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terminism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3초

물리공간의 지리학에서 가상공간의 지리학으로: 정보통신지리학과 가상지리학의 연구동향과 가능성 (From the Geography of Physical Space to the Geography of Virtual Space: Current and Future Research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Geography and Virtual Geography)

  • 김영롱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0-83
    • /
    • 2019
  • 본 논문은 지리학자들이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논의의 폭을 현실공간으로 가상공간으로 넓혀왔던 연구 흐름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지리학의 새로운 연구 주제 발굴을 위한 이론 및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한다. 정보통신지리학은 2000년을 전후하여 유선 인터넷 기반시설의 지리적 분석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연구되었으나, 무선 인터넷 시대에 들어 그 전통이 충분히 계승되지 못하였다. 가상지리학 연구는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이 서로를 어떻게 확장, 재생산 또는 제약할 수 있는지에 대해 밝혀왔지만, 그 구체적인 정도에 대한 실증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 본 논문은 가상공간의 지리적 물리성을 실증적으로 밝히기 위한 도구로 정보통신지리학과 가상지리학의 결합이 유용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21세기의 경제 공간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정보통신지리학과 가상지리학의 실증 연구들이 데이터결정론 및 기술결정론으로 비판받을 수 있음을 주지하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경제지리학이 나아갈 길을 제시한다.

자유의지에 대한 조작논증과 근원-양립가능주의의 대응 (Compatibilist Replies to Manipulation Arguments)

  • 김성수
    • 논리연구
    • /
    • 제21권3호
    • /
    • pp.373-393
    • /
    • 2018
  • 조작논증은 근원-자유와 결정론이 양립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이 논증에 따르면, (1) 일정한 방식으로 조작된 행위는 직관적으로 자유행위가 아니며 (2) 일정한 방식으로 조작된 행위와 결정론적으로 발생한 일상적 행위 사이에 중요한 차이가 없다. 이로부터 결정론적으로 발생한 일상적 행위는, 그것이 양립가능주의자들이 제시한 자유의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자유행위가 아니라는 것이 도출된다. 양립가능주의자들의 대표적인 대응인 '강경한 대응'은 (1)을 부정한다. 그런데 '중립적 입장'에서 볼 때 이 대응은 불충분한 것으로 밝혀진다. 그리고 (1)은 일종의 심리적 오류를 저지른다는 최근의 제안도 이를 극복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온건한 대응'은 (2)를 부정한다. 이 대응을 지지하기 위해 먼저 조작적 개입과 단순한 결정 사이의 차이를 밝힌다. 그리고 온건한 대응과 조작논증이 특정한 상황에 대해 서로 다른 예측을 한다는 점에 주목할 때 이 대응을 지지할 이유가 있다고 주장한다.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이론의 철학적 위치 (The Philosophical Status of Scientific Theories for Science Education)

  • 오준영;이은주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54-372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육을 위해 과학적 세계관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과학이론들이 철학적으로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그동안 통상적으로, 인식론과 방법론을 주로 다루어왔던 과학교육을, 존재론, 즉 형이상학의 믿음의 문제로 확장시키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전통적으로 우리의 마음과는 독립적으로, 고정되고 변화하지 않는 객관적인 과학지식이 존재한다는 형이상학적 믿음의, 강한 결정론으로 정의된 물리적 실재론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Newton, Einstein, Schridinger가 정립한 동역학의 자연법칙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수학 화'라고 할 수 있다. Einstein도 상대성이론을 통하여 전통적인 견해를 어느 정도 흔들어 놓았으나 그의 이론은 여전히 전통적인 사고에 가까웠다. 이와는 반대로, 이러한 엄격한 결정론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가능성', '우연'과 같은 의인화 된 개념이 필요하다. 고전적으로 강한 결정론적 사상으로부터 약한 결정론인 우연적인 사고인 확률론으로의 변화와 자연주의적 관점으로 과학이론의 변화를 주도하는 현대의 과학적 세계관의 특징이다. 이는 Darwin의 진화론과 양자역학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존재론적 세계관을 정당화하는 세 종류의 인식론적 세계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바로 합리주의, 경험주의 그리고 자연주의다. 과학교육은 우리가 교육현장에서 다루는 과학 이론이 어떤 형이상학적 믿음에 기반을 두었는지 많은 경우 말하고 있지 않다. 또한 과학교육은 과학 지식의 이해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학습한 지식의 앎이라는 것과 학습자 자신의 형이상학적 믿음인 세계관과 연결되어 있을 때만 진정한 지식을 이해를 가져올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과학교육은 다양한 과학이론들을 과학적 세계관과 철학적 위치에 기초하여 연결시키고 이를 학생들에게 제시해줄 필요가 있다.

StrongARM SA-1100 기반의 RTOS 커널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TOS Kernel for the StrongARM SA-1100)

  • 한성용;박희상;이철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A)
    • /
    • pp.91-93
    • /
    • 2002
  • 본 논문은 RISC CPU인 Intel StrongARM SA-1100을 기반으로 하는 실시간(Real-Time) 운영체제를 설계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운영체제는 태스크들이 우선순위 기반으로 저리되는 선점형 스케줄링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실기간 운영체제의 주요 특징인 시간 결정성(determinism)을 보장하도록 하였다. Intel StrongARM SA-1100은 고성능(High Performance), 저전력(Low Power)의 장점 때문에 모바일(Mobil) 환경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Intel StrongARM SA-1100 CPU를 타겟으로 시간 결정성이 보장되도록 멀티 태스킹(Multitasking)과 ITC(InterTasking Communication)를 설계하고 구현한 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PDF

실시간 운영체제 iRTOS$^{TM}$ 를 위한 메모리 관리 체계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mory Management Facility for Real-Time Operating System, iRTOS$^{TM}$)

  • 박희상;안희중;김용희;이철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A)
    • /
    • pp.58-60
    • /
    • 2002
  • 실시간 운영 체제(Real-Time Operating System)는 특정 태스크가 정해진 시간 안에 수행될 수 있도록 시간 결정성(Determinism)을 보장하는 운영 체제이다. 실시간 운영테제는 멀티태스킹(Multitasking) 및 ITC(InterTask Communication 혹은 IPC, Interprocess Communication)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일반 운영체제인 Unix$^{TM}$, Linux$^{TM}$, Windows$^{TM}$ 등과 같지만, 시간 결정성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일반 운영 체제와 다르다. 또만 실시간 운영 체제를 포함한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TV, DVD 등에서 수행되므로 실행 이미지(Image) 크기가 작아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운영체제의 실행 이미지를 줄이면서 시간 결정성을 보장한 수 있도록 메모리 관리 체계를 설계하고 구현한 내용을 설명한다.

  • PDF

부분안전계수를 이용한 경사식 방파제의 최적설계기법 (Optimal Design of Rubble Mound Breakwater Used by Partial Safety Factor Method)

  • 이동훈;민석진;김성득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23-31
    • /
    • 2003
  • As there are so many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using the determinism analysis method in the design of rubble mound breakwater, it is impossible for a designed construction to provide ultimate stability. First of all, due to the uncertainty of Load and Resistance, a safety level concerning the destruction mode of construction must be given. Then, the optimization design should be processed. After all, we can say that it is a more reasonable design method than the design used by the stability rate. In this study, an established design process is accomplished using Hudson's equation and an economic analysis with the breakwater's section is also conducted. Hudson's equation is compared to Van der Meer's equation. These results are utilized to drop a damage rate, increase the stability of construction, and determine the optimization section of the breakwater.

디지털도서관 연구를 위한 사회정보학 (A Study on the Social Informatics in Digital Library Studies)

  • 정경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20
    • /
    • 2003
  • 본 연구는 국내의 디지털도서관 연구 및 디지털도서관 용어 사용을 분석함으로써, 디지털도서관에 대한 논의가 기술중심적 혹은 기술결정론적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도서관은 다양한 이종의 구성요소들이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을 통하여 구성되는 사회기술망으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사회기술망으로서의 디지털도서관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사회정보학과 STIN 모델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 PDF

정보기술과 사회 공진화의 동태적 메커니즘과 정책적 함의 (A Thought on the Dynamic Mechanism of Coevolution between IT and Society and Its Policy Implications)

  • 김상욱;김숙희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7권2호
    • /
    • pp.5-20
    • /
    • 2006
  • In the advent of ubiquitous information technology (u-IT) as a new emerging horizon of information society, inflated expectations regarding u-IT are growing very fast and higher than those made in the past, which would perhaps result in serious bust after boom and incur tremendous amount of social costs. This paper thus investigates a dynamic mechanism underlying the coevolution between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ety by applying systems thinking, particularly, with a focus on the typical phenomenon, 'hype curve' which shows how new technologies initially grow too fast for their own good, crashing from a peak of inflated expectations into a trough of disillusionment before stabilizing on a plateau of productivity. Three basic questions are explored to answer by investigating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boom-bust' phenomenon: First, why hype curve appears in the process of technology and society coevolution. Second, how to enhance the stabilization level. Third, when is the right time for the policy intervention.

  • PDF

인문.사회과학과 과학기술부분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operation between the Humanities &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 & Technology)

  • 이종수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25-140
    • /
    • 2000
  • The paper studies on the cooperation between the humanities &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 & technology in 1990's. The article showed policy alternatives about the crisis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s. That was science wars and we heard that was announced by Sokal affair. In this article, the author inquired into the Korean research policy's crisis and presented the policy alternatives about the crisis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 & technology in various ways. In the concrete, the policy alternatives are cultural critique of technology and science and science & development of domain about interdisciplinary studies at the humanities &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 technology. In conclusion, First, the author showed the appraisal and institutionalization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Second, the researcher proposed few policy alternatives and developmental area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between the humanities &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 & technology.

  • PDF

라플라스의 생애와 현대과학에 미친 영향 (The Life of Laplace and His Influences on Modern Sciences)

  • 김계환;김성숙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271-279
    • /
    • 2019
  • Pierre-Simon de Laplace(1749-1827)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nfluential scientists in history. He was known to his contemporaries as the Newton of France, and a scientific sage valued for his magisterial syntheses of scientific works through the 18th century. Laplace was a determined mathematician, astronomer, writer, philosopher, and educator. In this paper, we take a survey of his achievements in the areas of astronomy and mathematical statistics, along with his scientific philosophy, the universal determi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