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ferential permeability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초

가역투자율 측정에 의한 터빈로터강의 비파괴적 잔여수명 평가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Remanent Life of Turbine Rotor Steel by Measuring Reversible Magnetic Permeability)

  • 유권상;남승훈;김용일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15-321
    • /
    • 2003
  • 고온, 고압에서 운용되고 있는 설비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사용시간 동안 열화된 물성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설비의 잔여수명을 평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류 섭동 자기장을 인가하여 구한 가역투자율 값을 이용하여 1Cr-1Mo-0.25V 강의 잔여수명을 평가하기 위한 자기적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자기이력곡선의 미분값인 가역투자율이 보자력에서 첨두 값을 갖는 특성을 이용하였으며, 측정원리는 교류 섭동 자기장의 주파수에 동조된 록-인 증폭기를 사용하여 탐지코일에 유도된 제 1 고조파의 전압을 측정하는 것이다. 가역투자율의 첨두값 간격 (peak interval of reversible magnetic permeability: PIRMP)과 비커스 경도는 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커스 경도와 PIRMP상관관계에 의해 연화곡선을 구할 수 있고, 이 연화곡선에 의해 터빈로터 강의 잔여수명을 평가할 수 있다.

다공질매체내의 유체유동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quid Flow Characteristics in Layer Porous Media)

  • 이충구;황춘복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243-248
    • /
    • 1993
  • In this research, unsteady groundwater flow in unconfined and homogeneous three layer aquifers is studied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Numerical solutions are obtained by Runge Kutta and Runge Kutta Gill method after transforming the governing nonlinea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to nonlinear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Experimental apparatus includes a test section filled with fine, medium and coarse sands. Experimental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numerical solutions and both experimental and numerical results correspond well with each other. This numerical approach may be also applied to the cases which have more aquifers.

  • PDF

부등침하 발생 시 SRSL이 적용된 매립지 최종복토층의 침하 특성 검토 (Investigation on Differential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the Final Landfill Cover Used SRSL)

  • 권오정;오명학;조완제;박준범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9-17
    • /
    • 2009
  • 본 연구는 폐기물 매립지에서 폐기물의 분해 등으로 인해 부등침하가 발생할 경우 SRSL(Self Recovering Sustainable Liner)를 활용한 매립지 최종복토층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LAC(Fast Lagrangian Analysis of Continua) 2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폐기물 분해 양상을 빈칸(blank)으로 설정한 후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기본 물성치시험 및 문헌조사 등을 통해 각 층에 대한 구성성분의 변수를 산정하였다. 이전 현장투수시험 등을 통해 얻어진 파괴 시 안전균열폭(6mm)을 바탕으로 부등침하 발생 시 부등침하의 폭, 깊이, 개수별 매립지 최종복토층의 침하량을 산정하여 부등침하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해석결과, 깊이에 따른 영향은 없으며, 침하갯수가 증가할수록 오히려 매립지 최종복토층에 인장력을 발휘하여 안정성 확보를 유리하게 하며, 부등침하의 폭이 전체길이에 24.5% 이내일 경우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상전이법을 이용한 기체 분리용 Hydroxy Polyimide 막의 제조 (Preparation of Hydroxy Polyimde Membranes for Gas Separation by Phase Inversion Method)

  • 우승문;최종진;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22권1호
    • /
    • pp.62-7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고투과성을 가지는 기체분리막 제조를 위해 6FDA와 APAF를 이용하여 하이드록시 폴리이미드를 합성하였다. H-NMR과 FT-IR 분석을 통해서 HPI의 합성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열적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와 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를 측정하였다. 특히 합성된 HPI는 약 $450^{\circ}C$에서 polybenzoxazole (PBO)로 변환이 됨을 확인 가능하였다. 고투과성 고분자 분리막의 제조를 위해 고분자, 용매 그리고 비용매-첨가제를 포함하는 3성분계의 시스템을 도입하였으며, 상전이법을 이용하여 HPI 비대칭 평막을 제조하였다. 최종적으로 각성분들에 따른 모폴로지 변화를 전계방출주사현미경(FE-SEM)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연약지반의 침하특성을 고려한 샌드매트의 실용적 설계를 위한 고찰 (Practical Design of the Sandmat Considering Consolidation Settlement Properties)

  • 이봉직;권영철;이종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5호
    • /
    • pp.31-38
    • /
    • 2007
  • 현재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샌드매트의 설계법에서는 주로 수평배수층의 배수거리, 침하속도, 투수성 등을 설계 인자로 사용하고 있으며, 현장 시공 시에는 성토체 하부에 동일한 두께로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하부 연약지반의 변형에 따라 성토 중앙부와 양단에서 부등침하가 발생하게 되어 샌드매트 두께산정에 있어 과소평가될 가능성과 배수지연을 유발할 우려가 있음이 지적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의 변형으로 인해 생기는 부등침하의 발생이 배수지연 및 샌드매트의 두께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여부를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해석 결과 부등침하로 인하여 실질 유로두께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새로운 위치수두의 차가 발생하여 배수지연 현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전에 부등침하를 예측하여 성토 중앙부의 샌드매트 두께를 증가시킨 마운드형 샌드매트의 적용성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압밀의 진행에 따라 변형이 크게 발생하여도 소정의 실질 유로두께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마운드형 샌드매트는 연약지반 성토와 같이 변형의 분포가 위치에 따라 다른 경우의 건설공사에 매우 유효하리라 판단하며,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수평배수재로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마운드형 샌드매트의 설계를 위해서는 성토단계별로 압밀속도, 배수거리나 투수성뿐만 아니라 연약지반의 침하특성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사료된다.

  • PDF

OBIGGS용 공중합체 폴리이미드를 이용한 기체분리막의 투과 특성평가 (Characterization of Gas Permeation Properties of Polyimide Copolymer Membranes for OBIGGS)

  • 이정무;이명건;김득주;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24권4호
    • /
    • pp.325-331
    • /
    • 2014
  • 새로운 구조를 가진 폴리이미드를 이용하여 고투과, 고선택성 불활성기체충진장치용 기체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높은 기체투과도와 용해도를 나타내는 무수물인 2,2-bis(3,4-carboxylphenyl) hexafluoropropane와 두 종류의 아민을 사용하여 신규 폴리이미드를 합성하였다. 투과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2,3,5,6-Tetramethyl-1,4-phenylenediamine를 사용하였고, 선택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종류의 아민을 사용하였다. 화학적 이미드화 방법으로 공중합체를 준비되었으며 100,000 g/mol 이상의 평균 분자량을 나타내었다. 합성된 고분자의 열적 특성을 분석을 하기 위해 유리전이 온도($T_g$)와 열적 특성은 시차주사열량계(DSC)와 열중량분석기(TGA)로 측정을 하였으며, 유리전이온도($T_g$)는 $300^{\circ}C$, 열분해 온도는 $500^{\circ}C$가 넘어 뛰어난 열적 특성을 보였다. 기체투과도 특성은 time-lag 장비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일반 폴리이미드의 경우 대부분 기체투과도가 1 barrer 이하의 수치를 보이지만, 합성된 고분자의 경우 산소투과도 36.21 barrer과 산소/질소 선택도의 경우 4.1로 고투과 고선택도를 나타내어 불활성기체 충진장치용 장치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Differential Inhibition of $MPP^+$- or 6-Hydroxydopamine-induced Cell Viability Loss in PC12 Cells by Trifluoperazine and W-7

  • Lee, Chung-S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9권4호
    • /
    • pp.247-253
    • /
    • 2005
  •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effect of calmodulin antagonists trifluoperazine and W-7 against the cytotoxicity of $MPP^+$ and 6-bydroxydoparnine (6-OHDA) in relation to the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cell death in PC12 cells. Trifluoperazine (an inhibitor of the mitochondrial permeability transition and calmodulin antagonist) and W-7 (a specific calmodulin antagonist)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MPP^+-induced$ cell viability loss in PC12 cells with a maximum inhibition at $0.5{\sim}1{\mu}M$; beyond these concentrations the inhibitory effect declined. Both compounds at this concentration range did not cause cell death significantly. In contrast to $MPP^+$, the trifluoperazine and W-7 did not depress the cytotoxic effect of 6-OHDA. Addition of trifluoperazine and W-7 inhibited the cytosolic accumulation of cytochrome c and caspase-3 activation in PC12 cells treated with $MPP^+$ and attenuated the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the depletion of GSH, whereas both compounds did not reduce the effect of 6-OHDA. The results show that trifluoperazine and W-7 may attenuate the cytotoxicity of $MPP^+$ by inhibition of the mitochondrial permeability transition and calmodulin. Meanwhile, the cytotoxic effect of 6-OHDA seems to be mediated by the actions, which are different from $MPP^+$.

변성 셀룰로오즈 막내의 물의 상태 (The State of Water in Modified Cellulose Membranes)

  • 이순홍;이영무;김진일;김재진
    • 공업화학
    • /
    • 제4권1호
    • /
    • pp.125-131
    • /
    • 1993
  • 두 종류의 변성 셀룰로오즈 막내의 물의 상태를 시차열분석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셀룰로오즈막들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CMC)-젤라틴 고분자전해질 복합체막과 아크릴산 가교 메틸셀룰로오즈(MC)전해질막이다. 동결수(자유수)와 비동결수(결합수) 양을 측정하여서 막을 통한 용질들의 투과도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막내의 물의 상태는 막의 조성, 모폴로지, 그리고 수화도의 영향을 받는 것을 알았다. 수화된 막들을 통한 확산 투과도의 차이를 자유수와 결합수의 차이로 설명하였다.

  • PDF

Transport Properties of Polymer Blend Membranes of Sulfonated and Nonsulfonated Polysulfone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Application

  • Kim, Dong-Hwee;Kim, Sung-Chul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6권5호
    • /
    • pp.457-466
    • /
    • 2008
  • The relation between the phase separated morphologies and their transport properties in the polymer blend membrane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application was studied. In order to enhance the proton conductivity and reduce the methanol crossover,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 copolymer, with a sulfonation of 60 mol% (sPAES-60), was blended with nonsulfonated poly(ether sulfone) copolymer (RH-2000, Solvay). Various morphologies were obtained by varying the drying condi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casting solution (10, 15, 20 wt%). The transport properties of proton and methanol molecule through the polymer blend membranes were studied according to the absorbed water. AC impedance spectroscopy was used to measure the proton conductivity and a liquid permeability measuring instrument was designed to measure the methanol permeability. The state of water in the blend membranes was confirm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and was used to correlate the morphology of the membrane with the membrane transport properties.

Effect of Ca and Al Additions on the Magnetic Properties of Nanocrytalline Fe-Si-B-Nb-Cu Alloy Powder Cores

  • Moon, Sun Gyu;Kim, Ji Seung;Sohn, Keun Yong;Park, Won-Wook
    • Journal of Magnetics
    • /
    • 제21권2호
    • /
    • pp.192-196
    • /
    • 2016
  • The Fe-Si-B-Nb-Cu alloys containing Ca and Al were rapidly solidified to thin ribbons by melt-spinning. The ribbons were ball-milled to make powders, and then mixed with 1 wt.% water glass and 1.5 wt.% lubricant. The mixed powders were burn-off, and then compacted to form toroidal-shaped cores, which were heat treated to crystallize the nano-grain structure and to remove residual stress of materi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wder cores were analyzed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a B-H meter. The microstructures were observed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The optimized soft magnetic properties (${\mu}_i$ and $P_{cv}$) of the powder cores were obtained from the Ca and Al containing alloys after annealing at $530^{\circ}C$ for 1 h. The core loss of Fe-Si-B-Nb-Cu-based powder cores was reduced by the addition of Ca element, and the initial permeability increased due to the addition of Al el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