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iplinary convergence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9초

전기방사법으로 제조한 PEI/PVdF 블렌드 웹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후처리 영향 (Effect of Post-Process on Physical Properties of Electrospun PEI/PVdF Blend Nonwoven Web)

  • 석훈;박철민;김동영;조성무
    • 폴리머
    • /
    • 제36권5호
    • /
    • pp.606-611
    • /
    • 2012
  • Polyetherimide(PEI)와 poly(vinylidene flouride)(PVdF) 폴리머들을 블렌딩하여 전기방사를 통해 웹을 제조하였다. 낮은 기계적 물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압착과 연신이라는 후처리 공정을 이용하였으며 후처리 공정이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SEM, 인장 시험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80^{\circ}C$의 압착 온도에서 1/2, 1/3, 1/4, 1/5의 비율로 압착된 웹들은 초기 상태에 비해 대략 4~5배 가량 인장 강도가 증가하였으며, 이들을 $220^{\circ}C$의 온도에서 30~40% 연신함으로써 2~8MPa의 추가적인 인장 강도 증대를 보였다.

인문학 전공자의 위기를 통한 융합교육의 방향성 고찰 (A Study on Direc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Majors)

  • 이재홍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07-216
    • /
    • 2015
  • 최근에 인문학의 위기와 함께 인문학 전공자들의 실업률이 상당히 높다는 통계가 서울노동권익센터와 고용노동부에서 발표되었다. 곧이어, 정부가 발표한 '인문계 전공자의 취업을 촉진시키는 방안'을 중심으로 인문 전공자 취업 정책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계기로 인문학적 상상력과 공학적 상상력의 융합으로 인한 부작용을 인식할 수 있었으며, 인문학도들의 취업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인문학적 융합 교육의 방향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문학은 거시적 인문융합보다는 미시적 인문융합에서 활발하게 통섭이 이루어져야 하며, 미시적 융합이 탄탄하게 통섭되어 스토리텔링의 완성도를 높였을 때, 비로소 거시적 융합의 효과는 극대화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인문학 전공자들의 실업률을 타개하기 위해 융합형 인재 양성이 시급하며, 학제간 융합시스템에 의한 프로젝트를 가동시키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라는 결과를 돌출시킬 수 있었다.

An Approximation Method in Collaborative Optimization for Engine Selection coupled with Propulsion Performance Prediction

  • Jang, Beom-Seon;Yang, Young-Soon;Suh, Jung-Chun
    • Journal of Ship and Ocean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41-60
    • /
    • 2004
  • Ship design process requires lots of complicated analyses for determining a large number of design variables. Due to its complexity, the process is divided into several tractable designs or analysis problems.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requires repetitive works. This paper employs collaborative optimization (CO), one of the multidisciplinary design optimization (MDO) techniques, for treating such complex relationship. CO guarantees disciplinary autonomy while maintaining interdisciplinary compatibility due to its bi-level optimization structure. However, the considerably increased computational time and the slow convergence have been reported as its drawbacks. This paper proposes the use of an approximation model in place of the disciplinary optimization in the system-level optimization. Neural network classification is employed as a classifier to determine whether a design point is feasible or not. Kriging is also combined with the classification to make up for the weakness that the classification cannot estimate the degree of infeasibility.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accuracy of a predicted optimum and reducing the required number of disciplinary optimizations, an approximation management framework is also employed in the system-level optimization.

연구집단 특성이 융합연구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D group effecting to convergence of R&D outputs: Advanced Research Center Projects)

  • 이봉재;박주형;이희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410-420
    • /
    • 2016
  • 최근 연구개발의 패러다임은 다학제간 융합연구를 지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융합연구 성과창출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집단의 주요 특성을 발굴하기 위해, 연구집단의 투입 특성(연구비, 참여연구원 수, 연구집단 운영기간), 학제 특성(다종성, 균형성, 이질성), 협력 특성(협력파트너 수, 연구집단 위치, 성별 균형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선도연구센터 사업의 104개 센터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융합연구 성과는 센터에서 창출한 5,217건의 SCI 눈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집단의 학제 특성인 학제간 균형성, 연구집단의 협력 특성인 협력파트너 수는 융합 연구성과와 정(+)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과학융합 분야와 이학공학 분야 등 통제변수로 도입한 연구집단의 연구분야는 융합연구 성과 창출을 달리하는 효과를 보였다. 융합연구는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인식해야 하며, 융합 연구성과 창출을 위해서는 연구집단 내 학제간 참여연구원의 구성 비율을 균형성 있게 구성하여 수평적인 협력 환경을 마련하고 연구집단 외부 연구주체들과 개방적 협력을 전략적으로 강화해야 할 것이다.

다학제간 융합 기반의 창의공학설계 수업모형 개발 (Development of Instruction Models for Creative Engineering Design on the Basis of Multi-Disciplinary Convergence)

  • 강안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118-1125
    • /
    • 2011
  • 본 논문은 공학인증 프로그램의 필수 과목인 창의공학설계 교과목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설계 수업 방안을 연구 하였다. 공과대학 학생들로 하여금 설계과제의 선호도와 문제점을 조사 하였고 이를 활용 하여 설계 과제 수업에서 구조물의 완성을 통한 창의력 증진 수업에 주력을 하였던 것을, 다학제간 융합에서 기계적 메커니즘의 결정체인 루브 골드버그(Rube-Goldberg) 창치를 활용한 '가장 간단한 작동을 가장 복잡한 기계 장치로 작동' 시키는 구조물의 완성을 통하여 기존의 설계과제를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새로운 설계 과정 교육 개발안을 제언하였다.

Quantitative Definitions of Collaborative Research Fields in Science and Engineering

  • Schwartz, Mathew;Park, Kwisun;Lee, Sung-Jong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5권3호
    • /
    • pp.251-274
    • /
    • 2016
  • Practical methodology for categorizing collaborative disciplines or research in a quantitative manner is presented by developing a Correlation Matrix of Major Disciplines (CMMD) using bibliometric data collected between 2009 and 2014. First, 21 major disciplin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are defined based on journal publication frequency. Second, major disciplines using a comparing discipline correlation matrix is created and correlation score using CMMD is calculated based on an analyzer function that is given to the matrix elements. Third, a correlation between the major disciplines and 14 research fields using CMMD is calculated for validation. Collaborative researche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partially accepting the definition of pluri-discipline from peer review manual, European Science Foundation, inner-discipline, inter-discipline and cross-discipline. Applying simple categorization criteria identifies three groups of collaborative research and also those results can be visualized. Overall, the proposed methodology supports the categorization for each research field.

이용자연구와 실용연구 분야의 학제적 융합 가능성 도출 연구 (Exploration on Possibility of the Disciplinary Convergence of the User Studies and the Research in Practice)

  • 이지연;감미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9-155
    • /
    • 2018
  • 본 연구는 실증적 데이터의 검토 및 분석을 통해 이용자연구와 실용연구 분야의 특징을 발견하고, 이용자연구와 실용연구 분야의 융합 가능성을 논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용자연구의 개척 및 확장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실용연구 분야 중 UX 연구를 선택하여 비교하였고, 이용자연구 영역과 UX 영역의 주제어 및 분야별 중복도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국내 이용자연구 3,370개 논문과 국내 UX 연구 2,413개 논문, 국외 이용자연구 3,875개 논문과 국외 UX 연구 2,515개 논문을 수집하였고, 단순 출현빈도를 포함한 계량정보학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맵핑 및 순위 선정, 시기별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의 이용자연구와 UX 연구 중복도는 국외보다 낮은 편이었고, 분야 간 협업의 활발성이 중복도와 연관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었다. 시기별 분석을 통해 이용자연구와 UX 연구간 중복되는 키워드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발견하였기에, 향후 이용자연구와 실용연구 분야 간의 융합이 활발히 일어날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Technological Convergence of IT and BT: Evidence from Patent Analysis

  • Geum, Young-Jung;Kim, Chul-Hyun;Lee, Sung-Joo;Kim, Moon-Soo
    • ETRI Journal
    • /
    • 제34권3호
    • /
    • pp.439-449
    • /
    • 2012
  • In recent innovation trends, one notable feature is the merging and overlapping of technologies: in other words, technological convergence. A key technological convergence is the fusion of biotechnology (BT) and information technology (IT). Major IT advances have led to innovative devices that allow us to advance BT. However, the lack of data on IT-BT convergence is a major impediment: relatively little research has analyzed the inter-disciplinary relationship of different industries. We propose a systematic approach to analyzing the technological convergence of BT and IT. Patent analysis, including citation and co-classification analyses, was adopted as a main method to measure the convergence intensity and coverage, and two portfolio matrices were developed to manage the technological convergence.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hat it provides practical evidences for IT-BT convergence, based on quantitative data and systematic processes. This ha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each sector of IT and BT.

A Competitive Perspective on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Education Programs in Premier Educational Institutions

  • Okkeun Lee;Hyunmin K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3호
    • /
    • pp.1-12
    • /
    • 2024
  • In the contemporary academic landscape, there is a notable shift from purely information-driven approaches to those emphasizing converge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 premier educational institutions. Through in-depth interviews, field visits, literature reviews, and case analyses, we analyzed representative interdisciplinary programs. Our findings reveal that successful interdisciplinary education requires: (1) broad disciplinary convergence, (2)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pecialized programs, (3) collaboration between faculty and practitioners from diverse academic backgrounds, (4) physical spaces that facilitate activ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nd (5) effective operation of workshops and systems that support students' creative ideas. These insights offer fundamental parameters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interdisciplinary education programs and serve as a crucial reference for future academic and pedagogical endeavors.

학제간 융합 연구기법을 적용한 배우 평가모델 개발 (Development of the Actors Evaluation Model Apply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 김정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18-25
    • /
    • 2015
  • 한류열풍이후 연기예술 분야가 산업화하면서 콘텐츠 투자의 안정화를 위한 배우경영의 과학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학제간 연구를 통해 융합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배우 평가모델을 마련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문헌고찰을 통해 배우평가 요소들을 엄선해 분류하고 델파이기법을 적용하여 전문가들이 컨센서스를 이룬 결과, 배우의 평가요소는 자질적 요소인 연기 및 소통 능력, 신체 조건과 이미지, 연기와 작품에 대한 적극성과 열정, 작품 및 제작환경에 대한 이해도, 배우철학과 자기관리의 안정성, 성과적 요소인 시청자와 관객 동원 능력, 스타덤, 팬덤, 작품 경력, 네트워크 등 10가지로 도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