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ression of image contents based on property of digital signage - Focuses on the Digital Signage in Public Transport

디지털 사이니지의 특성에 따른 영상콘텐츠의 변화 -버스와 지하철 내 디지털 사이니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5.09.10
  • Accepted : 2015.10.31
  • Published : 2015.10.31

Abstract

TV display which existed only in house started to show up out of house around us and now it found naturally its place in everywhere like street, bus, subway and elevator. It is called digital signage which showed up through digitalization of sign, that is, sign board and bulletin board. The distinction of digital sign from existing signs is that the latter one should go through physical process like removal after installation every time its contents are changed but the former one can produce its various outputs flexibly once it is installed. Also existing sign may be static image or 2 or 3 pieces of image to express simple motion while digital sign can contain multi media contents luxurious in design and motion. This paper confined the range of contents in digital signage in bus and subway. It need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mass transportation-people of use, consumer by place and time, accommodation environment for consumer etc and arrange planned contents along with time and place. Developments of dedicated contents suitable to those digital signages will harmonize with place and time and promote the realm of digital signage which provides variety of experience to consumer and with which communication is possible and which is distinctive. Furthermore we may expect the birth of smart signage as a new media, in which fun and art are combined.

기존의 사인, 표지판, 게시판의 디지털화로 나타난 형태를 우리는 디지털 사이니지라고 한다. 디지털 사이니지가 기존의 사인과 가장 다른 점은 기존의 사인은 콘텐츠 변경에 있어 한 번 설치되고 내용이 바뀔 때마다 제거, 다시 설치되는 물리적인 과정을 거쳤다면, 디지털 사이니지는 한번의 설치로 다양한 콘텐츠를 유연하게 출력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디자인과 움직임이 화려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담을 수 있게 되었다. 이렇듯 디지털 사이니지는 단순히 미디어의 기능 및 기술적 차원의 변화만이 아니라 콘텐츠의 변화, 표현 양식의 변화, 수용 방식의 변화 그리고 사회적, 정서적 변화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기존 사인에서 디지털 사이니지로 전환하려는 시대적 필연성에 맞춰 이를 위하여 본격적인 연구와 분석이 필요하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시간과 장소에 영향을 많이 받는 매체로, 장소와 시간에 맞는 맞춤형 콘텐츠의 제공해야만 그 역할을 잘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버스와 지하철 내의 디지털 사이니지의 콘텐츠로 범위를 정하였다. 대중교통이라고 하는 특성을 파악하고 시간과 장소가 함께 기획된 콘텐츠가 필요하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에 맞는 전용 콘텐츠의 개발은 장소, 시간과의 조화를 이루고, 수용자에게는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소통이 가능한 차별화된 디지털 사이니지만의 영역이 발전하게 될 것이며, 나아가 새로운 미디어로써 재미와 아트가 접목된 스마트한 사이니지로의 발전을 기대해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Joohee Kim, 'FUTUREUX: DIGITALSIGNAGESM ARTMEDIA", POP Sign, 2013
  2. Nakamura Ichia, Ishido Nanako, Han SeokJoo, "Revolution of Digital Signage", Communication Books, 2010
  3. SeungChul Yoo, "Maketing of Digital Signage", POP Sign, 2011
  4. HonYeol, Kim, "Digital Signage, Reconstruction of Space and Circulation of Desire"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0, No.4 pp.29-33, 2012
  5. KyungIl Doo, ChiKwun Choi, "A Study on the Use of Digital Signage as a Communication Marketing Strategy"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Vol. 23, 2012.9, pp.64-75, Sep 2012
  6. Hyun Park, JongWoo Chun, "Media and Advertising Effects of Digital Signage: A Focus on Consumers Psychological Tendency and Media Locations", Korea Academy of OOH Advertising, Vol.10, No.2, pp.105-133, 2014
  7. Sang-cheal Kim, Kwang-Ho Kim, "A Comparative Study on the Graphics Usage by Terrestrial Broadcasters TV News - Focusing on the Evening Main News of KBS, MBC, and SBS", Jo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nty Vol.16 No.3, pp397-406, June 2015 https://doi.org/10.9728/dcs.2015.16.3.397

Cited by

  1. 영상콘텐츠분야 정권별 빅데이터 분석 - 상위 중심성 값의 변화를 중심으로 vol.18, pp.5, 2015, https://doi.org/10.9728/dcs.2017.18.5.911
  2. 스마트 거울의 제작을 통해 이루어진 공학 교육 실천 방법론에 관한 연구 vol.10, pp.1, 2015, https://doi.org/10.14702/jpee.2018.009
  3. 3D홀로그램을 활용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사실감 vol.24, pp.9, 2020, https://doi.org/10.6109/jkiice.2020.24.9.1150
  4. 멀티스크린의 발전과 초고화질 콘텐츠 응용에 대한 연구 vol.18, pp.6, 2015, https://doi.org/10.22678/jic.2020.18.6.033
  5. The Effect of Expression Types on Consumers' Preferences: Exploring the Role of Visual Complexity and Appeal Types vol.22, pp.1, 2015, https://doi.org/10.9728/dcs.2021.22.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