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 diffusion test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3초

그대로 섭취하는 수산가공식품 중 조미건어포류에 대한 주요 식중독균류 분포(2009) (Bacterial Distributions of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cereus etc. Isolated from Dried Seasoned Marine Products in Garak Fishery Wholesale Market in Seoul, 2009)

  • 함희진;김수언;유승희;황영욱;최성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15
    • /
    • 2010
  • 2009년 4-7월 대형 수산물 도매 시장에서 구입한 조미 건어포류 210건 (오징어포류 157건, 쥐치포 23건, 명태포류 20건 등) 을 조사한 결과, 균종별로는, 대장균군 13.3%(28/210), 바실러스균 15.2%(32/210), 포도상구균 33.8%(71/210), 리스테리아균 5.2%(11/210), 그리고 장구균 4.7%(10/210) 등으로 각각 분리되었다. 대장균군의 경우 Escherichia coli 등 총 28주가 분리 되었고, 건오징어에서 22주로 가장 많았으며, 포도상구균의 경우 Staphylococcus xlosus 등 총 71주가 분리되었고, 건오징어에서 51주가 분리되어 가장 많았으며, 바실러스균의 경우, Bacillus cereus 19주 등 총 32주였고, 건오징어에서 21주로 가장 많았다. 한편, 리스테리아균은 Listeria grayi가 8주, 장구균의 경우는 Aerococcus viridons가 9주로 각각 분리되었다. 16종류의 항생제들에 대해 디스크 확산 법에 의한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9주의 E. coli에 대한 다제 내성 양상들은 NOR+LVX+CIP+SAM+VA+S+TE+CF, SAM+C+VA, VA+S+TE, 그리고 VA+S 등으로 나타났고, 21주의 Bacillus cereus에 대한 다제 내성 양상들은 AMC+SAM+CF, SAM+CF, 그리고 VA+CF 등으로 각각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AMC+SAM+CF가 9주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시판 조미 건어포류에서 다제 내성 균주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그 양상이 복잡해짐을 알 수 있었고, 이와 같은 항생제 다제 내성 균주들의 증가는 최근 수산 가두리양식장에서의 항생제 남용에 대한 가이드라인 설정과 이에 대한 국가적인 관리가 요구됨을 알 수 있다.

8종 root canal sealers의 경화 전, 후의 항균효과에 관한 연구 (Antimicrobial activity of eight root canal sealers before and after setting)

  • ;이우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2호
    • /
    • pp.207-211
    • /
    • 2002
  • 항균 활성도는 Root canal sealer가 갖추어야 할 필수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최근 임상술식에 사용되고 있는 8종의 root canal sealer의 근관내 혐기성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혼합직후의 경화되지 않은 sealer와 경화 7일 후 sealer의 항균효과도 비교하였다. 항균효과 측정을 위해 사용된 균주는 최근 실패한 근관치료 증례에서 배양되어 보고된 바 있는 Enterococcus faecalis와 근관내 주요 감염균인 그램음성 혐기성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를 대상으로 하였고, Agar diffusion test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2개의 paper disk에 신선하게 혼합한 각각의 sealer를 도포하여 한개의 disk는 즉시 실험에 사용하고 다른 한개의 disk는 일주일간 혐기성 배양기에서 경화시킨 다음 사용한다 각각의 균주를 Brucellar blood agar plate에 접종한 다음, sealer가 도포된 paper disk를 plate상에 올려놓는다. 대조군으로는 식염수에 침윤시킨 disc를 같은 방법으로 각 실험단계에 사용한다. 각 plate를 혐기성 배양기에서 48시간동안 배양한 뒤 실험에 사용한 sealer의 항균효과를 6mm paper-disk를 둘러싼 inhibition zone을 측정하여 평가한다. Fisher's PLSD분석방법 결과 E. faecalis에 대하여 경화 전과 후의 AH26모두 경화 전과 후의 Roth 801, Dentalis, Apexit, AH Plus, RSA그리고 경화 후의 MCS보다 유의성 있게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경화 후의 AH26은 경화 전의 AH 26, 경화 전의 Ketac Endo, 경화 전의 MCS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항균작용을 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p<0.05). 경화 후 Roth 801, 경화전과 후의 Dentalis, AH plus, Apexit, RSA는 E. faecalis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S. aureus에 대하여 경화후의 AH26이 경화 전과 후의 Roth 801, Apexit, AH Plus, RSA보다 유의성있는 항균효과를 보이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었고, 경화 전의 AH 26이 경화 후의 AH plus보다 나은 항균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 경화 전과 후의 Apexit, 경화 후의 AH Plus, 경화 전과 후의 RSA에서는 S. aureus에 대한 항균작용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 AH26이 가장 강한 항균 작용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각 sealer의 경화 전과 후의 항균효과는 AH26이 경화 전보다 경화 후에서 더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 이외에는 효과의 차이가 없었다.

Occurrence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fish bacteria isolated from Oreochromis niloticus (Nile tilapia) and Clarias gariepinus (African catfish) in Uganda

  • Wamala, S.P.;Mugimba, K.K.;Mutoloki, S.;Evensen, O.;Mdegela, R.;Byarugaba, D.K.;Sorum, H.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1권2호
    • /
    • pp.6.1-6.10
    • /
    • 2018
  • The intention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bacterial pathogens infecting Oreochromis niloticus (Nile tilapia) and Clarias gariepinus (African catfish), and to establish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fish bacteria in Uganda. A total of 288 fish samples from 40 fish farms (ponds, cages, and tanks) and 8 wild water sites were aseptically collected and bacteria isolated from the head kidney, liver, brain and spleen.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by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onventional biochemical tests and Analytical Profile Index test kits.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selected bacteria was determined by the Kirby-Bauer disc diffusion method. The following well-known fish pathogens were identified at a farm prevalence of; Aeromonas hydrophila (43.8%), Aeromonas sobria (20.8%), Edwardsiella tarda (8.3%), Flavobacterium spp. (4.2%) and Streptococcus spp. (6.3%). Other bacteria with varying significance as fish pathogens were also identified including Plesiomonas shigelloides (25.0%), Chryseobacterium indoligenes (12.5%), Pseudomonas fluorescens (10.4%), Pseudomonas aeruginosa (4.2%), Pseudomonas stutzeri (2.1%), Vibrio cholerae (10.4%), Proteus spp. (6.3%), Citrobacter spp. (4.2%), Klebsiella spp. (4.2%) Serratia marcescens (4.2%), Burkholderia cepacia (2.1%), Comamonas testosteroni (8.3%) and Ralstonia picketti (2.1%). Aeromonas spp., Edwardsiella tarda and Streptococcus spp. were commonly isolated from diseased fish. Aeromonas spp. (n = 82) and Plesiomonas shigelloides (n = 73) were evaluated for antibiotic susceptibility. All isolates tested were susceptible to at-least ten (10) of the fourteen antibiotics evaluated. High levels of resistance were however expressed by all isolates to penicillin, oxacillin and ampicillin. This observed resistance is most probably intrinsic to those bacteria, suggesting minimal levels of acquired antibiotic resistance in fish bacteria from the study area.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establish the occurrence of several bacteria species infecting fish; and to determine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fish bacteria in Uganda. The current study provides baseline information for future reference and fish disease management in the country.

생약재 추출물의 Staphylococcus aureus 와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Herbal Medicine Extracts on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 채화;최수임;이윤미;허태련
    • KSBB Journal
    • /
    • 제17권6호
    • /
    • pp.537-542
    • /
    • 2002
  • 50가지 생약재를 95% 에탄올과 물추출하여 식중독 세균인 S. aureus와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한천배지확산법에 따른 생육저해효과를 측한 결과, S. aureus 에 대하여 우슬>목단피>지실>황백, 건강, 민들레 순으로, E. coli O157:H7에 대하여 목단피>우슬>건강>지실, 황백 순으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MIC는 S. aureus에 대하여 우슬이 156.25 $\mu$g/mL, 목단피와 황백이 625 $\mu$g/mL로 나타났으며, E. coli O157:H7에 대하여 우슬과 목단피의 MIC는 각각 625, 312.5 $\mu$g/mL로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우슬과 목단피를 용매분획(hexane, CHC1$_3$, ethyl acetate, butanol)하여 한천배지 확산법에 의한 두 균에 대한 생장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우슬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목단피는 CHC1$_3$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각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애사과 추출물의 충치억제효과 (Anticariogenic Effects of Unripe Apple Extract)

  • 윤석영;김성훈;정해림;이정준;허철성;백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8-173
    • /
    • 2000
  • 애사과 polyphenol의 충치예방효과를 확인하고자, S. mutans 4 균주 가운데 GTase 활성이 가장 높은 S. mutans MT 8148 균주에 대하여 애사과 polyphenol의 GTase 활성억제효과, cell adherence 억제효과, 산 생성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S. mutans GTase에 대한 활성 억제효과는 애사과 polyphenol 성분 중 (+)-catechin과 tannic acid가 1 mg/ml의 농도에서 60% 이상, 5mg/ml의 농도에서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S. mutans의 adherence에 대해서는 tannic acid가 약 50% 정도의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애사과 추출물도 약 30%정도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S. mutans의 산 생성에 대해서는 애사과 polyphenol 성분들이 억제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사과 polyphenol 성분들의 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한 결과, 이들은 항균활성은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사과 polyphenol의 충치억제효과는 주성분중의 하나인 catechin과 tannic acid의 S. mutans GTase 활성억제와 cell adherence 억제효과로부터 기인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애사과 추출물은 충치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소재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니파팜, 몰로키아, 핑거루트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기능적 특성 분석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the Extracts from Nipa Palm, Molokhia, and Finger Root for Cosmetic Ingredients)

  • 전유진;이소현;허소정;진병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821-829
    • /
    • 2019
  • 본 연구는 니파팜(nipa palm), 몰로키아(molokhia) 및 핑거루트(finger root) 추출물들이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 활성원료로 적용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추출물들은 에탄올로 가열 환류, 여과, 농축 및 동결 건조 등의 공정을 통해 얻어졌다. 적분구가 장착된 UV-vis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추출물의 자외선 흡수 및 차단 효과를 살펴보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 실험을 통해, 추출물 간의 항산화 활성 및 그의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Folin-Ciocalteu시약을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황색포도상구균(그람양성)과 대장균(그람음성)에 대한 디스크 확산 시험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콜라게나아제 활성저해 분석시험을 통해 추출물의 주름방지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에서 니파팜 추출물은 항산화제 및 주름 방지제로, 핑거루트 추출물은 선 스크린제 및 항균제로 화장품에 사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유화제를 이용한 계육 표면에서 Campylobacter jejuni의 부착 제어 (Adhesion control of Campylobacter jejuni in chicken skin using emulsifiers)

  • 오도건;김광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670-67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세균성 식중독의 원인균인 C. jejuni의 주 감염원인 계육에 대하여, 식품공전에 등재된 식품첨가물 중 유화제를 이용하여 계육에서 C. jejuni의 부착을 제어 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8종의 유화제를 200 mg/mL의 농도에서 paper disc agar diffusion method로 C. jejuni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등 4종의 유화제에서 생육억제환을 생성하였다.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4종의 유화제를 25, 50, 100, 200 mg/mL의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농도가 작아질수록 생육억제환의 크기도 줄어들었으며, 유화제 중 L-1695 샘플이 200 mg/mL에서 가장 큰 생육억제환을 생성하였다. pH 및 열에 대해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4종의 유화제 모두 pH 및 열에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한 결과 다른 유화제 L-7D,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샘플과 비교하였을때 L-1695 샘플이 1.56 mg/mL에서 가장 좋은 최소저해농도를 나타냈다. 최소살균 효과는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4종의 유화제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접촉표면의 부착제어능력을 확인하기 위해서 stainless steel과 ceramic에서 실험한 결과, 두 접촉 표면 모두에서 L-1695 샘플 처리 시 가장 적은 생균수를 나타냈다. 앞선 실험의 종합적인 결과에 따라 L-1695 유화제를 최종적으로 선별하고, 계육 피부에 부착된 C. jejuni에 영향을 주는지 CLSM으로 분석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conventional spray 및 electrostatic spray를 처리하였을 때 모공에 부착된 균이 대다 수 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생균수를 확인해 본 결과 conventional spray와 electrostatic spray 처리 시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 결과들을 종합한 결과 C. jejuni KCTC 5327에 대하여 L-1695 유화제는 생육을 억제시키지만, 살균효과는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L-1695 유화제는 식품접촉표면에서 캠필로박터균의 부착을 저해하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계육 피부에 인위접종된 C. jejuni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볼 때, 실제 도계공정에서 세척수에 포함시켜 C. jejuni의 제어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북지역 송아지 설사 유래 병원성 대장균의 병원성 인자 및 다제 내성 패턴 (Virulence factors and multi-drug resistant patterns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isolates from diarrheic calves in Jeonbuk)

  • 곽길한;김선민;유영주;유정희;임미나;장유정;허진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71-281
    • /
    • 2021
  • Pathogenic Escherichia coli (E. coli) is one among the most important agents of diarrhea in calves. From January to December 2021, 108 isolates from feces of calves with diarrhea were investigated for enterotoxigenic E. coli (ETEC), enteropathogenic E. coli (EPEC), shiga toxin-producing E. coli (STEC), enteroaggregative E. coli (EAEC), and enteroinvasive E. coli (EIEC) using real-time PCR. In addition, the genes for F5, F17 and F41 fimbriae were detected by PCR.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pathotypes were EPEC/STEC (29 isolates), and ETEC/EPEC/STEC (29 isolates). ETEC/EPEC, and ETEC/STEC were also found in 10 isolates. EPEC, STEC, and ETEC were detected in 13, 11, and 6 respectively. EAEC, and EIEC was not detected. Antimicrobial resistance test was carried out by agar disc diffusion method with 14 antimicrobials. Among 108 pathogenic E. coli isolates, 107 isolates were resistant to at least one of 14 antibiotics used in this study, 99 (91.7%) were resistant to two or more antimicrobials, and a single remarkable isolate was resistant to 14 antimicrobials. The isolates were primarily resistant to penicillins, streptomycin, tetracycline, ceftiofur,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Kanamycin, and Ciprofloxacin. The high rate of resistance in pathogenic E. coli, sometimes to multiple drugs, may complicate future options for treating human infections. These results may bu used for diagnosis and therpeitic purposes in calves with diarrhea.

Detection of microbial organisms on Apis mellifera L. beehives in palm garden, Eastern Thailand

  • Sirikwan Dokuta;Sumed Yadoung;Peerapong Jeeno;Sayamon Hongjaisee;Phadungkiat Khamnoi;Khanchai Danmek;Jakkrawut Maitip;Bajaree Chuttong;Surat Hongsibs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8권1호
    • /
    • pp.17-23
    • /
    • 2024
  • Background: Honey bees play a crucial role in pollination and ecological balance. Apis mellifera L. colonies, especially those located in specific geographic regions, such as the palm garden in Eastern Thailand, are susceptible to potential threats from microbial contaminants. Understanding and detecting microbial organisms in these beehives is essential for the preservation of bee health, honey production, and the broader ecosystem. However, the problem of microbial infection and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is more severe and continuously increasing, resulting in a health, economic, and social cri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microorganisms in A. mellifera beehives in palm gardens in Rayong province, Eastern Thailand. Results: Ten swabs in transport media were swabbed and obtained from different parts of each beehive (1 swab per beehive), for a total of 10 hives. Traditional microbial culture-based methods, biochemical test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disc-diffusion) tests were used to detect microbial organisms and antibiotic resistance in bacteria. The swab tests from nine beehives resulted in the detection of Gram-positive bacteria (63.64%), Gram-negative bacteria (27.27%), and fungi/yeast (9.09%). These microorganisms are classified as a group of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spp. and made up 40.91% of the bacteria discovered. Other bacteria found were Coryneform bacteria (13.64%), Pantoea spp. (13.64%), Bacillus spp. (9.09%), yeast (9.09%), glucose non-fermentative Gram-negative bacilli (9.09%), and Pseudomonas spp. (4.55%). However, due to the traditional culture-based and 0biochemical tests usually used to identify the microbial organisms in clinical specimens and the limitation of identifying some environmental microbial species, the results of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cannot reveal if the organism is resistant or susceptible to the drug. Nevertheless, drug-sensitive inhibition zones were formed with each antibiotic agent. Conclusions: Overall, the study supports prevention, healthcare, and public health systems. The contamination of microorganisms in the beehives may affect the quality of honey and other bee products or even the health of the beekeeper. To avoid this kind of contamination,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wea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while harvesting honey and other bee products.

소아 침습성 폐구균 감염증의 역학적 특성과 임상 양상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Invasive Pneumococcal Infections in Children)

  • 송은경;이준호;김남희;이진아;김동호;박기원;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2권2호
    • /
    • pp.140-148
    • /
    • 2005
  • 목 적 : 폐구균은 소아에서 침습성 감염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균의 하나이나 국내에는 소아 침습성 감염 양상에 대한 연구가 극히 제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소아에서 발생한 침습성 폐구균 감염증의 역학적 특성, 임상 양상, 사망률 등을 파악하고, 침습성 폐구균 감염증을 일으킨 균의 혈청형 및 항생제 감수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85년 10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19년간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미생물학적으로 확인된 침습성 폐구균 감염증으로 진단받았던 16세 이하의 환자 19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분석하였다. 분리된 모든 균주에 대하여 oxacillin disc 확산법으로 페니실린 감수성을 검사하였고 125균주에서 혈청형을 결정하였다. 결 과 : 19년간 192명의 환아에서 194례의 침습성 폐구균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면역기능 저하가 동반되지 않은 환자가 43%, 기저질환에 의한 면역 기능 저하가 동반된 환자가 57%였고, 20%가 병원 감염이었다. 면역 기능이 정상인 환자에서 균혈증이 27%, 수막염이 39%, 균혈증 또는 농흉이 동반된 폐렴이 26%, 봉와직염 등 연조직 감염이 4%, 골 및 관절의 감염이 4%였으며, 연령별로는 2세 이하가 60%, 2세에서 5세 이하가 27%, 5세 이상이 13%를 차지하였다. 기저 질환에 의한 면역 저하가 동반된 환자에서는 균혈증이 55%, 뇌수막염이 3%, 균혈증 또는 농흉이 동반된 폐렴이 16%, 복막염이 22%, 봉와직염 등 연조직 감염이 3%, 골 및 관절의 감염이 1%였으며, 연령별로는 2세 이하가 25%, 2세에서 5세 이하가 23%, 5세 이상이 52%를 차지하였다. 125균주의 혈청형을 분석하였고 이중 23F, 19F, 14, 6B, 6A, 9V, 19A형이 73%를 차지하였다. 사망률은 7%이었으며, 이중 면역저하가 동반된 경우가 62%였다. 전체적으로 페니실린 내성률은 65%였다. 결 론 : 폐구균은 소아에서 다양한 종류의 침습성 감염을 일으키며, 주로 봄에 많이 발생하였고, 면역 기능이 정상인 소아에서는 주로 5세 이하에서 발생하나 면역 기능 저하 환자에서는 연장아에서도 흔히 발생하였다. 7가 단백 결합백신에 포함된 혈청형은 66%(교차반응 포함 시 79%)였고, 최근 수년 사이에 페니실린 내성균주의 빈도는 90% 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