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elopmental trajectories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114초

Latent Growth Model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Predictors and Effects on Infant's Developmental Outcomes

  • Kim, He Sook;Park, Kyung Ja
    •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 /
    • 제4권1호
    • /
    • pp.27-45
    • /
    • 2014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Korean mothers' depressive symptoms from a week prior to birth through four months postpartum in a nationally represented survey sample in Korea, using a Latent Growth Curve model. Mother-reported four factors-maternal self-efficacy in parenting,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a number of hours mothers worked per week, child's emotional temperament-were examined as the predictors of depressive symptoms over time in the context of Korean culture. Effects of maternal depressive trajectories on their infants' developmental outcomes at the first year were also examined.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reports of depressive symptoms decreased at the first month after birth and then increased again during the first 4 months postpartum. Second, mothers' perceived low spousal involvement in childcare, low parental self-efficacy, and their infants' difficult temperament at four-month old ha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 to the initial level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whereas the low spousal involvement in childcare and low maternal self-efficacy factors significantly predicted the changes of trajectories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Third, the trajectories, in turn, predicted warm and responsive maternal parenting style at the fourth month. Subsequently, the parenting style had a significant longitudinal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personal-social abil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awareness, preventive and interventional programs might be built to facilitate Korean mothers suffering severe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and further promote optimal early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유아기 또래거부의 발달궤적 (Developmental Trajectories for Peer Rejection in Preschool Children Based on Latent Growth Model)

  • 신유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6호
    • /
    • pp.565-574
    • /
    • 2016
  • This research examined the trajectories of peer rejection in preschool children.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intercept and slope of the trajectories for peer rejection along with the influences of aggression, withdrawal and language ability on the trajectories of peer rejection. A latent growth curve model investigated peer rejection in 3 to 5 year olds. Three hundred and thirteen 3-year-old children were recruited from five preschools and 14 daycare centers.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y was measured by a 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verbal test and teachers completed measurements for aggression and withdrawal. A peer nomination inventory was used to assess peer rejection. Children were asked to nominate three classmates who they do not like to play with.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peer rejection decreased during the preschool years. Compared with girls, boys showed higher levels of peer rejection and a slower change rate of peer rejection. Girls who were aggressive showed high levels of peer rejection and a slow change rate of peer rejection. Moreover, girls who had a high levels language showed low levels of peer rejection and a slow change rate of peer reject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language ability could be a protective factor of peer rejection for girls.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변화 양상에 따른 진로관련 행동 및 자녀의 심리사회적, 학업적 특성 차이 (Career-related Behaviors, Psychological and Academic Outcomes according to Parenting Efficacy Trajectories of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 윤홍주;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234-24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자녀가 초등학생에서 중학생으로 성장하는 과정(초4-중3)에서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어떠한 형태로 변화하는지 확인하고, 확인된 잠재계층에 따라 고등학교 1학년 시기의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진로관련 행동, 자녀의 심리사회적, 학업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 7개년도 자료(초4-고1, 2011년-2017년)를 활용하였으며, 잠재계층성장분석, BCH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녀가 초등학생에서 중학생으로 성장하는 과정(초4-중3)에서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변화 양상은 4개 잠재계층(상수준 증가-감소형, 중상수준 증가-감소형, 중수준 무변화, 중하수준 무변화)으로 구분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확인된 잠재계층의 특징은 양육효능감 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자녀가 초등학교 시기에는 양육효능감이 증가하지만, 중학교 시기에는 감소하는 반면, 양육효능감 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 자녀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양육효능감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변화 양상에 따라 고등학교 1학년 시기의 진로관련 행동 및 자녀의 심리사회적, 학업적 특성에 차이가 있었으며, 대체로 상수준 증가-감소형 집단의 자녀가 지각한 진로관련 행동 수준이 높으며, 심리사회적(자아존중감, 우울, 진로장벽인식), 학업적(성취동기, 학업성취) 특성 또한 긍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자녀가 초등학생에서 중학생으로 성장하는 과정(초4-중3)에서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높여주는 것이 고등학교 1학년 시기의 진로관련 양육행동 및 자녀의 심리사회적, 학업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동기 학대경험 유형과 우울불안 및 공격성 발달 간 관계에 대한 연구 (Longitudinal Study of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Profiles of Child Maltreatment)

  • 김세원
    • 아동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15-134
    • /
    • 2015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nt classes of childhood maltreatment and depression anxiety and aggression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1,785 participants in a sample form Seoul Panel Study of Children were used in this study. Using latent class analysis, three classes of child maltreatment were identified: 'low maltreatment'(89.2%), 'physical+emotional abuse+neglect'(1.9%), 'physical+emotional abuse'(8.9%). Thre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depression anxiety were classified: 'low depression anxiety'(72.3%), 'moderate depression anxiety'(23.3%), 'high depression anxiety'(4.4%). Two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ggression were revealed: 'low aggression'(89.3%), 'high aggression'(10.7%). As estimated by latent transition probability, the multiple maltreatment classes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or aggression than the no maltreatment class. There appeared to be distinct profiles of maltreatment among adolescents that had differential associations to measures of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The implications for both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아동발달시기별 아동학대 변화궤적 유형 비교 연구 (Identifying latent classes about the changing trajectories of child maltreatment by child developmental period)

  • 한지현;최옥채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9호
    • /
    • pp.183-208
    • /
    • 2017
  • 본 연구는 KCYPS의 초1학년과 4학년 패널의 2차 년도에서 6차 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아동 발달시기별 학대경험의 변화궤적이 어떻게 유형화되는지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초1학년 패널은 2,300명, 초4학년 패널은 2,325명이 최종 분석대상이 되었다. 아동학대 변화궤적 유형을 식별하기 위해 잠재계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신체학대에서 초2~6학년에 이르는 아동기는 감소형, 낮은유지형, 증가형, 비학대형의 4개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초5~중3학년에 이르는 초기청소년기도 같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정서학대에서는 아동기는 감소형, 증가형, 비학대형의 3개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초기청소년기는 감소형, 낮은유지형, 증가형, 비학대형의 4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방임에서 아동기는 유지형, 낮은감소형, 낮은증가형, 비학대형의 4개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초기청소년기는 유지형, 낮은증가형, 비학대형의 3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아동의 발달시기별 학대의 증감 추이를 살펴보면 아동기에서 초기 청소년기로 신체학대가 지속되며 아동기에 비해 초기청소년기에 정서학대와 방임이 증가하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대 유형에 따라 잠재계층분류를 시도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분석결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이론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추이의 유형 및 예측 요인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성장혼합모형과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하여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n Types and Predictors of Trajectories of Adaptation to Child Care Among Infants and Toddlers: Using Growth Mixture Modeling and Latent Classes Analysis)

  • 신나리;조우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5-143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underlying types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daptation to child care among infants and toddlers. This study also aimed to identify latent classes in their child care adaptation types in order to find predictors that account for individual differences. Methods: Participants were 420 mothers of infants and toddlers and 123 teachers. The levels of child care adaptation of participating infants and toddlers were rated monthly from early April to June,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growth mixture modeling, latent class analysis and multinominal logistic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growth trajectories of child care adaptation showed there were two to four latent groups by dimension of child care adaptation. Also, the groups of individual dimensions of child care adaptation were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classes, which were 'complying and positive group', 'negative group', and 'individualized group. Multinominal logistic analysis revealed that children's age, gender, and temperament differentiated the three latent classes of adaptation to child care.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show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t infants and toddlers possess should be prudently considered in order for successful adaptation to child care.

미국인 아동이 발음한 영어모음의 포먼트 궤적 (Formant Trajectories of English Vowels Produced by American Children)

  • 양병곤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3권1호
    • /
    • pp.23-34
    • /
    • 2011
  • Many Korean children have difficulty learning English vowels. The gestures inside the oral and pharyngeal cavities are hard to control when they cannot see the gestures and the target vowel system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 This study attempts to collect children's acoustic data of twelve English vowels published by Hillenbrand et al. (1995) online and to examine the acoustic features of English vowels for phoneticians and English teachers. The author used Praat to obtain the data systematically at six equidistant timepoints over the vowel segment avoiding any obvious errors. Results show inherent acoustic properties for vowels from the children's distribution of vowel duration, f0 and intensity values. Second, children's gestures for each vowel coincide with the regression analysis of all formant values at different timepoints regardless of the vocal fold and tract difference. Third, locus points appear higher than those of American males and females. Their gestures along the timepoints display almost similar patterns. From the results the author concludes that vowel formant trajectories provide useful and important information on dynamic articulatory gestures, which may be applicable to Korean children's education and correction of English vowels. Further studies on the developmental study of vowel formants and pitch values are desirable.

  • PDF

주양육자의 양육태도가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n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i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 안은미;강현아;노충래;우석진;전종설;정익중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4호
    • /
    • pp.145-17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발달궤적을 추적하고 그에 대한 예측요인으로 주양육자의 양육태도의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주양육자의 양육태도가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성차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아동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지원센터를 군집표집한 종단자료 중 중학교 1학년~3학년까지 341명의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한 잠재성장모형과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주양육자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학교적응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부정적 양육태도는 학교적응의 초기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양육자의 긍정적 양육태도에 따라 남학생과 여학생의 학교적응 초기값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동의 지역아동센터 이용시간의 종단적 변화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ngitudinal Trajectories of Use Time and the Related factors for the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 김동하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2호
    • /
    • pp.159-180
    • /
    • 2018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을 대상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지역아동센터 이용시간의 변화궤적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과 관련된 예측요인과 발달요인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의 2기 패널자료 1차 시점(2014년)에서 3차 시점(2016년)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대상은 총 606명이다. 분석방법은 3년에 걸쳐 초등학생의 지역아동센터 이용시간 변화궤적의 유형을 구분하기 위해 잠재계층성장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유형과 관련된 예측요인과 발달요인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아동센터 이용시간 변화궤적은 '높은 이용집단', '낮은 이용집단', '초기 고이용-급감소 이용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예측요인으로는 성별, 부모감독, 이용기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형에 따른 발달결과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유형별로 학업성적과 학교적응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공격성과 비행행동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의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학교연계 서비스를 위한 사회복지실천 전략 개발 - 청소년기 경비행행동의 차별적 발달궤적에 대한 잠재계층성장분석 - (Development of Social Work Strategies for School-linked services - Based on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of Delinquent Behaviors in adolescence -)

  • 이상균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3호
    • /
    • pp.377-406
    • /
    • 2009
  • 청소년의 비행예방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전략 개발을 목적으로 종단자료를 통한 청소년 비행행동의 잠재집단유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비행행동의 차별적 발달궤적을 갖는 잠재집단유형의 확인은 이들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실천전략의 수립을 가능케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패널조사의 1-4차년도 종단자료를 이용하여 비행행동의 수준과 변화율이 상이한 잠재집단이 존재할 것으로 가정하는 잠재계층 성장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비행행동의 수준과 변화율이 상이한 4개의 잠재집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행행동의 경험수준이 적고 변화율이 거의 없는 규범집단, 측정기간 내내 높은 비행행동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비행지속집단, 측정초기에는 높은 비행행동수준을 보이다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비행감소집단, 낮은 비행행동 수준에서 점차 비행경험이 증가하는 비행증가집단 등 4개의 잠재계층집단을 발견하였다. 잠재계층집단에 대해 청소년 비행행동의 보호 및 위험요인이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지도감독, 자기통제력, 비행친구와의 교류, 부정적 낙인 등이 잠재계층집단의 분류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초측정시점인 중학교 2학년시기에서 부모의 지도감독을 많이 받고, 자기통제력이 높으며, 비행친구와의 교류가 적고, 부정적 낙인이 적을수록 비행행동을 경험하지 않는 규범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가족구조결손, 빈곤가족, 남자청소년의 인구학적 특성과 비행친구와의 교류증가는 비행증가집단과 비행지속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단자료를 통해 청소년기 비행행동의 이질적인 성장궤적을 갖는 잠재계층집단을 확인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청소년의 비행행동 예방 및 개입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