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wnstream of Dam

검색결과 437건 처리시간 0.035초

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Dynamics with the Construction of River Mouth Dam in Kum River Estuary, Korea

  • Kim, Say-Wa;Han, Myung-Soo;Lee, Kyung;Choi, Young-Kil;Yoo, Kwang-Il
    • 생태와환경
    • /
    • 제35권2호통권98호
    • /
    • pp.141-144
    • /
    • 2002
  • The construction of river mouth dam has prevented seawater from backwarding to upstream in Kum river estuary since 1990. Field observation on environmental factors, and 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dynamics have been carried out three times with two month interval in the summer and autumn in 2000 at three selected stations in Kum river estuary. Blockade of seawater flowing backward to upstream caused sharp contrast of zooplankton fauna and phytoplankton flora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river mouth dam. Freshwater cladocerans i.e., Bosmina longisrostris and Daphnia galeata dominated in the upstream, and marine copepods of Acartia omorii and Paracalanus crassirostris occurred abundantly in downstream of the dam. Freshwater diatoms did not distributed in the downstream of the dam except Melosira varians, while marine diatom of Cylidrotheca closterium occurred in benthic waters bath in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dam. The construction of the river mouth dam seems to play an ecological role to blockade the input of marine organism into the upstream in Kum river estuary.

사천만 방수로가 남강댐 하류의 홍수량 저감에 미치는 영향 평가를 위한 분포형 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a Distributed Model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Sacheonman Spillway on the Flood Reduction in the Downstream of Namgang Dam)

  • 최천규;최윤석;김경탁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99-411
    • /
    • 2012
  • 남강댐은 남강 상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강댐의 일류문과 사천만 방수로를 통하여 남강댐 하류의 홍수조절을 하고 있다. 홍수유출 발생시 남강댐은 하류에 대한 홍수조절을 댐의 계획방류량에 의해 수행하고 있으나 사천만 방수로의 방류량에 의한 남강댐 하류의 홍수량 저감효과에 대한 적절한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홍수유출 발생시 남강댐 하류 유역에 대하여 남강댐과 사천만 방수로의 방류량을 고려한 유출해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하여 사천만 방수로가 남강댐 하류에 미치는 홍수량 저감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유출해석에는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GRM(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사천만 방수로는 남강댐 방류량에 비해 많은 홍수량을 방류하고 있으며, 남강댐 하류유역의 홍수량 저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중국 Changzhou댐의 방수로 운용에 따른 어류밀도와 분포에 관한 음향조사 (A Hydroacoustic Survey Analyzing Fish Populations and Their Distribution Upstream and Downstream of Changzhou Dam, China, Based on Spillway Conditions)

  • ;강명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03-412
    • /
    • 2011
  • Hydroacoustic surveys were performed to clarify the density and spatial distribution of fish upstream and downstream of Changzhou Dam in the Pearl River, China, with regard to the condition of the spillways. Fish were densely distributed in the forebay of the upstream dam and the average fish density was 0.22 individuals/$m^3$ under open spillways on 24 June 2010, but when the spillways were closed on 25 June 2010, the fish in the upstream dam dispersed and the average fish density decreased to 0.007 individuals/$m^3$. Meanwhile, the average fish density in the downstream region was 0.28 individuals/$m^3$ before the spillway was opened on 24 May 2010, but it decreased to 0.08 individuals/$m^3$ on 26 June, just after the spillway was closed.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fish upstream of the dam was not consistent. The target strength (TS) of fish upstream of the dam was larger than that of fish in the downstream region, although the distribution of TS was similar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region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while numerous fish could swim to the upstream region while the spillways were open, closed spillways obstructed fish migrating upward from the downstream region.

용담댐 하류하천의 횡방향 평균 2차원 수리·탁수모델링 (Laterally-Averaged Two-Dimensional Hydrodynamic and Turbidity Modeling for the Downstream of Yongdam Dam)

  • 김유경;정세웅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10-718
    • /
    • 2011
  • An integrated water quality management of reservoir and river would be required when the quality of downstream river water is affected by the discharge of upstream dam. In particular, for the control of downstream turbidity during flood events, the integrated modeling of reservoir and river is effective approach. This work was aimed to develop a laterally-averaged two-dimensional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CE-QUAL-W2), by which water quality can be predicted in the downstream of Yongdam dam in conjunction with the reservoir model, and to validate the model under two different hydrological conditions; wet year (2005) and drought year (2010). The model results clearly showed that the simulated data regarding water elevation and suspended solid (SS) concentration are well corresponded with the measured data. In addition, the variation of SS concentration as a function of time was effectively simulated along the river stations with the developed model. Consequently, the developed model can be effectively applied for the integrated water quality management of Yongdam dam and downstream river.

대기온도의 변화에 의한 콘크리트 중력댐 하류면의 균열거동에 관한 연구 (On the crack behaviour of the downstream surface of the concrete gravity dam by atmosphere temperature change)

  • 김조수;장희석;정태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년도 학회창립 10주년 기념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43-646
    • /
    • 1999
  • Downstream surface of the concrete gravity dam receives thermal stress due to atmosphere temperature change. So in this paper, the behaviors of crack located in the downstream surface were investigated, when considering the temperature change.

  • PDF

충주댐 방류에 따른 댐 상하류 홍수위 영향 분석 (Effect of Chungju Dam Operation for Flood Control in the Upper Han River)

  • 김상호;김지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537-54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06년 홍수시 충주댐 운영에 따른 댐 상 하류의 홍수위 상승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팔당댐 상류의 한강 본류에 위치한 충주댐을 기준으로 상류구간과 하류구간으로 구분하고, 1995년부터 2008년까지의 홍수사상을 대상으로 모형을 검보정함으로써 수리학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을 이용하여 충주댐의 유무를 가정하여 충주댐의 홍수조절효과를 검토하고, 방류량의 변화에 따른 상 하류 주요지점의 수위 상승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06년 홍수시 충주댐의 운영이 비교적 적절하게 수행되었음을 확인하였으나, 충주댐의 홍수조절효과는 댐 하류구간에 집중되어 있어 댐 상류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댐 배수구간 상류 하천의 기점수위 결정방법의 한계를 검토하였으며, 댐 배수구간과 상류 하천의 계획홍수량 불연속을 반영할 수 있는 기점수위 결정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댐 상류하천의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설계 및 홍수피해 발생시 피해원인 분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모래 공급과 인공 홍수가 양양댐 하류하천의 부착조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nd Supply and Artificial Floods on Periphyton in the Downstream of a Dam (Yangyang Dam, Korea))

  • 박미숙;이재용;정성민;박창근;장군;김범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18-425
    • /
    • 2012
  • Dam construction in a river can change its hydrological pattern and trap sediments, which results in ecological changes in the downstream. It is a common phenomenon in the downstream of dams to have decreased sediment flow and increased periphyton. Artificial floods and sediment application are suggested as mitigation practices in order to simulate natural process of flood; transporting sediment and sloughing periphyton off.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rtificial floods on periphyton were examined by applying sand artificially and discharging water from a dam (Yangyang Dam, Korea). The study area has been suffering from turbidity problems caused by shore erosion of the dam. The accumulation of inorganic sediments and increase of periphyton on the river bottom are the major factors of habitat deterioration in the downstream reaches. Artificial flood and artificial addition of sand was performed in summer and the effects were measured. Piles of applied sands were washed off easily by discharge and it enhanced the periphyton sloughing effect. The removal efficiency of periphyton was 50 ~ 80% within the 2 km reach from the dam. In conclusion artificial floods and sand application can be a good mitigation measure for the habitat rehabilitation after a dam construction in streams.

댐 건설에 따른 하류 하도 어류 서식처 변화 분석 (Change of Fish Habitat in a Downstream Reach of a Stream Due to Dam Construction)

  • 김승기;최성욱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권2호
    • /
    • pp.61-67
    • /
    • 2014
  • 댐의 건설은 유황의 변동과 유사의 흐름을 차단하기 때문에 하천의 수리학적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댐의 건설이 댐 하류의 어류의 서식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준정류 모형이 흐름모의에 사용되었으며, 물리 서식처 분석을 위해 HSI 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수리모형은 유사이송에 의한 이동상 모의가 가능하다. 유량 시나리오를 통해 댐 건설 전과 후의 피라미에 대한 어류 서식처 조건을 분석하였으며, 모의 결과 댐 건설 후 발전방류로 인하여 피라미의 서식처가 악화되는 빈도가 늘어났다. 또한 댐 하류로부터의 침식이 예측되었다. 이는 상류의 유사량 공급의 차단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장기적인 변화이다.

HEC-RAS를 이용한 성주댐 하류부의 홍수영향 분석 (Flood Influence Analysis in the downstream of Sung-Ju Dam using HEC-RAS Model)

  • 김선주;지용근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05-108
    • /
    • 2002
  • In this study, flood influence analysis in the downstream of Sung-Ju dam was simulated using HEC-RAS model. Input data for the simulation was which measured water level, water velocity, stream section etc. HEC-RAS model could be applied to steady flow or gradually varied flow in natural or artificial stream. HEC-RAS model which can simulate real-time changing water level and compute water surface curve was supplied to show the standard influent amount of Sung-Ju dam. Through this study the submerged damage of Sung-Ju dam's downstream would be minimized.

  • PDF

대형 댐과 농업용 보가 하류 서식처 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탐진강 유역을 대상으로 (Combination Effects of Large Dam and Weirs on Downstream Habitat Structure: Case Study in the Tamjin River Basin, Korea)

  • 옥기영;강지현;박형근;강동원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638-646
    • /
    • 2018
  • 본 연구는 대형 댐과 농업용 보가 공존하는 탐진강 유역을 대상으로 장흥다목적댐 건설 이후 탐진강의 서식처 지형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환경요인(대형 댐, 농업용 보, 조석, 하천정비)과의 인과관계를 유황변화, 하상재료, 항공사진 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장흥댐 건설 후 유량변화를 분석한 결과, 유역에서 댐에 의한 유량 변화의 직접적인 영향 구간은 최대 지천이 합류되기 이전까지로 판단된다. 이 구간에서는 대규모 홍수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중소규모 홍수빈도 또한 절반 이하로 감소하는 등 하천의 유사이송 에너지가 감소하였다. 하상재료의 입도분포는 댐 직하류에서 모래가 급감하는 등 하상재료가 조립화되었지만, 금강천 합류 이후 하구까지는 다시 모래 비율이 높아지면서 하천의 자연성이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렇지만, 지천 합류 이후의 이러한 유량 및 유사의 자연성 회복력은 본류 내 사주의 식생활착을 제어하기에는 부족해 보인다. 탐진강 하류에서 사주면적은 증가했지만 식생 피복율이 높은 원인은 지천에서 탐진강으로 공급된 유사가 장흥댐 건설에 따른 홍수 이송에너지의 감소와 더불어, 과밀화된 농업용 보에 의한 국지적인 지형변화, 그리고 감조역 구간에서 조석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가져온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댐하류 서식처 지형의 자연성 회복을 위해서 유입지천의 중요성과 함께 본류의 환경 유량 복원과 유사 이송을 반영한 고도화된 수생태계 관리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