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mestic kiwifruit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8초

국내산 키위연육제 제조과정 중 부형제의 첨가가 키위분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ulking Agent on Quality of Kiwifruit Powder in the Process of Domestic Kiwifruit Tenderizer)

  • 노정해;김영붕;길복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05-810
    • /
    • 2002
  • 본 연구는 키위연육제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단백분해효과가 있는 국내산 키위를 건조가공한 후 건조방법과 부형제 첨가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였고 12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관찰하였다. 건조 이전 전처리를 달리한 경우 paste 형태로 전처리를 한 경우가 dice 전처리 처리구보다 2.0배, 일반 과육형태보다는 1.3배 높은 단백불해활성을 나타내었다. 건조과정 중 변화를 보면 열풍 건조는 9시간 동안 동결건조는 46시간 동안 키위 paste의 수분감소가 90% 이상 진행되었으며 이 시간 동안 색의 변화가 주로 관찰되었다. 건조분말은 열풍건조한 경우 동결건조 처리구에 비해 수율이 낮았으나 수분함량은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았다. 열풍건조한 처리구의 경우 현저한 단백분해효소 활성의 저하를 나타내었고 동결건조한 처리구는 열풍건조보다 약 6.6배정도 많은 단백분해효과를 나타내었다. 키위 고유의 색은 동결건조를 하는 경우 유지되었다. 건조전 부형제를 첨가한 것에 의한 효과를 보면 동결건조에서는 부형제에 의한 차이가 적으나 열풍건조에서는 dextrin 5%첨가한 키위분말이 높은 건조분말수율과 낮은 수분함량을 보여주었다. 단백분해활성은 부형제를 넣고 열풍건조한 처리구의 경우 부형제 무처리구보다 약 $3.2{\sim}3.6$배 더 높은 효소역가를 보여주었고 이 역가는 동결건조 결과물에 비해 60% 정도 잔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형제에 의한 색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12주 저장하는 동안 모든 처리구에서 건조 전 부형제를 첨가한 분말연육체의 수분함량은 저장 내내 안정된 경향의 수분보유력을 보여주었다. 단백분해효소 활성은 열풍건조의 경우 건조전 부형제를 첨가한 처리구는 저장 4주까지 단백분해효소의 활성 감소를 보이다가 안정화되었다. 따라서 키위 고유의 색을 유지하고 가공 후 분말내 단백분해효소 잔존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동결건조가 효율적이나 부형제를 적절히 처리한 후 열풍건조를 하는 방법도 경제성 측면에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Comparison o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Kiwifruit Pollens

  • Kim, Min-Jung;Jeon, Chang-Wook;Cho, Gyongjun;Kim, Da-Ran;Kwack, Yong-Bum;Kwak, Youn-Si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2호
    • /
    • pp.143-149
    • /
    • 2018
  • Flowers of kiwifruit are morphologically hermaphroditic and survivable binucleate pollen is produced by the male flowe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microbial diversity in kiwifruit pollens by analyzing amplicon sequences of 16S rRNA. Four pollen samples were collected: 'NZ' was imported from New Zealand, 'CN' from China in year of 2014, respectively. 'KR13' and 'KR14' were collected in 2013' and 2014' in South Korea. Most of the identified bacterial phyla in the four different pollens were 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and Firmicutes. However, the imported and the domestic pollen samples showed different aspects o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s. The domestic pollens had more diverse in diversity than the imported samples. Among top 20 OTUs, Pseudomonas spp. was the most dominant specie. Interestingly, a bacterial pathogen of kiwifruit canker,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was detected in 'NZ' by the specific PCR.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microbial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information in kiwifruit pollen.

국내 육성 참다래의 항산화능 및 PC-12 신경세포 보호 효과 (Antioxidant Capacity and Protective Effects on Neuronal PC-12 Cells of Domestic Bred Kiwifruit)

  • 이인일;이봉한;엄석현;오창식;강희;조윤섭;김대옥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2호
    • /
    • pp.259-267
    • /
    • 2015
  • 본 연구는 참다래의 항산화능을 측정하고, 참다래 과육 추출물의 PC-12 세포주에 대한 보호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참다래의 총페놀 함량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를 측정하였다. 국내에서 육성 재배 중인 참다래인 해향(Actinidia chinensis cv. Haehyang), 해금(A. chinensis cv. Haegeum), 비단(A. eriantha cv. Bidan), 만수(A. arguta ${\times}$ A. deliciosa cv. Mansoo), 치악(A. arguta cv. Chiak) 등 5품종과 뉴질랜드 유래 헤이워드(A. deliciosa cv. Hayward), 중국 유래 041AE(A. linguiensis accession number 041AE) 포함 총 7품종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참다래의 껍질 추출물은 총페놀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능이 과육 추출물보다 더 높았다. 7품종 중에서 비단 품종 과육이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이 가장 높았지만,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가장 낮았다. 참다래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총페놀 함량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양의 선형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해향, 해금, 헤이워드 품종은 세포 내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PC-12 세포를 유의적으로 보호하였다. 본 연구는 해금, 해향, 비단 등 국내 개발 육성 참다래가 외래 도입종에 비해 더 높은 항산화능을 갖는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국내 육성 참다래가 높은 생리활성물질을 제공하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효모 종류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발효 및 숙성 중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in Kiwifruit Wines during Fermentation and Aging with Different Yeasts)

  • 오현정;임상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81-489
    • /
    • 2017
  • 국내산 참다래 와인의 고품질화 방안으로 제주도에서 육성된 참다래 품종인 제시골드와 제시스위트를 대상으로 참다래 와인 제조에 적합한 2종의 효모를 이용하여 저온 발효 숙성한 참다래 와인의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산도는 발효 초기에 제시스위트와 제시골드가 각각 0.94%와 1.22%였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조금씩 증가하여 발효 6일에는 각각 1.49%와 1.26%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균주별로는 차이가 없었다. 에탄올 함량은 발효 4일부터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발효 12일에는 제시스위트의 S. bayanus Lalvin 발효액이 10.2%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제시스위트의 S. cerevisiae Fermivin 발효액이 9.2%, 제시골드의 Lalvin과 Fermivin 발효액이 각각 9.4%와 9.4%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참다래 품종과 효모 종류에 관계없이 비슷한 변화를 보였는데, 발효 초기에 약$24.8^{\circ}Brix$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발효 6일 후에 약 $9.7^{\circ}Brix$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페놀 함량은 발효 시작 전에 제시스위트(1,127 mg/L)가 제시골드(848 mg/L)보다 1.32배 높았으며, 발효기간 동안에는 발효 6일 후 급격히 감소하였다가 발효 12일까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숙성기간 동안에도 숙성 30일 후 증가하였다가 숙성 120일까지 거의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본 연구 결과 효모 종류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품질 특성은 다소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참다래 품종별로는 차이를 보였으며, 에탄올 함량과 총페놀 함량에 있어서 제시스위트 품종으로 발효한 와인의 품질이 우수하였다.

RAPD와 SRAP 마커를 이용한 참다래 유전자원의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in kiwifruit germplasm evaluated using RAPD and SRAP markers)

  • 조강희;곽용범;박서준;김세희;이한찬;김미영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303-311
    • /
    • 2017
  • 본 연구는 참다래(Actinidia spp.) 유전자원의 유전적 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재배품종 및 국내 외에서 수집한 참다래 61점을 대상으로 RAPD와 SRAP 분석을 수행하였다. RAPD 분석에서 40종의 선발 primer를 이용하여 230개의 다형성 밴드를 얻었으며, 평균 다형성 밴드 수는 5.75개였다. 32종의 primer 조합을 이용한 SRAP 분석에서 204개의 다형성 밴드를 획득하였고, 평균 다형성 밴드 수는 6.38 개였다. RAPD와 SRAP 분석에서 획득된 434개의 다형성 밴드를 이용하여 비가중 평균결합 방식으로 집괴분석한 결과 유전적 유사도 지수 0.680을 기준으로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제1그룹에는 A. deliciosa와 A. chinensis에 속하는 품종과 A. deliciosa ${\times}$ A. arguta, A. chinensis ${\times}$ A. arguta, A. chinensis ${\times}$ A. deliciosa의 교잡종에 속하는 46점의 유전자원이 포함되었다. 제2그룹에는 A. arguta에 속하는 유전자원 7점과 A. arguta ${\times}$ A. deliciosa의 교잡종인 '스키니그린'이 포함되었다. 제3그룹에는 A. rufa, A. hemsleyana, A. macrosperma, A. polygama, A. eriantha 종에 속하는 유전자원 7점이 포함되었다. 참다래 유전자원 간 유전적 유사도 값은 0.479~0.991의 범위로 평균 유전적 유사도는 0.717이었다. 가장 높은 유사도 값(0.991)을 나타낸 유전자원은 NHK0038(A. deliciosa)과 NHK0040(A. deliciosa) 간이었고 가장 낮은 유사도 값(0.479)을 나타낸 유전자원은 '헤이워드'(A. deliciosa)와 K5-1-22(A. arguta) 간이었다.

과실유래 단백질 조효소액과 과육의 근원섬유 분해 효과에 관한 연구 (Proteolytic Effect of Fruit Flesh and Crude Enzyme Extract from Fruits on Myofibrilar Protein)

  • 김미현;노정해;김미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3-329
    • /
    • 2010
  • 국내산 무화과, 키위, 배, 파인애플은 단백분해효과가 알려져 조리 중에 쓰여지고 있으나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이들 과실로부터 조효소액을 추출하여 그 특성을 연구하고 과실을 직접 소고기에 처리하여 연육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과실에서 조효소액을 추출한 후 카제인과 근원섬유에 대한 단백분해 능력을 측정한 결과 파인애플 > 키위 > 무화과 > 배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 조효소액을 근원섬유 단백질에 처리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한 결과 배를 제외하고 조효소액의 농도를 증가시켜 처리할수록 myosin heavy chain이 170,000D 이하로 붕괴됨을 볼 수 있었다. 연육작용 측정에 가장 적합하다고 알려진 소편화율을 관찰한 결과, 파인애플 > 키위 > 무화과 > 배로서 근원섬유단백질 분해 활성의 순서와 같았다. 소고기에 갈은 과육을 5% 및 10%로 처리하였을 때 침지액의 가용성 질소량을 측정한 결과, 과실 처리구 모두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가용성 질소량을 나타내었다. 과실을 갈아 소고기에 처리한 후 가열하여 전단력을 측정한 결과, 파인애플이 연육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는 효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고기에 갈은 과실을 넣고 숙성하여 가열한 후 텍스쳐를 측정한 결과, springiness와 gumminess의 경우 파인애플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키위도 상당히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육의 연육효과를 평가한 결과, 5% 첨가시 연도의 경우는 파인애플과 키위가 가장 연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호도의 경우 모든 과실에서 10% 첨가보다 5%가 더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국산 참다래 골드 신품종 도입농가의 경영성과 및 경영효율성 분석 (A Study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New Domestic Kiwi Fruit 'Gold' Growers)

  • 박재형;채용우;박주섭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3권2호
    • /
    • pp.145-15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rms growing domestic kiwi fruit 'Gold' on their management performance and efficiency in order to reduce the risks involved with introducing new kind of crops for growing, and suggest improvements. First,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domestic kiwi fruit 'Gold' growers' income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growers due to the fruit's high unit price and productivity. Second, the analysis of management efficiency resulted in scale efficiency having greater impact on inefficiency rather than pure technical efficiency. As for the analysis of technical efficiency, the depreciation costs of agricultural facilitie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its inefficiency. Third, inefficient farms put in excessive inputs across the board, while labor costs(self labor cost + hired labor cost) were the largest factor of optimal inputs according to the models of technical efficiency and pure technical efficiency. Fourth, because of greater reliance on mechanical tools from rising labor costs, there's a need for individual farms to avoid buying farming equipments and instead share the equipments of nearby farms and agricultural cooperatives, or start renting agricultural machines from companies.

국내 주요 참다래 재배지에 발생하는 뿌리혹선충 종류 및 분포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Root-Knot Nematodes in Kiwifruit Orchard)

  • 강헌일;제환석;최인수
    • 식물병연구
    • /
    • 제29권1호
    • /
    • pp.45-51
    • /
    • 2023
  • 국내 참다래 주산지인 전라남도, 경상남도, 제주도 지역의 참다래 재배지 총 102개 지점을 대상으로 식물기생선충 종류와 밀도를 조사하였다. 검출된 식물기생선충은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 나선선충(Helicotylenchus spp.), 침선충(Paratylenchus spp.) 등 9개의 속이었으며, 102개 재배지 중 56%의 재배지가 뿌리혹선충에 감염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 참다래 재배지에서 가장 중요한 식물기생선충은 뿌리혹선충이었다. 뿌리혹선충의 평균 밀도는 97마리/300 cm3 토양으로 참다래의 수량 감소 피해가 우려된다. 뿌리혹선충의 종을 동정한 결과, M. arenaria, M. hapla, M. incognita, M. javanica 4종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 M. arenaria가 가장 우점하고 있다. 그 중 M. arenaria가 가장 우점하고 있다. 과수류에서의 식물기생선충 감염 경로는 감염된 묘목의 이식을 통한 확산이 많음으로 참다래 묘목 생산 및 보급단계에서 뿌리혹선충 무균묘 생산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참다래의 이화학적 성분, 항균 활성 및 폐암 세포 증식 억제 효과 (Chemical Composition of Kiwifruits,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nd Their Hyperplasia Inhibition Effect of against Lung Cancer Cells)

  • 박용서;이건순;코삭;박윤점;오대민;허북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2-209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ather the basic data on the spread of the domestic kiwifruits, and the development of the manufactured goods and the health functional foods produced using kiwifruits. We determined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four types of kiwifruits cultivated in Korea, Daeheung, Bidan, Haegeum and Hayward. In addition, we measured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cytotoxicities of these types of kiwifruits. The vitamin C contents of the kiwifruits increased in the order of Bidan (93.82 mg/100 g), Daeheung (85.89 mg/100 g), Haegeum (83.73 mg/100 g) and Hayward (75.28 mg/100 g). The total amino acids contents per 100 g of kiwifruit (dry weight basis) were 483.97 mg (Haegeum), 453.08 mg (Hayward), 437.27 mg (Bidan) and 369.35 mg (Daeheung). The K and Ca contents of the kiwifruits ranged from 14.56~37.12 mg/L and 1.94~8.24 mg/L, respectively; however, the Fe, Mg, Zn and Cr contents all less than 1.83 mg/L.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of kiwifruits against five gram positive bacteria at concentration of 2,000 mg/L in terms of inhibition diameter ranged from 8.8~12.8mm, while raged from 9.2~13.1mm against three gram negative strains of bacteria. The hyperplasia inhibition of lung cancer cells (Calus-6) by 800 mg/L kiwifruits extracts of Bidan, Haegeum, Daeheung and Hayward kiwifruits were 21.2%, 9.5%, 6.7% and 5.0%, respectively. Consequently, it was assumed that kiwifruits was rich in vitamin C, amino acids and K, and that they would therefore be useful in processed goo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