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phenylamin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6초

Diphenylamine에 의해 표면개질된 역삼투막의 내염소성 및 내오염성 향상 (Surface Modification of Reverse Osmosis Membrane with Diphenylamine for Improved Chlorine and Fouling Resistance)

  • 권세이;지기용;이용택
    • 멤브레인
    • /
    • 제23권6호
    • /
    • pp.439-449
    • /
    • 2013
  • 본 연구는 상용화된 방향족 폴리아미드 역삼투막에 diphenylamine (DPA)을 표면개질 시킴으로써 내염소성과 내오염성이 향상된 역삼투 복합막을 제조하고 최적화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역삼투막의 내염소성과 내오염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반응성이 뛰어난 아민(amine)기를 가지고 있고 열적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난 페닐기 2개가 있는 DPA를 사용하였고, 개질 온도와 시약 농도를 변화시켜가며 개질 조건을 최적화시켰다. XPS, AFM 그리고 contact angle을 이용하여 역삼투막의 표면 개질을 통한 표면 특성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역삼투막의 투과성능 평가 결과 역삼투막의 내염소성과 내오염성이 향상된 역삼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마늘 저장 중 부패병 방제를 위하여 처리한 농약의 경시적 농약 잔류량 평가 (Safety Assesment of Pesticides Treated on Garlic to Control Black Rot during the Storage)

  • 유오종;진용덕;황세구;이용훈;임양빈;김진배;권오경;경기성;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48-158
    • /
    • 2009
  • 마늘 저장 중 발생하는 부패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처리한 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침지와 경엽살포 및 관주처리 방법으로 농약을 처리한 후 경시적으로 마늘 중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부패병 방제를 위하여 시험농약인 diphenylamine, prochloraz, tebuconazole 및 dimethoate를 침지, 경엽살포 및 관주 처리한 후 6개월까지 저장하면서 매월 1회 잔류분석을 수행하였다. 잔류시험 결과 침지는 1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였고, 관주처리에서는 주당 50 mL를 처리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단양재래종, 의성재래종 및 남도종을 6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경시적 농약잔류량을 분석한 결과 단양재래종 마늘 중 잔류량은 diphenylamine 0.008~0.28 mg/kg, tebuconazole 0.03~0.32 mg/kg, prochloraz가 0.02~0.12 mg/kg 그리고 dimethoate가 0.02~0.25 mg/kg이었다. 의성재래종 마늘 중 잔류량은 diphenylamine이 0.008~0.09 mg/kg, tebuconazole이 0.08~0.45 mg/kg, prochloraz가 0.02~0.57 mg/kg 그리고 dimethoate가 0.04~0.38 mg/kg이었다. 또한 남도종 마늘 중 잔류량은 diphenylamine이 0.008~0.52 mg/kg, tebuconazole이 0.07~1.67 mg/kg, prochloraz가 0.02~0.17 mg/kg 그리고 dimethoate가 0.03~0.73 mg/kg이었다. 검출된 농약 중 tebuconazole은 잔류허용기준(MRL)인 0.1 mg/kg을 초과하였으나, dimethoate의 경우 모든 시료에서 MRL인 1.0 mg/kg 미만으로 검출되었으며, diphenylamine과 prochloraz는 MRL이 설정되지 않아 추가적인 안전성 평가가 필요하였다.

Synthesis and Chiro-Optical Properties of Water Processable Conducting Poly(diphenylamine) Nanocomposites

  • Showkat, Ali Md;Lee, Kwang-Pill;Gopalan, Anantha Iyengar;Kim, Sang-H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5권6호
    • /
    • pp.575-580
    • /
    • 2007
  • Water-soluble, chiral conducting, poly(diphenylamine) (PDPA) nanocomposites were synthesized by chemical oxidative polymerization of diphenylamine in the presence of poly(acrylic acid) (PAA) as a template and camphor sulphonic acid (CSA) as the chiral inductor, Composites were formed as stable aqueous dispersions under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s, such as DPA to PAA molar ratios, PAA molecular weight, etc. Circular dichroism(CD) spectra of the composites indicated the induction of chirality to PDPA. Compared to simple chiral PANI, the PDPA/PAA/CSA nanocomposites showed a different Cotton effect. The appearance of a CD band in the composite was complimentary to the bisignate, exciton-coupled band in the UV-Visible spectrum. FTIR spectra indicated the intimate mixing of PDPA and PAA.

마늘 저장 중 마름썩음병과 푸른곰팡이병 억제를 위한 농약의 살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pesticides to control dry rot and blue mold during garlic storage)

  • 유오종;이용훈;진용덕;김진배;황세구;한상현;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31-338
    • /
    • 2007
  • 마늘 저장중의 부패를 일으키는 주요 진균인 푸른곰팡이병균(Penicillium hirsutum)과 마름썩음병균(Fusarium oxysporum)의 생장을 억제하는 농약을 선발하고자 살균제 11종을 선정하여 균사생육억제시험과 접종시험을 수행하였다. 균사생육억제 정도와 마늘인편에서의 발병 억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험약제를 처리한 후 병원균을 접종하여 병 발생정도를 조사한 결과, F. oxysporium에 대하여는 diphenylamine, prochloraz와 tebuconazole을 처리한 구에서는 초기에 발병이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기준량 처리시 접종 5일후 부터 병 발생이 시작되어 11일 후에는 $73.3{\sim}100%$ 발생하였다. P. hirsutum의 경우 cyprodinil, prochloraz 및 pyrimethanil을 기준농도 처리한 구에서 접종 5일 후부터 발병하였으며, diphenylamine, penconazole 및 propiconazole 처리구에서는 7일 후부터 발병하여 11일 후에는 $20{\sim}100%$ 정도 발생되었으나 tebuconazole 처리구에서는 병 발생이 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diphenylamins, prochloraz와 tebuconazole 이 마름썩음병 및 푸른곰팡이병의 방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약제별 방제가와 균총의 생육억제에 대한 상관분석결과, F. oxysporum에 대하여는 diphenylamine과 prochloraz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P. hirsutum에 대하여는 cyprodinil, prochloraz와 pyrimethanil이 높은 상관관계를 유지하였다.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Nitrite Based on Its Reaction with p-Nitroaniline in the Presence of Diphenylamine in Micellar Media

  • Afkhami, Abbas;Masahi, Shokofeh;Bahram, Morteza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5권7호
    • /
    • pp.1009-1011
    • /
    • 2004
  • In the present work a very simple, sensitive and selective spectrophoto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nitrite in micellar media is described. The method is based on the color reaction of nitrite with p-nitroaniline in the presence of diphenylamine in acid media. In order to remove the extraction step, Triton X-100, a non-ionic surfactant was used as micellar media. The optimum reaction conditions such as acid concentration, reagents concentration and effect of time have been studied and the analytical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 such as limit of detection, linear range and molar absorptivity have been obtained. The interference of some anions and cations was also tested. The method was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nitrite in real samples.

Self-assembly directed synthesis of tubular conducting polymer inside the channels of MCM-41

  • Showkat, Ali Md.;Lee, Kwang-Pill;Gopalan, Anantha Iyengar;Reddy, K. Raghava;Kim, Sang-Ho;Choi, Seong-Ho
    • 분석과학
    • /
    • 제19권3호
    • /
    • pp.211-217
    • /
    • 2006
  • Diphenyl amine (DPA) was polymerized inside the channels of the mesoporous silica (MCM-41). MCM-41 (C) and MCM-41 (D) were prepared with 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 (CTAB) and dodecyltrimethyl ammonium bromide (DTAB), respectively and used as hosts. Initially, the self assembly of DPA inside the pores of MCM-41 was made in ${\beta}$-naphthalene sulfonic acid (NSA) medium and subsequently poly (diphenylamine), PDPA was formed by oxidative polymerization. $N_2$ adsorption-desorption measurements of PDPA loaded MCM-41 (C) and MCM-41 (D) show variations in pore volume and surface area between them. A tubular form of poly (diphenylamine), PDPA was envisaged to form in the pores of MCM-41 and supported by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microscopy. The presence of PDPA inside the channel of MCM-41 was further confirmed by FTIR spectroscopy,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X-ray diffraction.

Preparation of 3,4-Ethylenedioxythiophene (EDOT) and N-4-butylphenyl-N,N-diphenylamine (BTPA) Copolymer Having Hole Transport Ability

  • Sim, Jae-Ho;Sato, Hisaya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7권9호
    • /
    • pp.714-717
    • /
    • 2009
  • Hole transport copolymers consisting of 3,4-ethylenedioxythiophene (EDOT) and N-4-butylphenyl-N,N-diphenylamine (BTPA) were synthesized by oxidative coupling reaction using $FeCl_3$ as an oxidant. These copolymers showed good solubility and their thin films showed sufficient morphological stability. The copolymers showed an absorption maximum around 320 nm. Copolymers had an oxidation peak at approximately $1.03{\sim}1.14V$ versus the Ag/AgCl electrode. The hole mobil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portion of the EDOT unit. The hole mobility of the copolymer containing 57% of the EDOT unit showed the highest mobility of $3{\times}10^{-5}cm^2/V{\cdot}s$.

아민과 有機할로겐 化合物間의 Charge Transfer Complex 形成에 關한 硏究 (II) Electron Acceptor 에 따른 Charge Transfer Complex 形成能에 關한 硏究 (Charge-Transfer Complex Formation of Amines with Organic Halides (II) Complex Forming Tendency by Various Electron Acceptors)

  • 김유선;오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26-131
    • /
    • 1967
  • 各 種 아민(triethylamine, diethylamine, pyridine, diphenylamine, dimethylaniline)과 各種 Electron Acceptor($CCl_4,\;ICl,\;I_2$)를 Hexane 溶媒 存在下에서 作用시킨 結果 各各 Charge Transfer Complex를 形成하였으나 그 形成能은 아민의 Basicity에 比例하였고 Electron Donor의 Polarity의 差가 클 때에는 다른 形式의 Complex를 形成함을 紫外線 吸收 分光法으로 確認하였다. Complex 形成能과 아민의 Basicity 및 Electron Acceptor의 Polarity의 關係를 論하였다.

  • PDF

유기티탄 화학 (제3보). 사염화티탄과 피페리딘 및 디페닐아민과의 반응 (Organotitanium Chemistry (Ⅲ). The Reactions of Titanium Tetrachloride with Piperidine and Diphenylamine)

  • 어용선;이후성;손연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08-414
    • /
    • 1974
  • 사염화티탄과 피페리딘 및 디페닐아민의 반응을 반응생성물들을 분리하여 규명함으로써 설명하였다. 사염화티탄과 피페리딘은 부가반응과 치환반응이 다음과 같이 동시에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TiCl_4+C_5H_{10}NH{\to}TiCl_4{\cdot}C_5H_{10}NH$$TiCl_4+C_5H_{10}{\to}TiCl_3{\cdot}NC_5H_{10}+HCl$부가반응은 비교적 빨리 일어나며 수분내에 반응이 완결되는데 비하여 치환반응은 매우 느리게 일어난다. 위의 두 반응생성물을 모두 분리하여 화학분석결과와 핵자기공명 및 적외선 스펙트럼을 고찰 함으로써 완전히 규명하였다. 이들 반응생성물에는 모두 피페리딘의 염화수소염이 공침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디페닐아민의 경우, 위의 반응과 아주 비슷하게 일어나지만 부가반응 생성물은 순수하게 얻을 수 있었다.

  • PDF

Ionic 또는 Nonionic Side Group을 갖는 Polyaniline Suspension의 전기유변특성 (Electro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spensions composed of Polyaniline Derivatives with Ionic or Nonionic Side Groups)

  • 조민성;김지우;장원휴;서문석;신민재;최형진
    • 유변학
    • /
    • 제11권2호
    • /
    • pp.91-96
    • /
    • 1999
  • 반전도성 polyaniline의 유도체들로서 poly(aniline-co-sodium diphenylamine sulfonate), poly(aniline-co-o-ethoxyaniline), poly(o-methylaniline), poly(o-methoxyaniline)를 중합하여 전기유변유체의 입자로 사용하였다. 각 분산액은 전기장하에서 전형적인 전기유변특성을 나타냈으나, 낮은 전단변형률에서의 stress plateau 영역에서 입자의 종류에 따라 다른 흐름특성을 얻었다. 전기유변유체의 전기장에 따른 flow curve 변화와. dynamic yield stress와 전기장 간의 관계로부터 접근한 scaling law를 이용하여 각 전기유변유체의 universal flow curve를 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