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thiocarbamate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3초

Dithiocarbamate 금속착물의 분배 및 추출평형 (제 1 보) 흔적량 무기수은(Ⅱ)의 용매추출 (Studies on Partition and Extraction Equilibria of Metal-Dithiocarbamate Complexes(Ⅰ). Solvent Extraction of Inorganic Trace Mercury(Ⅱ))

  • 최호성;최종문;최희선;김영상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898-907
    • /
    • 1994
  • 킬레이트제로 zinc diethyldithiocabamate $[Zn(DDC)_2]$를 사용하여 해수중 흔적량 무기수은(Ⅱ)의 용매추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Zn(DDC)_2$는 추출과정동안 산성 수용액에서 DDC-의 안정도를 유지하여 준다. 본 실험실에서 NaDDC와 $ZnSO_4$로부터 $Zn(DDC)_2$를 합성하였다. 흔적량 수은을 pH 3.0의 해수 100ml로부터 0.05 M $Zn(DDC)_2$의 클로포름 용액 10ml에 5분간 흔들어 추출하였다. 그리고 클로로포름 유기상으로부터 $Hg(DDC)_2$를 각 3% (v/v)인 질산과 염산의 1:1혼합산 용액 10ml에 25분간 흔들어 역추출하였다. 역추출된 수은을 냉증기 원자흡수 분광광도법으로 정량하였다. 본 추출과정을 해수중 수은의 정량에 응용하였고, 일정량의 수은을 첨가한 해수시료에서 90.0%와 93.3%의 회수율을 보여주었다.

  • PDF

Dithiocarbamate 금속착물의 용매추출 및 분석적 응용(제2보) Dibenzylammonium dibenzyldithiocarbamate 금속착물의 추출평형 (Studies on Solvent Extraction and Analytical Application of Metal Dithiocarbamate Complexes(II). Extraction Equilibria of Metal-Dibenzylammonium dibenzyldithiocarbamate Complexes)

  • 이종선;최종문;최희선;김영상
    • 분석과학
    • /
    • 제9권3호
    • /
    • pp.221-234
    • /
    • 1996
  • 흔적량 금속이온인 Ag(I), Pd(II), Au(III) 및 Pt(IV)의 dibenzylammonium dibenzyldithiocarbamate(DBADBDC) 착물을 용매추출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클로로포름으로 리간드 및 금속착물을 추출하기 위한 pH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DBADBDC는 pH 2~9에서 일정하게 추출되었으며 금속착물의 경우 Ag(I)는 산성용액에서, Pd(II) 는 pH 4 이상에서, Au(III)는 모든 pH 영역에서, Pt(IV)는 pH 3 이상에서 일정하게 추출되었다. 금속-DBDC 착물의 수용액과 용매간 분배 및 추출평형에서 분포비와 추출률은 Ag(I)의 경우 pH 0에서 log D=4.226 : E(%)=99.9%, Pd(II)는 pH 4~7에서 log D=1.804 ; E(%)=98.5%, Au(III)는 pH 2~10에서 log D=3.755: E(%)=99.9%, Pt(IV)는 pH 8에서 log D=0.165 : E(%)=57.2%의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몰비법으로 금속이온과 리간드가 착물을 형성할 때의 결합비를 조사해 보았다. Ag(I)는 1 : 1, Pd(II), Au(III) 및 Pt(IV)는 1 : 2의 착물을 형성하였으며, Au(III) 와 Pt(IV)는 착물내에 염화이온이 포함되어 있었다. 수용액에 염화이온이 존재할 때의 금속-클로로 착물의 추출반응을 규명할 수 있었으며, 각 금속이온을 착화제인 DBADBDC로보 추출할 때 각각의 추출반응과 상수식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백혈병세포에서 종양괴사인자에 의한 PTEN 발현증가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duces PTEN Expression in HL-60 Cells)

  • 이성호;박철홍;김병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1-188
    • /
    • 2006
  • Tumor necrosis ftctor-alpha$(TNF-{\alpha})$는 세포의 고사, 염증 및 면역 등의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역할을 한다. PTEN 역시 세포의 성장과 증식 그리고 세포의 유주와 분화 등의 세포학적인 다양한 기능을 갖는다 그러므로 이들 두 분자들 사이의 상호관계가 있을 것으로 제안되고 있으며, $TNF-{\alpha}$는 사람의 대장세포 주인 HT-29에서 nuclear factor-kappa $B(NF-{\kappa}B)$ 경로를 통해 PTEN downregulate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저자 등은 본 연구에서 HL-60 cells에서 $TNF-{\alpha}$$NF-{\kappa}B$를 통해 PTEN를 upregulates하는 기존의 반대 현상을 확인하였다. $TNF-{\alpha}$는 HL-60 cells에서 time과 dose의존성 방법으로 PTEN 발현을 증가시켰지만 반응은 p65 anisense oligonucleotide 또는 pyrrolidine dithiocarbamate(PDTC)으로 $NF-{\kappa}B$를 분해함으로 파괴되었다. 따라서 저자 등은 $TNF-{\alpha}$$NF-{\kappa}B$경로를 활성화시킴을 확인하였고, $TNF-{\alpha}$를 처리 할 경우 핵에 대하여 p65 전위에 의해 $TNF-{\alpha}$가 활성화됨을 증명하였다. 결국 HL-60세포에서 $NF-{\kappa}B$의 활성화에 따라 PTEN 발현의 upregulation이 유도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수도(水稻)에 있어서 제초제(除草劑)의 약해(藥害)에 미치는 살충(殺蟲), 살균제(殺菌劑)의 영향(影響) (Effect of Insecticide and Fungicide on Phytotoxicity of Herbicide in Rice)

  • 전재철;황인택;한민숙;장병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7-75
    • /
    • 1986
  • 제초제(除草劑)와 살충(殺蟲), 살균제(殺菌劑)와의 상호작용력(相互作用力)을 벼의 여러 생육(生育) 단계(段階)에서 검토(檢討)하였다. Carbamate 계(系) 살충제(殺蟲劑) BPMC는 단독처리(單獨處理) 및 제초제(除草劑)와의 혼합처리(混合處理)로 벼의 발아(發芽)를 심하게 억제(抑制)하였다. Thio- 및 dithiocarbamate 계(系)의 농약(農藥)은 carbamate 계(系)와는 달리 발아억제력(發芽抑制力)은 없었다. 제초제(除草劑)의 종류(種類)에 관계없이 BPMC가 혼용(混用)될 경우에는 벼의 발아후(發芽後) 생육(生育)에 심(甚)한 약해(藥害)를 나타내었다. Pendimethalin의 약해(藥害)는 유기인계(有機燐系) 농약(農藥)의 혼용(混用)으로 결항효과(結抗效果)를 나타내어 경감(輕減)되었다. 벼의 발아후(發芽後) 생육(生育)은 제초제(除草劑)와 살충(殺蟲), 살균제(殺菌劑)가 혼용(混用)되어 처리(處理)될 때 살충(殺蟲), 살균제(殺菌劑)보다는 제조체(除草劑)의 처리농도(處理濃度)에 의해서 더 크게 영향(影響)을 받는다. 대부분의 제초제(除草劑)는 살충(殺蟲), 살균제(殺菌劑)와 혼용(混用)하여 수도(水稻) 이앙(移秧) 5일(日) 후(後)에 처리(處理)하였을 때 수도(水稻)에 대해 약해(藥害)를 나타내지 않았다. Phenoxy 계(系) 제초제(除草劑)인 2, 4-D 및 MCPA의 경엽처리(莖葉處理) 활성(活性)은 cabamate 계(系) 및 요소계(尿素系) 살충(殺蟲), 살균제(殺菌劑)가 혼용(混用)될 때 증대(增大)되었다.

  • PDF

한국의 식품중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 (Establishment of Korean Maximum Residue Limits for Pesticides in Foods)

  • 박건상;임무혁;최동미;정지윤;장문익;권광일;홍무기;이철원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1-59
    • /
    • 2005
  • 우리나라의 식품중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은 GAP에 의한 과학적인 자료, 농약 1일 섭취허용량(ADI), 식품섭취량, 평균체중 등을 기본으로 하여 설정된다. 농약잔류허용기준은 일반적으로 이론적인 농약섭취량(TMDI)은 ADI보다 낮게 설정된다. 연구결과를 보면, 104개 기준이 24개 농약에 대하여 새롭게 설정되며, 102개 기준이 이미 기준이 설정된 63개 농약에 추가 설정된다. 신규 농약중에 ethaboxam과 flupyra-zofos 농약의 유효성분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개발되었다. 디치오카바메이트계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은 디메칠디치오카바메이트(Dimethyldithiocarbamates), 에칠렌비스디치오카바메이트[Ethylenebis(dithiocarbamate)s] 및 프로피네브(Propineb) 3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신설하였다.

디티오카르바메이트 유도체의 새로운 1,10-페난트롤린 팔라디움(II) 착물의 DNA 결합 성질 및 세포독성에 관한 연구 (DNA Binding Studies and Cytotoxicity of the Novel 1,10-phenanthroline Palladium(II) Complexes of Dithiocarbamate Derivatives)

  • Mansouri-Torshizi, Hassan;Saeidifar, Maryam;Ghasemi, Zahra Yekke;Khastan, Mahmood;Divsalar, Adeleh;Saboury, Ali Akbar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70-80
    • /
    • 2011
  • 두 종류의 새로운 팔라디움(II) 착물인 [Pd(phen)(pip-dtc)]$NO_3$와 [Pd(phen)(mor-dtc)]$NO_3$ (여기서 phen은 1,10-페난트롤린, pip-dtc은 피페리딘디티오카르바메이트 음이온, mor-dtc은 모르폴린디티오카르바메이트 음이온을 가리킨다)를 합성하고 원소분석, 분광법(FT-IR, $^1H$ NMR, UV-Vis) 및 전기전도도 측정을 이용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착물들에서, 디티오카르베이트 리간드는 팔라디움 (II) 중심과 두 개의 황 원자와 이중으로 배위 결합을 하고 있다. 이 착물의 세포독성을 K562 세포주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을 때 $IC_{50}$ 값이 시스플라틴보다 작았기 때문에 착물들의 송아지 흉선 DNA(CT-DNA)와의 결합 모드를 UV 흡광도 차이와 형광 분광법으로 조사하였다. 착물들은 DNA를 변형시키고, 협동결합을 하고, DNA에 끼어 들어간다. 또한 몇 가지 결합 및 열역학적인 변수들이 기술되었다.

매실박, 당근박, 감귤박 급여가 산란계 난황의 Vitamin E, K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Japanese Apricot, Carrot, or Tangerine By-products on Contents of Vitamins E and K in Chicken Egg Yolks)

  • 최승현;나재천;권오상;박상미;이봉덕;안길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35권2호
    • /
    • pp.193-198
    • /
    • 2008
  • 본 실험에서는 감귤, 매실, 당근의 껍데기로 감귤박, 매실박, 당근박을 먹여 산란계의 난황에 들어있는 Vitamin E와 K 함량을 높이고자 했다. Vitamin E 추출방법에는 검화방법인 ${\alpha}$, ${\alpha}$ - dipyridyl에 의한 비색정량법을 사용하였으며 전처리 과정 중 석유 ether를 가하여 층을 분리하는 과정과 증류수를 가하여 층을 분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신중을 가하였고 신속한 시료 전처리 과정이 요구되었다. Vitamin K 추출에는 Diethyl dithiocarbamate에 의한 방법이 사용되었다. 실험결과 일반난황에서의 Vitamin E 함량보다 실험난황에서의 Vitamin E 함량이 2배 이상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던 반면 Vitamin K의 함량은 소량 증가하여 큰 변화가 없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서 난황에 이전된 Vitamin E의 종류가 무엇이며 어떠한 형태의 Vitamin E가 이전이 많이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실험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추가적인 실험이 이루어졌을 때 상업적으로 이용한 가치가 있는 가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PDF

핵산합성 억제제인 decitabine과 NF-κB 활성 저해제인 PDTC의 병용 처리에 의한 인체 위암세포사멸 효과 증진 (Increased Apoptotic Efficacy of Decitabine in Combination with an NF-kappaB Inhibitor in Human Gastric Cancer AGS Cells)

  • 최원경;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1268-1276
    • /
    • 2018
  • Cytidine analog decitabine (DEC)은 핵산 합성의 억제제로서 골수이형성 증후군 및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산화질소 합성에서 번역 단계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ammonium pyrrolidine dithiocarbamate (PDTC)는 $NF-{\kappa}B$의 대표적인 억제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위암 AGS 세포를 대상으로 DEC와 PDTC의 병용 처리에 따른 세포증식 억제 기전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PDTC에 의한 AGS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는 DEC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G2/M기의 세포주기 정지 및 apoptosis 유도와 관련이 있었다. PDTC와 DEC의 병용 처리에 의한 세포 사멸의 유도는 DNA 손상 유도와 관련이 있음을 H2AX의 인산화 증가로 확인하였다. 아울러 PDTC와 DEC의 병용 처리는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의 파괴를 유도하고, 세포 내 활성산소종(ROS)의 생성과 Bax의 발현을 향상시키고, Bcl-2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의 cytochrome c 유출을 증가시켰다. 또한 PDTC과 DEC의 병용 처리는 외인성 및 내인성 apoptosis 개시 caspase에 해당하는 caspase-8과 caspase-9의 활성뿐만 아니라 caspase-3의 활성화와 PARP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PDTC와 DEC의 병용 처리가 DNA 손상을 유발하고, ROS 증가와 연계된 외인성 및 내인성 apoptosis 사멸 경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AGS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음을 의미한다.

라이소자임 분자각인 P(AN-co-MA) 막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N-co-MA) Membrane Imprinted with Lysozyme Molecules)

  • 민경원;유안나;염경호
    • 멤브레인
    • /
    • 제31권3호
    • /
    • pp.219-227
    • /
    • 2021
  • 분자각인막(MIM)은 특정 분자의 결합자리를 갖고 있는 다공성 고분자 막이다. 비용매유도 상분리(NIPS)법을 사용하여 분자각인막의 지지체로 사용될 P(AN-co-MA) 비대칭막을 제조하고, 여기에 표면 각인법을 적용하여 광활성 이니퍼터 도입과 photo-grafting을 통해 라이소자임 분자각인막을 제조하였다. P(AN-co-MA) 비대칭막을 3-chloropropyltrimethoxysilane과 광활성 이니퍼터 dithiocarbamate로 개질하고, acrylamide 단량체, N,N'-methylenebisacrylamide 가교제, 라이소자임 주형분자 혼합액을 UV 조사 환경에서 혼성중합 시켜 MIM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MIM의 FT-IR과 FE-SEM 및 EDS 분석을 실시한 결과 P(AN-co-MA) 막은 비대칭 단면 구조이었고 표면에 이니퍼터 그룹이 잘 결합되어 있어 MIM이 성공적으로 제조되었다. 제조공정의 변수 조절을 통해 라이소자임의 흡착량이 비각인막(NIM)에 비해 13배 큰 값인 2.7 mg/g을 갖는 P(AN-co-MA) 기반 MIM이 제조되었으며, 막여과 실험을 통해 라이소자임에 대한 오발부민의 투과선택도를 측정한 결과 MIM은 라이소자임의 선택적 결합력이 우수하였다.

Ultra-trace Arsenic Determination in Urine and Whole Blood Samples by Flow Injection-Hydride Generation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after Preconcentration and Speciation Based on Dispersive Liquid-Liquid Microextraction

  • Shirkhanloo, Hamid;Rouhollahi, Ahmad;Mousavi, Hassan Zavvar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11호
    • /
    • pp.3923-3927
    • /
    • 2011
  • A noble method for pre-concentration and speciation of ultra trace As (III) and As (V) in urine and whole blood samples based on dispersive liquid-liquid microextraction (DLLME) has been developed. In this method, As (III) was complexed with ammonium pyrrolidine dithiocarbamate at pH = 4 and Then, As (III) was extracted into the ionic liquid (IL). Finally, As (III) was back-extracted from the IL with hydrochloric acid (HCl) and its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by flow injection coupled with hydride generation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FI-HGAAS). Total amount of arsenic was determined by reducing As (V) to As (III) with potassium iodide (KI) and ascorbic acid in HCl solution and then, As (V) was calculated by the subtracting the total arsenic and As (III) content. Under the optimum conditions, for 5-15 mL of blood and urine samples, the detection limit ($3{\sigma}$) and linear range were achieved 5 ng $L^{-1}$ and 0.02-10 ${\mu}g\;L^{-1}$, respectively. The method was applied successfully to the speciation and determination of As (III) and As (V) in biological samples of multiple sclerosis patients with suitable precision results (RSD < 5%). Validation of the methodology was performed by the standard reference material (C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