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wn-regulation

검색결과 1,260건 처리시간 0.031초

Downstream Genes Regulated by Bcl2l10 RNAi in the Mouse Oocytes

  • Kim, Eun-Ah;Kim, Kyeoung-Hwa;Lee, Hyun-Seo;Lee, Su-Yeon;Kim, Eun-Young;Seo, You-Mi;Bae, Jee-Hyeon;Lee, Kyung-Ah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1호
    • /
    • pp.61-69
    • /
    • 2011
  • Previously, we have shown that Bcl2l10 as a member of Bcl-2 family, key regulators of the apoptotic process, is dominantly expressed in oocytes of ovary but several member of the Bcl-2 family are not expressed in oocytes. Recent our studies had been processed about roles and regulatory mechanisms of Bcl2l10 in oocytes. Microinjection of Bcl2l10 RNAi into the cytoplasm of germinal vesicle oocytes resulted in metaphase I (MI) arrest and exhibited abnormalities in their spindles and chromosome configurations (Yoon et al., 2009).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downstream genes regulated by Bcl2l10 and signaling networks in Bcl2l10 RNAi microinjected oocytes by using microarray analysis. Surprisingly, we found that a large proportion of genes regulated by Bcl2l10 RNAi were involved in the cell cycle and actin skeletal system regulation as important upstream genes of Bcl2l10. Among the transcripts with highly significant fold changes more than 2-fold, Tpx2 and Cep192 are 16.1- and 8.2-fold down regulated respectively by Bcl2l10 RNAi. Tpx2 and Cep192 are known as cofactors that control Aurora A kinase activity and localization. Therefore, we concluded that Bcl2l10 may have important roles during oocyte meiosis as functional upstream regulator of Tpx2 and Cep192.

IBM 이식을 통한 골수 조혈 줄기 세포에의 효과적인 유전자 도입 (Efficient Gene Delivery into Hematopoietic Stem Cells by Intra-Bone Marrow Injection of Retrovirus)

  • 이현주;이용수;김혜선;김유경;김재환;박진기;정학재;장원경;김동구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2권1호
    • /
    • pp.9-14
    • /
    • 2008
  • 조혈 줄기 세포에의 효과적인 유전자 전달은 유전자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레트로바이러스를 이용한 유전자 전달 기술은 많은 기초 연구와 임상 시도가 이루어진 대표적인 바이러스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in vitro에서의 조혈 줄기 세포에의 유전자 도입은 조혈 줄기 세포의 분화 유도, 자기 복제 능력과homing 능력의 저하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마우스의 대퇴골에 직접 레트로바이러스를 이식하는 IBM (Intra-Bone Marrow) 방법을 이용하여 조혈 줄기 세포에의 효과적인 유전자 도입을 시도하였다. IBM 이식 2주 후 마우스의 각 조직을 분석한 결과, 골수뿐 아니라 림파절, 비장, 간장 세포 등에서 유전자가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6.4{\pm}2.7%$의 골수조직 존재 조혈줄기/전구세포에서 도입된 유전자가 안정적으로 발현하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IBM 이식 방법을 이용한 생체 조직 내 레트로바이러스의 유전자 도입은 조혈 줄기 세포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사실을 시사해주고 있다.

Suppression of Experimental Liver Tumors by Estradiol-3-Benzoate Treatment or Castration in Male Rats

  • Byeongwoo Ahn;Jin Seok Kang;Jeong-Hwan Che;Kookkyung Lee;Ki Taek Nam;Mina Choi;Seyl Kim;Na Jin Jung;Beom Seok Han
    • 한국수의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의병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초록집
    • /
    • pp.149-149
    • /
    • 2002
  • Epidemiologically the incidence of liver cancer is markedly sex-differentiated, with a much higher frequency in men than in women. In experimental animals, it is also higher in male than in female irrespective of carcinogen-induced or spontaneous tumors. Therefore, we tried to investigate the modulating effects of sex hormones in experimental hepatocarcinogenesis. For induction of liver tumors, mini-osmotic pump containing diethylnitrosamine at a dose level of 47.5mg was implanted into the peritoneal cavity of the rat at 6 weeks old. To remove the effects of male sex hormones, the animals of group 2 were castrated one week prior to DEN treatment. To see the effects of estrogen, pellet containing 1g or 10g of estradiol-3-benzoate was infused subcutaneously to the animals of group 3 and 4 one week prior to DEN treatment. The pellets were exchanged every 4 weeks until sacrifice. All animals were sacrificed at 26 weeks after DEN treatment. The tumor incidences in group 1 (DEN alone), group 2 (DEN +castration), group 3(DEN +EB 1g) and group 4 (DEN +EB 10g) were 100% (15/15), 93.3% (14/15), 85.7% (12/14) and 66.7% (10/15), respectively, showing that the value of group 4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group 1. Tumor multiplicity data of group 1, 2, 3 and 4 were 5.470.73, 2.800.51, 2.070.41 and 1.670.46, respectively, showing castration or EB treatment reduced number of liver tumors significantly (P<0.001). With immunohistochemistry and Western blotting of ER the expressions were detected in normal adjacent liver cells but decreased or lost in tumor cells.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female sex hormone, especially estrogen, may act as a liver tumor suppressor, and it seemed that the down regulation of ER may be associated with liver tumor development.

  • PDF

진피 메탄올 추출물의 활성산소종 생성을 통한 인체 백혈병 세포의 apoptosis 유발 (Induction of Apoptosis by Citri Pericarpium Methanol Extract through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ion in U937 Human Leukemia Cells)

  • 김가희;이문희;한민호;박철;홍수현;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057-1063
    • /
    • 2013
  • 진피(Citri Pericarpium)의 항암작용 기전 해석을 위하여 U937 백혈병 세포의 apoptosis 유발에 미치는 메탄올 추출물(EMCP)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apoptosis 조절에 중요한 몇 가지 유전자들의 발현 및 활성 변화, ROS의 생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EMCP 처리에 의한 U937 세포의 증식 억제는 apoptosis 유도와 연관성이 있음을 DAPI 염색을 통한 apoptotic body 출현의 증가 및 Flow cytometry 분석에 의한 Sub-G1기 세포 빈도의 증가로 확인하였다. EMCP 처리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서 Bax 발현 증가, caspases의 활성 및 PARP의 단편화 등이 동반되었으며, ROS 생성의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산화적 손상에 대해 세포나 조직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인 HO-1의 발현이 EMCP의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으나 ROS 생성 억제제인 NAC의 전처리에 의해 감소된 HO-1의 발현은 전사인자인 Nrf2의 핵으로의 이동 억제와 관련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EMCP 처리에 의한 U937 세포의 apoptosis 유발에는 ROS 생성의 증가와 pNrf2에 의해 조절되는 HO-1의 발현 증가가 중요한 기전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자료는 진피의 항암기전 해석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NBS로 유발된 마우스 대장염모델에서 설파살라진, 육계와 시호 복합 추출물의 항염증 및 세포 자멸 개선효과 (Anti-inflammatory and apoptosis improving effects of sulfasalazine and Cinnamomi cortex and Bupleuri radix mixture in TNBS-induced colitis mouse model)

  • 김경조;신미래;김수현;김수지;이아름;권오준;길기정;노성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3호
    • /
    • pp.227-234
    • /
    • 2017
  • 염증성 장 질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설파살라진은 고용량 및 장기 섭취 후 다양한 부작용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TNBS로 유발된 마우스 대장염 모델에서 설파살라진, 육계와 시호 복합 추출물의 항염증 및 세포 자멸 개선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정상군, TNBS 대조군, Sulfasalazine (30 mg/kg)군, Sulfasalazine (60 mg/kg)군, Sulfasalazine (30 mg/kg)+육계 및 시호 혼합 (30 mg/kg)군, 총 5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7일간 경구투여 하였다. 염증 및 세포 자멸 단백질은 western blot을 통해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SCB 투여는 염증 단백질 및 세포 자멸과 관련된 단백질의 억제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설파살라진, 육계와 시호 복합 추출물은 염증과 세포 자멸의 억제를 통해 염증성 장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염증성 장 질환의 치료 대안 가능 물질로 사료되는 바이다.

체외순환에 따른 혈중 Interleukin-10의 변화 (Changes of Interleukin-10 level in Patients Undergoing cardiopulmonary Bypass)

  • 홍남기;이동협;정태은;이정철;한승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8호
    • /
    • pp.648-654
    • /
    • 2000
  • Background: Cardiopulmonary bypass during open heart surgery causes systemic inflammatory respose. IL-10 is an anti-inflammatory cytokine that inhibits inflammatory process and protects organ function by down regul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release and maintenance of blood level balance with pro-inflammatory cytokines. Mateial and Method: Plasma IL-10 levels were measured and analyzed in 22 patients who underwent open heart surgery (11 case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11 cases of valve replacement) under cardiopulmonary bypass since 1988 January to July at Department of Thoracic and Czardiovascular surgery,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1g of methylprednisolone was administrated to thirteen patients randomly. Blood samp.es were taken and collected at the time of induction of anesthesia, 10 min before cardiopulmonary bypass, 10 min after starting of CPB, 10 min aftr aortic cross clamping, 10 min after ACC release, and 10 min, 2 hours, and `5 hours after CPB respectively. The plasma levels of IL-10 were determin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ELISA). Wilcoxon-Raule Sum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 In all 22 patients, cardiopulmonary bypass time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 In all 22 patients, cardiopulmonary bypass time was 171$\pm$41.4 min and aortic cross clamp time was 118$\pm$36.5 min. Peak IL-10 level was achieved at 10 min after ACC(361.0$\pm$52.81pg/ml) and was decreased sharply at 2 hours after CPB. Peak IL-10 level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aortic cross clamp time(p=0.011); however, it did not correlated with bypass time(p=0.181). In valve replacement group, mean IL-10 level at peak point was 567.89$\pm$107.69 pg/ml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ronary artery bypass group(205.67$\pm$192.70 pg/ml)(p<0.001). ACC time in valve replacement group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coronary artery bypass group(p<0.01), however, bypass time was not(p=0.212). Thirteen patients with steroid pretreatment before starting of CPB showed relatively higher plasma IL-10 level than in control group, however,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ed(p=0.19). Conclusion: plasma level of IL-10 was increased in association with cardiopulmonary bypass and revealed peak at 10 min after ACC release. IL-10 level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ACC time. Therefore, systemic inflammatory respeonse in association with cardiopulmonary bypass could be decreased by reducing ACC time during cardiac surgery.

  • PDF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성분화 기간 중 Cytochrome P450 Aromatase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Cytochrome P450 Aromatase Genes during Sex Differentiation in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찬희;권준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195-203
    • /
    • 2007
  • 자웅이체형 어류의 성결정 및 성분화는 일반적으로 각 개체의 유전형을 따른다. 자연환경에서는 자신이 가진 유전정보의 조절에 따라 성분화 시기에 아로마테이즈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거나 감소하고, 그 결과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의 조성이 결정되어 각기 다른 방향으로 성분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산 태생 어류인 조피볼락(Sebasts schlegeli)의 ovarian type aromatase (P450aromA)와 brain type aromatase (P450aromB)의 유전자를 부분적으로 클로닝하여, 이들의 염기서열을 밝혔으며, 각 유전자에 대한 primer를 제작한 후 성분화 기간 중 이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조피볼락 아로마테이즈 유전자들은 조사를 시작한 출산 후 35일째에 여러 개체의 머리와 몸에서 각각 발현되었으나, 52일째에는 아로마테이즈 유전자들의 발현 개체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출산 59일째에는 발현 개체 수가 다시 증가하였다. P450aromA과 P450aromB의 발현 양상은 전반적으로 유사하였으나, 45일째에는 P450aromB의 발현 개체수가 P450aromA 발현 개체 수보다 훨씬 많았다.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제시된 이 종의 성분화 시기는 지금까지 출산 $50{\sim}65$일 전후로 알려져 왔으나, 본 연구에서 나타난 아로마테이즈 유전자들의 발현 결과를 볼 때, 이 종의 실질적인 성분화는 알려진 것보다 최소한 $1{\sim}2$주 정도 빨리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또한 태생어류의 성분화도 난생어류의 성분화에서 보고된 것과 마찬가지로 아로마테이즈의 작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 PDF

이차원 전기영동을 이용한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ains의 Shiga Toxin-producing E. coli (STEC) 부착 억제와 관련된 단백질 발현 변화 분석 (Comparison of Specific Proteins of Shiga Toxin-producing E. coli (STEC) Adhesion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ains Using Two 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 김영훈;문용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63-268
    • /
    • 2006
  • 최근 들어 병원성 미생물의 저감화를 위하여 기존의 항생제 계열의 항균물질이 아닌 새로운 개념의 신소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특히, 이러한 신개념의 병원성 저감화 소재 중 인간의 장내에 존해하는 probiotics 균주의 특성을 이용하여 병원성 미생물을 예방하는 것은 보다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에서는 HT-29 cell을 대상으로 L. acidophilus 균체와 세포 파쇄물을 대상으로 STEC ATCC 43894의 장 상피세포 부착 억제능력을 측정하였다. 10 mg/mL의 세포 파쇄물이 존재하였을 때 $10^9cfu/mL$의 균체가 존재했을 때와 유사한 수준으로 STEC ATCC 43894의 부착 저해 효과가 관찰되었다. 하지만, L. acidophilus A4의 상등액에서는 그 저해 효과가 세포 파쇄물의 $5{\sim}10%$ 정도 수준으로 관찰되어 그 효과는 매우 적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L. acidophilus A4의 세포 파쇄물이 STEC의 부착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10mg/mL의 세포 파쇄물이 첨가된 배지에서 STEC의 단백질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각 gel의 image에서 평균적으로 800개의 spot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중 2배 이상의 발현차이를 보이는 13개의 spot을 선발하였다. 7개의 spot은 세포파쇄물이 첨가되었을 때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3개의 spot은 발현이 감소하였다. 흥미롭게도 3개의 단백질 spot은 세포파쇄물이 존재할 때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명확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L. acidophilus A4의 세포 파쇄물에 존재하는 물질은 (1)STEC의 부착과 관련된 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하거나 (2)STEC과 장상 피세포에서의 수용체 경합을 통해 부착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이와 관련된 보다 세부적인 작용 메카니즘 연구 및 생화학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dole-3-carbinol에 의한 OVCAR-3 인체 난소암세포의 침윤 억제 (Inhibition of Cell Invasion by Indole-3-Carbinol in OVCAR-3 Human Ovarian Cancer Cells)

  • 최영현;김성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923-93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식물체에 널리 분포하는 indole-3-carbinol (I3C)에 의한 OVCAR-3 인체 난소암세포의 이동성 및 침윤성 억제 가능성과 이와 연관된 기전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I3C에 의한 OVCAR-3 세포의 증식억제는 세포의 이동성 억제와 연관이 있었으며, 이를 wound healing 및 matrigel invasion assay로 확인 하였다. 아울러 I3C 처리에 의하여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가 증가되었으며, cellular paracellular permeability는 감소되었는데, 이는 I3C 처리에 의해 세포 내 치밀결합(tight junctions, TJs)의 tightness가 증가되었음을 의미한다. RT-PCR 및 immunoblotting 결과에 의하면, I3C는 TJs의 구성 성분이면서 paracellular transport의 선택적 투과성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인 claudin-3 및 -4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 및 -9의 활성이 I3C 처리에 의하여 매우 억제되었는데, 이는 그들의 mRNA 및 단백질 수준에서의 발현 감소와 연관성이 있었다. 따라서 I3C에 의한 OVCAR-3 난소암세포의 침윤성 억제는 TJs 기능의 강화와 MMP 활성의 저하가 주요 인자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세신추출물이 α-MSH 자극에 의한 B16F10 세포의 멜라닌생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f Inhibitory Mechanism on Melanogenesis by Partially Purified Asiasari radix in α-MSH Stimulated B16F10 Melanoma Cells)

  • 장지연;김하늬;김유리;김병우;최영현;최병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17-1624
    • /
    • 2010
  • $\alpha$-MSH는 세포내 cAMP를 증폭시켜 멜라닌세포의 증식과 색소 증가에 관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alpha$-MSH로 자극한 B16F10 세포에서 세신추출물의 hypopigmenting 효과를 조사하고 그 억제기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세신추출물은 $\alpha$-MSH에 의해 유도된 tyrosinase 활성과 멜라닌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켰으며, 이는 tyrosinase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MITF의 발현억제와 연관성이 있었다. 즉 세신추출물은 MEK/ERK와 PI3K/Akt의 활성화를 통하여 MITF를 조절함으로서 $\alpha$-MSH에 의해 유도되는 tyrosinase, TRP-1, Dct 등 멜라닌생성관련 단백질을 억제함으로서 멜라닌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