% (< 2 log CFU/g) in chives Allium ascalonicum L. and garlic A. sativum L., respectively. The positive rates of E. coli were 0%, 20%, 60%, and 40% in Gwamegi, green chili, cabbage, and chives, respectively. The contamination levels of E. coli were 1-2 log CFU/g. S. aureus was detected at < 1 log CFU/g in all raw materials. The data on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may be used for microbial risk assessment of Gwamegi and vegetables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and securing microbiological safety.

농촌 노인의 나트륨 섭취에 기여하는 음식 분석 (Dishe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of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 문현경;최순옥;김정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3-136
    • /
    • 2009
  • Sodium is a necessary element for the body. Excessive intake of sodium is known as one of the risk factors for chronic diseases. Recently, increasing numbers of people in Korea are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Major causes of deaths were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with the rising aging population. Especially, the population of rural areas is growing older fast. In rural areas, it is known that under nutrition and high sodium intake were major nutritional problems. For sodium intake, there were some studies about contributing food items. They were not enough to show diets relate to sodium intakes. Thus, this study analyzed dishe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s of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Dietary intakes using "the 24hour recall method" were used. For the analysis for sodium intakes, "Can-pro3.0" was used. Ranking of dishes by contributions of sodium intakes were Korean cabbage, kimchi (19.6%), seasoned soybean paste (5.3%), soybean paste (4.6%), soybean paste soup dried radish leaves (3.5%), hot pork and kimchi stew (3.4%) in order. Ranking of dish groups by sodium intakes was kimchies (28.3%), soup and hot soups (22.8%), stews and casseroles (9.7%), seasonings (8.2%),and seasoned vegetables (6.0%) in order. One-dish meals among cooked rice, wheat noodles among noodle and mandu, soups using the soybean paste, stews using soybean paste and kimchi, salted fish among grilled foods, stir-fried anchovy among stir-fried foods, seasoned spinach, and Korean cabbage kimchi contributed to sodium intakes. As the nutrition deficiency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could be a problem, and excessive sodium intakes is threatening to their health, it is needed for the senior citizens to have adequate knowledge for diets containing less sodium. And recipes for healthy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based on their diets are needed.

동충하초 (Cordyceps sinensis)추출물을 첨가한 발효김치의 급여가 생쥐의 면역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imchi containing Cordyceps sinensis extract on the Immine Function of Balb/c mice)

  • 안택원;임석인;왕수경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6-167
    • /
    • 2002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Kimchi intake of Cordyceps sinensis extract (CDSE) supplementation on cytokine-induction and immune response in mice. To study in experiments using male Balb/c mice fed Kimchi and Kimchi of CDSE supplementation (addition of 2% of total Kimchi weight) containing fed experimental diet during 2 weeks. Experimental mice were fed control diet or diet containing freeze-dried Kimchi at the level of 5%(w/w) or 5% freeze-dried Kimchi with 2% CDSE supplementation. The main ingredient of Kimchi was Korean cabbage and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at $4^{\circ}C$ for three weeks. Freeze-dried 2% CDSE supplementation was added to Kimchi at the beginning of fennent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imchi intake of CDSE supplementation (5%Kimchi-2%CDSE), the following was performed; body weight, food intake, hematological parameter, serum level of mouse interleukin-4 (mIL-4) and mouse $interferon-{\gamma}$ $(mIFN-{\gamma})$, and, the percentage of CD3+/CD4+, CD3+/CD8+, B220+ in splenic cells. The results of final body weight, and food diet intake of two Kimchi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not supplemented experimental diet). The hematology change obtained from the level of WBC (white blood cell) and platelet were not affected by feeding different dietary regiments, but the level of RBC (red blood cells) HB (hemoglobin), and spleen weight of two Kimchi group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serum level of IL-4 and $IFN-{\gamma}$ of two Kimchi group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lso enhanced the percentages of the CD3+/CD4+ and CD3+/CD8+ by 5% freeze-dried Kimchi, and 5%Kimchi-2%CDSE group were 43.9 and 60.1%, and 96.0 and 174%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Kimchi itself has an immuno-stimulatory effect and Kimchi contaning 2% CDSE supplementation has the more pronounced effect in vivo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