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use of glutamic acid fermentation residuum in agriculture

아미노산(酸) 발효부산물(醱酵副産物)의 농업적이용(農業的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 Accepted : 1975.04.10
  • Published : 1975.06.20

Abstract

In order to use the glutamic acid fermentation residuum in agriculture effectively, comparison experiments of the residua liquid and dried solid, and compost on radish (Raphanus Sativus) and chinese cabbage (Brassica chinesis) were carried out, together with an investigation on some physical property changes of soil brought about by the use of the residua and compost. 1. An equal or somewhat superior effect of the glutamic acid fermentation residua solid and liquid, to urea was observed. 2. Both residua liquid and dried solid, tended to acidify soil and the tendency was observed to be somewhat servere in the latter. 3. The liquid fermentation residuum compounded with minor elements such as iron, manganese, zinc, copper and boron increased the yield of chinese cabbage compared with the liquid residuum alone. 4. Not only as a N, K fertilizer, the liquid residuum of glutamic acid fermentation could also be used as a source for liquid or solid compound fertilizer.

아미노산발효부산(酸醱酵副産) 유기물(有機物)의 비효화(肥料化)를 위(爲)하여 부산유기질액(副産有機質液)과 유기질분말비료(有機質粉末肥料)를 퇴비(堆肥)와 대비(對比) 무우와 배추를 공시작물(供試作物)로 재배시험(栽培試驗)을 하는외(外)에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에 준 영향(影響)의 일부(一部)를 조사(調査)하였다. 1. 질소비료(窒素肥料)로써의 아미노발효부산(酸醱酵副産) 유기질액(有機質液)과 유기질분말비료(有機質粉未肥料)는 요소(尿素)와 동등(同等) 또는 그 이상(以上)의 효과(郊果)를 보였다. 2. 아미노酸 발효부산(酸醱酵副産) 유기질액(有機質液)과 분말비료(粉末肥料)는 토양(土壤)을 산성(酸性)으로 하는 경향(傾向)이 있으며 이 경향(傾向)은 유기질분비(有機質粉肥)가 더 크다. 3. 철(鐵)과 붕소(硼素)를 위주(爲主)로 한 여러 미량요소(微量要素)(망강, 아연, 동(銅), 붕소등(硼素等))를 첨가한 아미노발효부산(酸醱酵副産) 유기질액(有機質液)은 원액(原液)보다 배추의 수량(收量)을 높이는데 유효(有效)하였다. 4. 아미노발효부산(酸醱酵副産) 유기질액(有機質液)은 액체(液體) 또는 고체(固體) 복합비료원(複合肥料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