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play design

검색결과 2,484건 처리시간 0.034초

2.9V~5.6V의 넓은 입력 전압 범위를 가지는 웨어러블 AMOLED용 2-채널 DC-DC 변환기 설계 (Design of 2-Ch DC-DC Converter with Wide-Input Voltage Range of 2.9V~5.6 V for Wearable AMOLED Display)

  • 이희진;김학윤;최호용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859-86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2.9 V ~ 5.6V의 넓은 입력 전압 범위를 가지는 웨어러블 AMOLED용 2-채널 DC-DC 변환기를 설계한다. 양전압 VPOS는 과도한 입력전압이 인가된다 하더라도 정상 출력 전압을 생성되는 OPC를 내장하고, 경부하 효율을 제고하기 위한 SPWM-PWM 듀얼모드 및 파워 트랜지스터 3-분할을 적용한 부스트 변환기로 설계한다. 음전압 VNEG는 전력 효율을 높이기 위해 0.5x 인버팅 차지펌프를 이용해 설계한다. 제안된 DC-DC 변환기는 0.18-㎛ BCDMOS 공정으로 설계하였다. DC-DC 변환기는 2.9V~5.6V의 입력 전압에 대해 4.6V의VPOS와 -0.6V~-2.3V의 VNEG 전압을 생성한다. 또한 1mA~70mA 부하전류에서 49%~92%의 전력효율과 최대 20mV의 출력 리플을 가졌다.

백색 LED 제조를 위한 정전기력과 보이스코일모터를 이용한 디스펜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ispenser System with Electrohydrodynamic and Voice Coil Motor for White Light Emitting Diode)

  • 강동성;김기범;하석재;조명우;이정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925-6931
    • /
    • 2015
  •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저 전력, 긴 수명, 고 휘도, 빠른 응답, 친환경적 특성으로 인해 조명, 디스플레이 등 여러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백색광 발광다이오드 구현 방식에는 대표적으로 청색 LED 칩과 황색 형광체를 조합하여 백색광을 방출하는 유형이 사용 편리성, 경제성, 효율성 측면에서 LED 백라이트 유닛 및 LED 조명 제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연구되어 실제 적용되고 있다. 백색광 구현 LED 칩 패키징 공정에서 청색 LED 칩에 황색 형광체에 실리콘을 혼합한 형광봉 지재를 토출하는 공정은 중요한 공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명용 백색 LED 제조 공정에서 실리콘 봉지재를 토출하기 위하여 정전기력 방식과 보이스코일 모터를 이용하여 EHD 펌프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가전압 및 시간에 따른 유체곡면 형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초 토출 실험을 통해 최적의 토출 조건이 결정하였고 또한 검증을 위하여 실험계획법을 사용하였다. 검증된 토출 조건의 균일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반복 토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산지유통조직의 차이점 분석을 통한 산지조직화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Activating a Producing Organization by Analyzing the Difference)

  • 김창환;박주섭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12호
    • /
    • pp.65-73
    • /
    • 2014
  • Purpose -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is collapsing due to recent changes in the environment balance between retailers and producers. Further, the increase in the imports of agricultural products due to free trade has caused revenue problems for producers. Agricultural producers are faced with increasing difficulties, and the organized producing center's importance is growing each day. Korean organized producing centers' policies have been conducted since 2000, and have thus been sustained for more than 10 years. Organizing a producing center's business is focused on agricultural cooperative and farming association corporation this has already have been carried out. In addition, it has achieved significant results through these organizations, but it still has many problem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Organized producing centers were classified for each type. The survey covered 90 organizations, based on factor analysis, analysis of balance,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conducted factor analysis are as follows. Production, marketing, human resources management, organizational skills, post management, safety, and scale were classified as the seven kinds of factors. These a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organized producing centers through the variance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purpose of such research and analysis is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organized producing centers' policies. Result -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variance are listed below. Items by type, production, market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skills are shown to depict differences between the factors. Organization form results show that production and marketing showed a difference between the factors. The size of the organization, production, and marketing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ctors. The factors affect organized producing center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shown, as seen from the results. In contrast, th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Considering the results by the type of item, and the horticulture type of market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has a (+) influence. Grain type and production showed a (+) influence. New types of income affecting organizational skills have a (+) influence. Considering the results for each type of organization,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type of marketing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have (+) influence. Farming association corporation type of production has a (+) influence. As a result, the size of the organization is as follows. Large organizations are production, expressed in marketing with a (+) impact. Medium-size organizations are expressed with their size factor having a (+) impact. Small organizations are expressed with a safety factor having a (+) impact. Conclusions - The types of factors display different effects. One factor is that the type of a (+) represents the influence of other factors (-) as per factor symptomatology. Therefore, the type of measures to organize a strategy to maximize the benefits of your organization should be pursued. In addition, based on the support for small organizations,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roducer organization should be considered.

스마트폰 환경에서 전자책 리더 기능 설정 옵션 및 터치스크린 동작 사용에 관한 사용자 선호도 분석 (Analysis of User Preferences in the Use of E-book Readers: Feature-Setting Options and Touchscreen Actions in a Smartphone Environment)

  • 김미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141-152
    • /
    • 2014
  • 전자책 리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매우 다양하여 사용성 문제를 야기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6개의 스마트폰용 전자책 리더를 대상으로 기능 설정 옵션과 터치스크린 동작 사용에 관한 사용자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전자책 리더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기능 설정 옵션에 대한 분석 결과, 배경색 설정은 배경색 아이콘에 사용되는 글자 색상을 함께 명시하고 지원되는 배경색의 종류는 8개가 적절하며, 화면밝기 설정은 화면밝기 설정 바를 이용하여 조정하고, 화면밝기 자동 옵션 기능을 함께 제공하며, 글자크기 조정은 +/- 버턴을 이용하고, 글자모양은 '기본값' 옵션과 함께 10개 정도를 지원하는 것이 이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페이지 넘김 효과는 효과 없음, 페이지 넘김, 슬라이드, 스크롤, 사라지는 효과 옵션을 제공하고, 페이지 이동 방법은 스크롤바에 의한 이동을 기본으로 하고, 페이지 번호 입력에 의한 이동, 목차 및 책갈피 목록에 의한 페이지 이동의 기능은 반드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책 리더 터치스크린 동작 기능에 관한 분석 결과 전자책 리더의 화면 구성은 좌, 우, 중간으로 구분하고 화면 좌측을 짧게 한번 터치하면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로, 우측을 터치하면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고, 화면의 중간을 터치하면 기능 메뉴가 표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전자책 리더 사용자 인터 페이스 설계 시에 사용성 향상을 위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교과서에 활용된 사용자 행위 반영형 인포그래픽 유형 분석: 교수·학습기준에 따른 유형을 중심으로 (User Behaviors Involved Infographic and the Analysis of Their Specific Types Appearing in th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 Focusing on the Types According to the Teaching-learning Standards)

  • 전은경;한지애;류시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51-660
    • /
    • 2015
  • 본 연구는 교수 학습 기준이 타 과목과 상이한 영어교과목에서 교육목표에 부합한 인포그래픽의 활용방법을 고찰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목표는 영어교과서에서 활용도가 높은 '학습을 통해 완성해 가는 인포그래픽', 즉, "사용자 행위 반영형 인포그래픽(User behaviors involved infographic)"의 활용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교수 학습 기준에 따른 분석을 바탕으로, 영어교과서에 사용된 인포그래픽을 '총체적개념중심', '의미중심', '의미작용중심' 인포그래픽 3가지 유형으로 제안하였으며, 다이어그램의 구성 수준에 따라 주요 시각화 속성을 '개요', '구조', '관계', '순서', '상태변화', '메세지'로 도출하였다. 연구를 통한 주요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2개 이상의 시각화 속성을 바탕으로 표현되어야 하는 "의미작용중심 인포그래픽"의 다양한 시각적 표현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둘째, 영어교과서에서 활용되고 있는 인포그래픽이 정보디자인 분야에서의 활용 목적과 상충되어, 이에 따른 교육 효과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대형 TFT-LCD TV에 적용 가능한 Source Driver IC 감마보정전압 구동용 앰프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Amplifier for Source Driver IC applicable to the large TFT-LCD TV)

  • 손상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51-57
    • /
    • 2010
  • 대형 TFT LCD 판넬의 감마보정전압을 구동하기 위한 레일-투-레일 고전압 CMOS 완충 증폭기를 제안하였다. 이 회로는 단일 전압하에서 동작하고 18V 전압원에서 0.5mA 의 전류소비특성을 나타내며 8비트/10비트 고해상도 TFT LCD 판넬의 감마보정 전압 구동을 위하여 설계하였다. 이 회로는 높은 slew rate, 0.5mA의 정적 전류특성을 나타내며 1k$\Omega$의 저항성/용량성 부하구동 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넓은 출력 공급범위를 지니며, 5mA의 출력 정전류를 내보낼 경우 50mV미만의 옵셋전압 특성을 가진다. 또한, 용량성 부하 구동시 입력기준 옵셋전압이 2.5mV 미만인 좋은 특성을 나타낸다. 본 논문에서는 넓은 스윙입력범위와 출력 동작 범위을 얻기 위해 전류미러형 n-채널 차동증폭기, p-채널 차동증폭기, AB-급 푸쉬-풀 출력단, 히스테리시스 비교기를 사용한 입력레벨 검출기 등을 사용하였다. 제안된 회로는 고전압 디스플레이 구동 IC에 사용하기 위해 0.18um 18V 고전압 CMOS 공정기술에 의해 제작되었다. 제안된 회로는 8~18V의 공급 전압 범위에서 동작한다.

피어-투-피어 스마트워치 시스템을 위한 바이오 센싱 데이터 동기화 (Bio-sensing Data Synchronization for Peer-to-Peer Smart Watch Systems)

  • 이태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813-818
    • /
    • 2020
  • 최근, 스마트기기의 기술 및 사용자의 급증과 더불어, 스마트워치 시장이 성장하고, 그 효용성 및 사용성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스마트워치의 강점은 웨어러블 휴대성, 응용의 즉시성, 데이터 다양성 및 실시간성 등이다. 이러한 강점에도 불구하고, 스마트워치는 배터리 제약,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크기 제약, 메모리 제약 등의 한계성을 지닌다. 또한, 개발자 및 표준 디바이스, 운영체제 표준 모델, 킬러 애플리케이션 모듈 등의 보완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스마트워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모니터링 및 응용이 주요한 서비스로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워치의 생체정보는 실시간 대용량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체정보 서비스의 고도화를 위해서, 센싱 데이터를 원격 스마트폰 또는 로컬서버저장소로 안정적인 피어-투-피어 전송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워치 시스템에서 무선 원격 피어-투-피어 전송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동기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동기화 방법에 기초한 무선피어-투-피어 전송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비동기 전송 프로세스와 제안 동기 전송프로세스를 분석하여 전송량 증가에 따른 전송 효율화 방법을 제안하다.

디지털 사이니지의 특성에 따른 영상콘텐츠의 변화 -버스와 지하철 내 디지털 사이니지를 중심으로 (Expression of image contents based on property of digital signage - Focuses on the Digital Signage in Public Transport)

  • 공수경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783-793
    • /
    • 2015
  • 기존의 사인, 표지판, 게시판의 디지털화로 나타난 형태를 우리는 디지털 사이니지라고 한다. 디지털 사이니지가 기존의 사인과 가장 다른 점은 기존의 사인은 콘텐츠 변경에 있어 한 번 설치되고 내용이 바뀔 때마다 제거, 다시 설치되는 물리적인 과정을 거쳤다면, 디지털 사이니지는 한번의 설치로 다양한 콘텐츠를 유연하게 출력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디자인과 움직임이 화려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담을 수 있게 되었다. 이렇듯 디지털 사이니지는 단순히 미디어의 기능 및 기술적 차원의 변화만이 아니라 콘텐츠의 변화, 표현 양식의 변화, 수용 방식의 변화 그리고 사회적, 정서적 변화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기존 사인에서 디지털 사이니지로 전환하려는 시대적 필연성에 맞춰 이를 위하여 본격적인 연구와 분석이 필요하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시간과 장소에 영향을 많이 받는 매체로, 장소와 시간에 맞는 맞춤형 콘텐츠의 제공해야만 그 역할을 잘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버스와 지하철 내의 디지털 사이니지의 콘텐츠로 범위를 정하였다. 대중교통이라고 하는 특성을 파악하고 시간과 장소가 함께 기획된 콘텐츠가 필요하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에 맞는 전용 콘텐츠의 개발은 장소, 시간과의 조화를 이루고, 수용자에게는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소통이 가능한 차별화된 디지털 사이니지만의 영역이 발전하게 될 것이며, 나아가 새로운 미디어로써 재미와 아트가 접목된 스마트한 사이니지로의 발전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나눔교육을 통한 아동의 변화 연구: Multiple Convergence Model의 적용 (Effects of Philanthropy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 Analysis Using a Multiple Convergence Model)

  • 강철희;김미옥;이종은;이경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4호
    • /
    • pp.5-34
    • /
    • 2007
  • 본 연구는 다중수렴모델(Multiple Convergence Model)을 적용하여 나눔교육을 통한 아동의 변화를 보다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이해해 보고자 한다. 양적 연구를 통해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친사회성 행동 향상에 초점을 두고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질적 연구를 통해서는 나눔교육 후의 아동 변화에 대해 아동, 학부모, 교사의 시각에서 다차원적으로 변화의 내용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나눔교육을 받은 고학년 아동들은 친사회적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으며, 아동, 학부모, 교사의 시각에서도 그러한 변화는 확인되었다. 또한 양적 결과를 질적 결과를 통해 확증하는 수렴적 방법을 활용해 종합해 본 결과, 나눔교육이 아동에게 매우 긍정적인 의미있는 변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나눔교육의 주요 장(주체)인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서 나눔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방안들을 논의한다. 본 연구는 '나눔교육을 통한 아동의 변화'라는 현상에 대해 포괄적 심층적 이해 제고를 위해 국내 최로로 다중수렴모델을 적용하는데, 이는 사회복지연구방법의 지평을 확대하는 효과, 즉 새로운 연구방법론 활용의 기초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고화질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를 위한 비실시간 콘텐츠 연동 지상파 3DTV 방송 표준규격 설계 및 검증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Higher-quality Terrestrial 3DTV Broadcasting Standard Specification Based on Synchronization with Non-Real-Time Contents)

  • 이장원;김규헌;임현정;정원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C권12호
    • /
    • pp.1185-1194
    • /
    • 2012
  • 본 논문은 한정된 대역폭을 갖는 기존채널을 통한 지상파 3DTV 서비스 화질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비실시간 콘텐츠 연동형 지상파 3DTV 방송 규격을 제안한다. 본 규격을 통한 서비스에서는 유휴시간의 대역폭을 활용하여 하나의 스테레오스코픽 시점 영상을 비실시간 콘텐츠로 전송한 후, 실시간 방송 신호를 통해 전송되는 나머지 시점의 영상과 동기화하여 재생함으로써 기존 3DTV 보다 향상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의 실현을 위해서는 다른 시간에 이종 매체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들을 동기화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되며,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실시간 방송 신호와 함께 다중화하는 방식의 기술적 해결책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고화질 지상파 3DTV 방송 규격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술 규격은 2DTV 방송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기존 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하여 비실시간 콘텐츠와 방송 신호간의 정밀한 동기화를 통한 고화질 3DTV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