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ease exposure

검색결과 960건 처리시간 0.03초

메르스 확산에 따른 정부의 위기 대응 메시지 언어 네트워크 분석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Government's Crisis Communication Messages during the MERS Outbreak)

  • 이미나;홍주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24-136
    • /
    • 2016
  • 최근 몇 년간 거듭된 재난 재해 발생으로 인해 재난 재해 발생 시에 정부의 위기 대응의 중요성이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는 2015년 발생한 파급력이 큰 재난 위기 상황이었던 메르스 위기 상황에서 정부의 대응 메시지를 분석하여 정부가 위기를 어떻게 인식 하였고 어떤 대응을 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메르스 확산 양상에 따라 3단계로 시기를 나누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정부의 공식 홈페이지에 게재된 메르스 관련 보도자료 총 134건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메르스 확산 시기에 따라 보도자료에 나타난 정부의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에 대해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메르스 초기에 중앙 정부에서 위기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환자 경유 병원과 예방법 등에 대한 정확하고 신속하며 충분한 정보공개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점이 가장 큰 문제로 드러났다. 메르스 확산기와 쇠퇴기에 서울시와 경기도에서는 중앙정부에 비해 좀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일상생활에서의 행동 수칙, 의료인 및 해제자 대상 심리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에 대한 메시지를 중점으로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부의 전염병 관련 재난 상황에서의 위기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그 메시지에 내포된 의미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함의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국내 생강 에센셜오일이 만성 스트레스로 교감신경이 항진된 동물 모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orea Ginger Essential oil on Chronic Mild Stress-induced Rats Model of Sympathetic Hyperactivity)

  • 지중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88-1197
    • /
    • 2019
  • 스트레스는 인체의 다양한 기관과 정신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교감신경 항진을 야기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스트레스로 교감신경을 항진시킨 동물 모델에서 국내산 생강 에센셜오일이 스트레스 호르몬 및 뇌 조직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세포독성 평가 및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혈청 바이오 마커와 뇌 조직의 병리학적 분석이 기초한 효과를 관찰하였다. 동물 실험에서 국산 생강 에센셜오일의 처리는 만성 스트레스로 교감신경을 항진시킨 동물 모델 제작 후 2주간 100 nl/㎖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국산 생강 에센셜오일은 100 nl/㎖ 농도 이하에서 독성이 없었으며, 6-진저롤 함량이 345 ppm으로 확인되었다. 국산 생강 에센셜오일의 처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청에서 부신피질호르몬, 코르티코스테론, 멜라토닌과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의 농도를 크게 줄였으며, 복측피개부(VTA) 및 흑색질 치밀부(SNpc) 부분에서 TH-면역 반응이 때때로 중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보존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국산 생강 에센셜오일이 교감신경 항진을 개선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국산 생강은 교감신경 항진에 대한 아로마오일의 새로운 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성견의 치주질환 이환 발치와에 이식된 활택치근과 탈회냉동건조골이 치조골재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CALCIFIED FREEZE-DRIED BONE ALLOGRAFTS AND ROOT PLANING PROCEDURE ON THE HEALING OF TRANSPLANTED ROOTS INTO THE PERIODONTALLY DISEASED EXTRACTION SOCKETS OF DOGS)

  • 김종관;채중규;조규성;문익상;김진;최상묵;한수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557-567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effect of root planing and decalcified freeze dried allografts on the resorption of transplanted roots and the healing of preveously diseased recipient extraction sockets. The experimental chronic periodontitis was induced by elastic ligatures on the 2nd and 3rd mandibular premolars of 4 adult dogs, and after 8 weeks, crowns were removed and the teeth extracted. The extracted roots were split in half along the long-axis, and the extednt of plaque exposure was morked on the root surfaces with burs. The roots were either root-planed(Test group), or left uninstrumented(Control group), and transplanted in the extraction sockets with decalcified freeze-dried allografts filling the void. The flaps were sutured to cover the sockets completely.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12 weeks of healing, and the specimens were examined histolog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No signs of inflammation or disease activity were observed in either groups. 2. Replacement root resorption was observed in both groups. 3. More connective tissue attachments and less ankylosis were observed in the test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4. The unresorbed remains of DFDB particles were observed in both groups. 5. DFDB particles in the apical portion of the alveolar sockets were encased in newly-formed bone, while those in the coronal areas were seen encapsulated with connective tissue. 6.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root-planed and uninstrumented roots relative to the healing and the bone fromation in the recipient extraction sockdets. From the present study, there seemed to be no significant benefits in root planing the transplanted roots or grafting the sockets with DFDB in order to curve the replacement resorption, although the root-planed roots showed more connective tissue attachments.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benefits in root transplantation and DFDB for and enhanced healing and bone formation in alveolar extraction sockets.

  • PDF

한냉글로불린혈증 환자에서 발생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1예 (A Case of Cryoglobulinemia-induce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김병규;심재정;정기환;신정호;이승헌;공희상;김제형;박상면;신철;인광호;강경호;유세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2호
    • /
    • pp.155-160
    • /
    • 2001
  • 한냉글로불린혈증에 의한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은 극히 드문 것으로 보고되었다. 저자 등은 B형 간염을 가진 환자에서, 한냉글로불린혈증과 그에 인한 급성호흡곤란 증후군이 발생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목화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유전자로 형질 전환된 현삼의 내병성 특성 (Pathogene Resistance of cotton GST cDNA in Transgenic Scrophularia buergeriana Misrule)

  • 강원희;임정대;이성호;유창연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297-304
    • /
    • 2001
  • 현삼의 기내배양에서 TDZ처리가 비교적 재분화에 효율적이었고 형질전환 식물체를 선발하기 위하여 선발표지 유전자로 사용되는 NPTII gene이 항생제 kanamycin에 대한 저항성은 50 mg/L가 적당하였다. 선발배지에서 자란 현삼 식물체에서 DNA를 추출하여 PCR 분석을 통하여 특정 유전자 Gh-5 gene을 검정한 결과 형질전환되지 않은 식물체에서는 볼수가 없는 988 bp의 band가 형질전환된 식물체에서는 관찰되어 GST 유전자가 현삼의 염색체 안으로 삽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 효율 증진을 위하여 선발과정에서 암상태를 30일까지 유지할 경우 높은 형질전환 효율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상의 처리는 오히려 형질전환 효율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Table 5). 형질전환 식물체에서 GST의 활성이 형질전환 되지 않은 식물체의 2배로 나타났고 유도체의 적정 처리 농도는 50$\mu$M이며 유도체 처리 시간에 따라서는 12시간까지는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그 이상의 시간에서는 활성이 저하됨이 확인되었다. Fungus 피검균인 Asperigillus awamori에서 6, 12시간 처리 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그 이상의 시간처리에서는 명확한 균사 억제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며, 특히 12시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Cladosporium herbarum에서 형질전환된 식물체의 활성이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6시간 처리에서 다른 처리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피검균인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는 형질전환 식물체에서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6, 12시간 처리에서 비슷하게 높은 활성을 보여 주었다. 박테리아 피검균 Bacillus subtillis에서는 50$\mu$M 이하의 유도체 처리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교감신경계가 암의 발전과 진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o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Cancer)

  • 박신형;지규용;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6-129
    • /
    • 2018
  • 생물체는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항상성 유지 기작을 가지고 있으나,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스트레스는 카테콜아민과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의 과도한 방출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교감신경계와 암과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연구는 스트레스가 암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오랜 가설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다수의 전임상연구와 역학 연구결과는 교감신경계의 주요 신호전달경로인 ${\beta}$-adrenergic signaling을 조절하는 것이 암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교감신경계의 활성화는 암세포의 oncogene과 DNA repair 유전자 조절, 생존과 사멸 조절, EMT 및 전이 조절, 면역계와 혈관신생 조절, 세포외기질과 간엽세포 조절, 지방세포 조절 등을 통해 암세포와 종양미세환경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오늘날 암의 성장과 관련된 분자적 기전을 차단하는 표적항암치료가 각광받고 있으나, 보상경로의 활성화와 항암제 내성 출현 및 여러 부작용으로 말미암아 임상적 실패를 거듭하면서 암의 생병리를 다방면에서 조절하는 전략이 새로운 치료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이러한 암의 전신적 조절인자로서 교감신경계가 암의 형성과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하고, 향후 새로운 암 치료전략으로서 ${\beta}$-adrenergic signaling을 조절하는 약물의 임상적 활용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가족성 저칼륨성 주기성 마비에서 세포외 칼륨농도가 지연성 정류형 채널을 형성하는 KCNQ3와 KCNQ5 단백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Extracellular Potassium on Delayed Rectifier Potassium Channel Proteins of KCNQ3 and KCNQ5 in Familial Hypokalemic Periodic Paralysis)

  • 김성조;김동현;김준범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484-1488
    • /
    • 2009
  • 가족성 저칼륨성 주기성 마비란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으로 저칼륨혈증을 동반한 간헐적인 가역적 이완성 근육 마비를 특징으로 한다. 세포내 저류된 칼륨으로 인해 저칼륨혈증이 지속되고 근세포 활성이상으로 인해 마비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증상발현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 내 칼륨이온을 세포 밖으로 이동시키는 지연성 정류형 채널 단백질의 일종인 KCNQ3와 KCNQ5를 대상으로, 정상인과 환자에서 채취한 골격근 세포를 생리적 세포외 정상 칼륨농도인 4 mM과 탈분극 유도를 위한 고칼륨농도인 50mM에 노출시켜 단백질의 양적 변화 유무를 확인하였다. 유전자 발현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mRNA의 양적 변화를 확인한 결과 모든 조건에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정상 칼륨조건과 고칼륨조건이 두 유전자발현의 변화를 야기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단백질 양을 관찰한 결과 환자의 골격근 세포가 50 mM의 칼륨농도에 노출되는 경우 KCNQ3 단백질은 세포질 내에서 증가하고 세포막 내에서 감소하였다. 이는 환자의 골격근 세포가 고농도의 세포외 칼륨에 의해 탈분극 되는 경우 재분극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KCNQ3 채널 단백질이 세포질 내로 이동하여 재분극 형성의 장애를 초래하고 이로 인해 근세포 활성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마비를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로 본 질환의 새로운 발병 기전을 설명할 수 있는 근거로 생각된다.

Current Trends and Recent Advances in Diagnosis, Therapy, and Preven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 Wang, Chun-Hsiang;Wey, Keh-Cherng;Mo, Lein-Ray;Chang, Kuo-Kwan;Lin, Ruey-Chang;Kuo, Jen-Ju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9호
    • /
    • pp.3595-3604
    • /
    • 2015
  •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has been one of the most fatal malignant tumors worldwide and its associated morbidity and mortality remain of significant concern. Based on in-depth reviews of serological diagnosis of HCC, in addition to AFP, there are other biomarkers: Lens culinaris agglutinin-reactive AFP (AFP-L3), descarboxyprothrombin (DCP), tyrosine kinase with Ig and eprdermal growth factor (EGF) homology domains 2 (TIE2)-espressing monocytes (TEMs), glypican-3 (GPC3), Golgi protein 73 (GP73), interleukin-6 (IL-6), and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SCCA) have been proposed as biomarkers for the early detection of HCC. The diagnosis of HCC is primarily based on noninvasive standard imaging methods, such as ultrasound (US), dynamic multiphasic multidetector-row CT (MD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ome experts advocate gadolinium diethyl-enetriamine pentaacetic acid (Gd-EOB-DTPA) MRI and contrast-enhanced US as the promising imaging madalities of choice. With regard to recent advancements in tissue markers, many cuting-edge technologies using genome-wide DNA microarrays, qRT-PCR, and proteomic and inmunostaining studies have been implemented in an attempt to identify markers for early diagnosis of HCC. Only less than half of HCC patients at initial diagnosis are at an early stage treatable with curative options: local ablation, surgical resection, or liver transplant.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is considered the standard of care with palliation for intermediate stage HCC. Recent innovative procedures using drug-eluting-beads and radioembolization using Yttrium-90 may exhibit beneficial effects in HCC treatment. During the past few years, several molecular targeted agents have been evaluated in clinical trials in advanced HCC. Sorafenib is currently the only approved systemic treatment for HCC. It has been approved for the therapy of asymptomatic HCC patients with well-preserved liver function who are not candidates for potentially curative treatments, such as surgical resection or liver transplantation. In the USA, Europe and particularly Japan, hepatitis C virus (HCV) related HCC accounts for most liver cancer, as compared with Asia-Pacific regions, where hepatitis B virus (HBV) may play a more important role in HCC development. HBV vaccination, while a vaccine is not yet available against HCV, has been recognized as a best primary prevention method for HBV-related HCC, although in patients already infected with HBV or HCV, secondary prevention with antiviral therapy is still a reasonable strategy. In addition to HBV and HCV, attention should be paid to other relevant HCC risk factors, includ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due to obesity and diabetes, heavy alcohol consumption, and prolonged aflatoxin exposure. Interestingly, coffee and vitamin K2 have been proven to provide protective effects against HCC. Regarding tertiary prevention of HCC recurrence after surgical resection, addition of antiviral treatment has proven to be a rational strategy.

CYP2D6 Genotype and Risk of Recurrence in Tamoxifen Treated Breast Cancer Patients

  • Yazdi, Mohammad Forat;Rafieian, Shiva;Gholi-Nataj, Mohsen;Sheikhha, Mohammad Hasan;Nazari, Tahereh;Neamatzadeh, Hosse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783-6787
    • /
    • 2015
  • Background: Despite consistent pharmacogenetic effects of CYP2D6 on tamoxifen exposure, there is considerable controversy regarding the validity of CYP2D6 as a predictor of tamoxifen outcome.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of evidence in this area and its limitations is important for the care of patients who require endocrine therapy for breast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1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received tamoxifen therapy for at least 3 years, were genotyped for common alleles of the CYP2D6 gene by nested-PCR an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 Patients were classified as extensive or poor metabolizers (PM) based on CYP2D6*4 alleles in 3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the menopause, Her2-neu status, and stage 3.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ith the disease recurrence was $50.8{\pm}6.4$ and in non recurrent patients was $48.2{\pm}6.8$. In this study 63.3% (n=64) patients were extensive metabolizers and 36.6% (n=37) were poor metabolizers. Sixty four of the 101 patients (63.3%) were Her2-neu positive. For tamoxifen-treated patien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ate of recurrence observed between CYP2D6 metabolic variants in stage 3 and post-menopausal patient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CYP2D6 genotype and recurrence in tamoxifen-treated Her2-neu positive patients. Compared with other women with breast cancer, those with Her2-neu positive breast cancer and extensive metabolizer alleles had a decreased likelihood of recurrence. Conclusions: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demonstrated significant effects of CYP2D6 extensive metabolizer alleles on risk of recurrence in Her2-neu positive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adjuvant tamoxifen therapy. Therefore, CYP2D6 metabolism, as measured by genetic variation, can be a predictor of breast cancer outcome in Her2-neu positive women receiving tamoxifen.

Risk of Breast Cancer among Young Women and Importance of Early Screening

  • Memon, Zahid Ali;Kanwal, Noureen;Sami, Munam;Larik, Parsa Azam;Farooq, Mohammad Za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7호
    • /
    • pp.7485-7489
    • /
    • 2015
  • Background: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 type of cancer in women throughout the world. However, in comparison with Western women, it presents relatively early in women of Asian ethnicity. Early menarche, late menopause, use of OCP's, family history of benign or malignant breast disease, exposure to radiation and BMI in the under-weight range are well known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breast cancer in premenopausal women. Early detection with the use of breast self-examination (BSE) and breast cancer screening programs can lead to a reduction in the mortality rates due to breast cancer. The aim of our study was to assess the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among young women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arly screening among them.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among women aged 18 to 25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ata was collected over a period of 6 months from June to December, 2014. A total of 300 young women selected randomly from Dow Medical College and various departments of Karachi University successfully completed the survey. Results: Respondents were 18-25 years of age (mean age=21.5). Out of the 300 young females, 90 (30%) had at least one risk factor, 90 (30%) had two, 40 (13%) had three, 8 (2.7%) had four, 2 (0.7%) had five while one female was found to have six positive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Some 66 women (22%) experienced symptoms of breast cancer such as non-cyclical pain and lumps. While 222 women (74%) had never performed breast self-examination, 22 (7.3%) had had a breast examination done by a health professional while 32 (10.7%) had participated in breast screening programs. A total of 223 (74.3%) women considered breast cancer screening important for young women. Conclusions: The percentage of young women with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was found to be alarmingly high. Therefore, screening for breast cancer should start at an early age especially in high risk groups. Awareness about breast self-examination should be emphasized. Moreover, screening programs should be started to ensure early detection and reduction of mortality rates caused by breast cancer also in young Pakistani fema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