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life education

검색결과 723건 처리시간 0.03초

식생활과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utilizing Dietary Life)

  • 정선영;이성희;김기대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5권2호
    • /
    • pp.195-20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utilizing dietary life. On this study, the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upon dietary life were implemented to the third graders to see how they affects their environmental literacy and specific aims of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irst of all, we should start by outl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ur environment and our diet. We can use the resulting outline to develop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our diet.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environmental recognition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test group. Thirdly, the environment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dietary life could enhance knowledges, emotions and activities about environment. As a conclusi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could confirm its value a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in this study, and it could bring out positive influence on environmental literacy of third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 PDF

초등학교 식생활교육에서 지속가능 식생활 역량 함양을 위한 포용적 식생활교육의 방향 (Developing Inclusive Nutrition Education Direction for Sustainable Dietary Competency in Elementary Schools)

  • 김현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3-88
    • /
    • 2023
  • 우리나라 식생활교육은 2009년 식생활교육지원법이 제정되면서 건강, 환경, 배려를 핵심 가치로 삼아 변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제3차 식생활교육 기본 계획(2020년-2024년)에서는 지속가능한 식생활로 함께 하는 농업, 건강한 국민, 포용하는 사회 실현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 문명은 학교 식생활교육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교 식생활교육에서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내용을 살펴보고,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교육의 디지털 전환에 직면한 식생활교육 현상을 진단하고, 지속가능한 식생활 역량 함양을 위하여 포용적 식생활교육 구조와 내용 체계의 구체성을 통해 포용적 식생활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포용적 식생활교육을 위해서는 인지적 학습, 정의적 학습, 실천적 학습이 포용적 방식으로 융합될 수 있는 구조와 체계가 필요하며,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핵심 역량 함양에 중점을 두는 포용적 식생활교육의 방향에서 그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의 식습관과 교사의 식생활교육 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춘천지역 일부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etary Habits of 5th & 6th Grade Students and the Dietary Life Education by Teachers - Focused on the Elementary Schools in Chuncheon Area -)

  • 정경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6-28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춘천 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식습관 및 영양지식 정도를 조사하고, 같은 초등학교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식생활교육 실태 및 인식 정도를 조사하였다. 아침과 저녁 식사를 매일 먹는다고 응답한 학생들은 각각 54.1%와 80.3%였으며, '빵 및 과자류'(42.6%)와 '과일이나 주스'(39.3%)를 간식으로 주로 섭취하였다. 학생들의 57.4%만이 균형 잡힌 식사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영양지식 측정에서 정답율은 59%, 식태도 측정에서 좋은 식태도를 보인 학생은 75%에 불과하였다. 교사들의 78%가 식생활 교육 경험이 있었으며, 교과 수업시간(38.9%)과 학교 급식 시간(35.2%)에 주로 식생활교육을 하였다. 교사들이 인식하는 초등학생들의 식생활 문제는 잘못된 식습관(37.7%)과 가공식품 및 인스턴트식품의 잦은 섭취(36.2%)였다. 교사들은 식생활교육이 필요하며(79.7%) 더 일찍 실시되어야 한다(87.0%)고 응답하였다. 한편 학교에서의 식생활교육의 주요 담당자에 대한 질문에는 영양교사(49.3%), 담임교사(34.8%)라고 응답하였고, 40세 이상의 교사들은 학교에서의 식생활교육의 주요 담당자로 교사인 본인 보다는 영양교사나 학부모의 역할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교과지도 뿐만 아니라 생활지도 측면에서 식생활 교육을 행하는데 있어서 적임자는 담임교사이므로 초등학교에서의 식생활 교육의 특성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울산지역 주부의 녹색식생활지침에 대한 인식 및 실천 (Perceptions and Practices for Core Action Message on Green Dietary Life: The Case of Homemakers in Ulsan, Korea)

  • 하태정;박동연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33-548
    • /
    • 2014
  • The Ministry for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developed a program called "Core Action Massages for Green Dietary Life"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nergy consumption and improve health. This study examines the degree of perceptions and practices with respect to these massages by considering a sample of 245 homemakers in Ulsan, Kore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Core Action Massage and its three parts of detailed massages: , , . The data were analyzed with cross tabulation analysis, Tukey analysis after ANOVA. The score of agreement to Core Action Massage was 4.57(range 1-5). The score of perception abou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p<0.01) and income(p<0.05). The score of perception about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p<0.05). The score of practic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0.001), education(0.01), housing style(p<0.01), and region(0.01). The score of practic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p<0.001), education(0.05), and region(0.05). The frequency of practices for was low. As to the results of the study, education on green dietary life must be provided to homemakers, especially young homemakers. Opportunities to experience of farming to appreciate others' efforts to obtain food should also be provided.

미취학아동 대상 영양·식생활교육의 효과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Nutrition & Dietary Life Education for Preschoolers)

  • 김송희;김애정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6권2호
    • /
    • pp.153-17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jectively quantify the effects of nutrition and dietary life education on preschoolers through meta-analysis. In addition, it provides basic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nutrition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systematic nutrition and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s. In this study, a meta-analysis of 27 papers was conducted that conformed to the selection criteria in the study conducted from January 2012 to August 2019 to derive objective data on the effects of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overall effective size of nutrition and dietary life education for preschoolers was 0.829, which indicates a strong effect. According to the education method, the effect size of general education was 0.562, which indicates a medium effect size, the vegetable playing-based experience education was 0.685, which indicates a medium effect size, and cooking activity-based experience education was 1.101, which indicates a large effect size. Judging from this result, experience activity educ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general nutrition education. In addition, the combined size of convergence education conducted through a combination of general and experience educa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at 1.301. In terms of educational effect,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size was 0.898 for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0.858 for improving dietary habits, 0.836 for improving unbalanced diet, and 0.756 for improving food preference and intake, and the sizes of effects were all found to be large. As frequency of education increased, the number of education participants decreased and the effect of education increased.

청소년 식생활교육 표준 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교육 효과 분석 (Development of Standard Program on Dietary Life Education for Adolescents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 through Pilot Operation )

  • 김선효;조성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9-103
    • /
    • 2023
  • 본 연구는 프로그램 개선과 보급에 활용하고자 청소년 식생활교육 표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범교육을 통해 교육효과 및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프로그램은 청소년용으로 '나탐(미각교육)', '우탐(전통 식생활교육)', '지탐(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의 3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총 10개 소단원으로 구성하였다. 소단원별로 1차시(차시당 90분)를 배정해 총 10차시로 편성하였으며 전체 소단원을 조리실습 위주로 구성하였다. 일부 지역의 14~17세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식생활교육지원센터에서 활동하는 해당 지역 강사가 1주에 1차시씩 총 10주간 대면으로 시범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시범교육 기간에 교육효과(n=72) 및 만족도(n=82) 평가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효과 평가를 위해 동일한 설문지로 사전조사, 사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만족도 평가를 위해 영역별로 마지막 수업시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효과 평가에서 지식 정도는 '우탐'과 '지탐' 영역의 문항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태도·행동 정도는 전체 영역의 대부분 문항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만족도에서는 영역별 모든 문항에서 5점 만점에 4.10 이상으로 높았다. 이상에서 본 프로그램을 적용한 시범교육에서 대상자는 교육에 재미있게 참여하면서 식생활관리 역량을 향상시킨 것으로 확인되어 의의가 있었다. 연구 결과로 볼 때 바른 식습관 형성 관련 내용보다는 전통 식생활, 지속가능한 식생활 관련 내용에 비중을 두도록 프로그램을 조정하고 조리실습 위주의 교육방법을 유지해 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음식윤리 접근에 의한 식생활교육 효과 증진 (Food Ethics Approach Improves the Effectiveness of Dietary Education)

  • 김석신;최은정;이미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33-340
    • /
    • 202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dietary education using a food ethics approach. Dietary education is a way of practicing food ethics based on Korean culture. The core values of dietary education and the keywords related to food ethics can be combined into environment·life, health·wisdom, and consideration·happiness. Sustainable dietary life comprises the value system of dietary education based on core values. To reach the ultimate goal of food ethics-sustaining the survival of the human race,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nature,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humans, and the fulfillment of food requirements are needed. These needs yield certain core principles, including respect for life, environmental preservation, justice, the priority of consumers, dynamic equilibrium, and the priority of safety. The extended ethical matrix with six core principles and three interest groups can be used for an ethical analysis either qualitative or quantitative. It is believed that if food ethics are introduced into dietary education programs,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can be improved.

대구.경북지역 중학생의 녹색식생활에 대한 지식, 행동 및 교육내용 요구도 분석 (Analysis on knowledge, behaviors, and educational content need regarding green dietary lif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 윤재선;김효정;김미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3-27
    • /
    • 2013
  • 본 연구는 녹색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적인 시행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대구 경북 지역에 있는 중학생 2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녹색식생활에 대한 지식, 행동 수준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녹색식생활에 대한 교육내용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자료는 SPSS Windows V.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조사대상자의 녹색식생활에 대한 지식 정답률과 녹색식생활에 대한 행동 수준은 높지 않았으며, 각 영역별 수준을 살펴보면 녹색식생활에 대한 지식에서는 건강, 환경 순이었고, 녹색식생활에 대한 행동은 건강, 환경, 배려 순으로 나타났다. 중회귀분석 결과 녹색식생활에 대한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학년이었고, 녹색식생활에 대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월평균 용돈(6만~9만원 미만), 가정형편(중), 녹색식생활에 대한 지식이었다. 녹색식생활에 대한 교육내용 요구도에서는 정상체중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쓰레기 분리수거 방법, 환경오염을 막기 위한 방법, 건강에 유익한 식품과 식단, 우리나라의 전통 음식 순이었다. 녹색식생활에 대한 지식이 녹색식생활에 대한 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중학생들의 녹색식생활 행동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녹색식생활에 대한 지식을 높이도록 교육이 실시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녹색식생활에 대한 교육내용 요구도가 모든 항목에서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므로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내용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슬로라이프를 기반으로 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Dietary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Slow Life in School Children)

  • 이효원;나예슬;조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1-120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ietary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Slow Life (DEPSL)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ing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The DEPSL was developed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systematic program development model, ADDIE. The developed DEPSL was applied to the Education group (EDU), which was total of 130 students aged 12-13 in an elementary school by trained instructors for five weeks. The control group (CON) composed of 100 students of the same age was not given any dietary education. Pre- and post-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e students in both groups to compare the change in students' dietary life during educational intervention between EDU and CON. EDU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in all extended TPB variables (p< .01), but C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knowledge' and 'behavior intention' (p< .05). In addition, the extended TPB model verified its conformity to determine if the effect of education leads to a change in the children's behavior. In conclusion, the DEPSL has a positive impacts on dietary life in school children. Nevertheless,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to develop various and specialized dietary education programs with different level of grades in other school areas.

유아 대상의 요리 활동을 포함한 영양 교육 후 식생활 습관 및 식태도 변화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Featuring Cooking Activities on Preschool Children in the Daegu Area: Food Habits and Dietary Attitudes)

  • 서주영;최봉순;이인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94-801
    • /
    • 2010
  • The effects of a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eaturing cooking activities on 20 preschool children 6 years of age at a kindergarten in the Daegu suburb area. After applying the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6 weeks, scores of dietary habits, dietary attitude and problematic dietary behavior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3.68 to 3.83, 3.52 to 3.9 and 3.59 to 3.89, respectively (p<0.001). Problematic dietary habits, such as not eating a variety of foods, overeating, and having an unbalanced diet, were positively affected while problematic dietary behaviors, such as eating too much sweet food and liking instant foods, also underwent favorable changes. Among dietary attitudes, washing bands and brushing teeth before and after meals were the least changed items (0.15 out of 1). To improve dietary habits and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cooking activities must be applied systemat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