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 demands

검색결과 1,445건 처리시간 0.027초

글로벌 플러스 사이즈 파워 블로그에 나타난 여성 패션 연구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Fashion Styles from Global Plus-size Woman's Power Blog -Focused on Analysis of USA Market-)

  • 유진영;신혜영;임주연;이인성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830-843
    • /
    • 2016
  • The world wide increase of obesity and demands for various plus-size fashion are expanding the global plus-size fashion market.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arket status of the US (the biggest plus-size fashion market) as well as analyze women's fashion shown in power blogs on the plus-size fashion trend. For research methods, photos from the top 10 globally ranked plus-size power blogs on Alexa.com were collected and divided into 5 plus-size body types based on: design factors, style, color, item, and texture. Pants with tops or completed outfits including pants, tops, and outer were the most common for casual styles; in addition, a tendency to pursue comfortable and naturally fitted clothes was also indicated. As for colors, the most common were blue colors and white or pastel toned colors; in addition, soft, hard, and transparent were all evenly used for materials. One-piece items were the most popular formal style that were mostly a one-tone color made with hard materials indicated by the pursuit of the fanciness and formality of a dress for a formal occasion. Black was the most common color, and the color variation was less diverse compared to that of casual styles. The most common for semi-formal styles were outfits with movability and more fanciness such as wearing a casual outer on top of a formal one-piece. When examining the fashion in plus-size blog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design factors due to the diversity of body-types; in addition, different items were shown to be preferred in accordance with sty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fashion companies who want to enter the global plus-size women's fashion market (including the US market); in addition, research on plus-size fashion that is changing the fashion and aesthetic paradig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cademia.

서울과 상해 소형아파트의 평면구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mall-Sized Apartment Plan Composition in Seoul and Shanghai)

  • 박수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173-180
    • /
    • 2014
  • Dwelling connotes characteristics like social and cultural and technical climatic conditions, lifestyles and demands of regions, and especially, apartment, as one of dwelling types, shows various aspects of modern society. With the economic development centering on large cities, apartments have been established as universal housing forms in Seoul and Shanghai. The deepening of economic development in cities has increased small households consisting of one or two persons by affecting the population and household structure, and they've become information consumer groups. This has also influenced the size of apartment and increased the demand for small-sized housing. If the floor area is small, it is possible to use space widely according to the plan composition, so there is a need for floor planning to understand natural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and residents.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plan compositions of small-sized apartments which have been parceled out for the recent three years in Seoul and Shanghai.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using cultures and users in the two countries depending on natural environments, living habits and spatial functions by analyzing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of public spaces like living room, dining room and kitchen, and private spaces like bedroom which have absolute effects on room arrangement and traffic lin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al environments, in Seoul, two-sided open cross-ventilation structure where is favorable to lighting and ventilation, occupied the biggest proportion of public space, while in Shanghai, most public spaces had lighting and ventilation structures through windows in each room. In Seoul, 3R type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of private space(87.7%), and privacy was maintained and space scale was adjusted using spaces with diverse functions such as bathroom in the couple bedroom, dress room and powder room and variable walls. But 2R type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of private space(60.2%) in Shanghai, and they emphasized private space and privacy of each room depending on major living habits. In conclusion, this study for comparing and analyzing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of small-sized apartment plan compositions in Seoul and Shanghai will provide proper guidelines for small-sized apartments to be built in Seoul and Shanghai in the future, if strong points and weak points of plan compositions in the two countries will be additionally analyzed and remedied.

라이프 드로잉(life Drawing)의 두뇌 기반 교수-학습 전략 연구 - 애니메이션 전공 중심으로 (Brain Based Teaching-learning Model Design about Life Drawing - Focusing on Animation Major Drawing)

  • 박성원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8호
    • /
    • pp.71-91
    • /
    • 2015
  •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의 전문적인 특성을 고려한 라이프 드로잉 교수법을 연구하는 과정으로 두뇌의 창작 기제를 고려한 전략을 적용한 모형과 교수방법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최근 들어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각 전문분야의 교육방법에 대한 대안적인 논의로 뇌 기반 학습원리를 적용한 융합적 교수법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즉, 뇌의 창의기제를 기반으로 한 융합적 교육은 미술과 드로잉 교육뿐만 아니라, 예술전반에서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라이프 드로잉은 인체에 대한 구조적 지식을 넘어서 인지적 감각, 창의성, 그리고 동작을 통한 대상과의 소통방식을 이해한 생동감 표현법 등을 숙련할 수 있는 종합적인 교수법을 요하는 분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앞선 단계에서 분석된 창의, 학습기제와 내용요소를 바탕으로 하여 라이프 드로잉 숙련을 위한 전략과 방법 그것을 정리한 교육모형 구조도를 설계하여 본다. 그 결과 이전 연구의 결과물인 뇌의 창의, 학습 기제를 기반으로 한 라이프드로잉의 능력요소와 두뇌기반 촉진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되기 위해서는 5단계 인지전략단계인 뇌 활성화 준비단계, 대뇌피질 기능 활성화, 고등사고촉진단계, 고등사고단계, 통합단계를 거쳤을 때 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또한 이를 실행하기위한 전략적 방법으로는 브레인짐(brain gym), 우뇌활성화드로잉, HSP(고차인지)트레이닝으로 설계되었다. 이를 토대로 하여 설계된 교수학습모형 구조도는 이후의 연구에서 해당 회기 동안의 교수학습지도안 설계로 이어진다.

설계시간 교통량 기반 양방향 좌회전차로의 설치기준에 관한 미시적 연구 - 좌회전 상충이 발생하는 구간을 중심으로 - (Microscopic Study on the Warrants for TWLTL Based on the DHV - Focusing on the Section with Overlapping Left-turn Movements -)

  • 이지선;신치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10
    • /
    • 2014
  • 본 연구는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하여 양방향 좌회전차로의 설치기준과 관련된 두 개의 주요한 파라미터를 분석하고 평가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첫째는 통상적으로 평균 일교통량(ADT)에 기반을 두고 산정되지만 최근 우리나라 도로교통량의 시간변화 특성을 반영한 설계시간 교통량(DHV)의 범위에 대한 분석이며, 다른 하나는 양방향 좌회전차로 내의 구간으로써 양방향 좌회전 수요가 공간점유를 위해 서로 경쟁하면서 상충이 유발되는 부분인 접근로 간격에 관한 것이다. 이에 더해 VISSIM S/W에 VISVAP과 같은 추가 기능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WLTL의 작동을 구현하는 구체적 방법과 절차에 대해 선행 연구들과는 달리 충실히 설명하고자 하였다. 10개의 교통량 수준 시나리오로 수행한 모의실험 결과에 따르면 통과 교통량이 많을수록 좌회전 차량이 경험하는 지체는 예상대로 견조히 증가하였다. 시나리오 대부분에 대한 지체 값이 비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을 기준으로 LOS C와 D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통량 수준 7(중방향으로 3차로 시설 경우 1,116대/시, 5차로 시설은 1,860대/시)까지 양방향 좌회전 차로가 운영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범위의 교통량은 우리나라 2차로 및 4차로도로 교통량의 상당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향후 양방향 좌회전차로의 도입 가능성을 한 층 높이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지식창출형 e-PBL 지원시스템의 개념적 모형 구안 - 해군 e-PBL지원시스템을 중심으로 - (Designing a Conceptual Model of Knowledge Creation Type e-PBL Support System - Focused on Naval e-PBL Support System -)

  • 박수홍;홍진용;우차섭;김두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37-448
    • /
    • 2008
  • 지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전장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군대에서도 창의력, 협동력, 의사소통 능력을 갖춘 인재상이 요구되고 있어 해군 교육에서도 PBL의 적용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창출을 위한 해군 e-PBL 지원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기 위해 크게 3단계를 거친다. 첫째, PBL, e-PBL, 지식창출, 지식생태계 등을 키워드로 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회도서관, 등에서 검색하였다. 내용 전문가들로부터 본 연구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국내 외 논문 및 단행본, 연구보고서 등을 추천받아 본 연구와 관련해서 인용도가 높은 문헌과 최근 연구를 수행한 문헌들을 중심으로 선정 분석하여 지식창출형 e-PBL지원시스템의 핵심가치와 설계전략을 도출하였다. 둘째, 분석 내용을 토대로 1차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교수설계 전문가들의 검토를 받아 수정함으로써 지식창출형 해군 e-PBL 지원시스템의 최종 프로토타입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가치를 가진다. 첫째, 지식창출형 해군 e-PBL지원시스템은 학습자들에게 e-PBL을 적용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창의력, 협동력,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업무 노하우를 축적 할 수 있다. 둘째, 개인간 또는 집단간 지식 공유를 통해 지식이 선순환됨으로써 업무능률을 향상시키고, 학습하는 조직문화를 조성하는 시너지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지식창출형 해군 e-PBL지원시스템은 해군 뿐만 아니라 학교교육에 PBL을 적용하고 있는 교수자들에게 지식 Base를 구축하는 PBL적용의 새로운 가치를 가지게 한다.

  • PDF

조경시공과목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Students' Perception of Landscape Construction Education)

  • 박재영;권진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92-103
    • /
    • 2017
  • 조경은 전문 직업 분야로서 전문 인력 양성에 교육의 초점을 맞추는데, 그 중 조경시공은 조경업계의 큰 축을 담당하는 한 분야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조경시공관련 수업 개선에 대한 기초 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조경학과 학생들의 관점에서 교육현황 및 교수법 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총 348명을 대상으로 '조경시공관련 수업의 인식'의 범주 하에 14개의 문항에 대한 설문을 시행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조사결과, 학생들은 조경시공관련 수업이 학문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지하며, 학점 이수의 필요성을 가지나, 수업환경 및 과목 강의법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의 내용을 실무에 바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인식과 '조경기사 자격증 시험'에 대비한 수업의 일환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강의에 대한 요구로는 현장실습 중심의 강의와 현장실습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데, 이는 계획 설계 시공 관리로 이루어지는 인재관리형 수업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현장실습과 관련하여 '다양한 기회의 제공', '실습환경의 처우 개선' 등과 같은 환경제공의 과제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조경시공분야 교육에 관한 연구나 논의가 미진한 현실에서 학생들의 입장을 분석하고, 향후 개선방향에 대하여 논의했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한편, 4년제 대학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것에 대한 한계를 가지며, 향후 전문대학 및 대학원 교육과정의 조사를 포함한 총체적 연구와 외국 시공학 교육과정에 대한 사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학교연구보고서에 제시된 STEAM 프로그램의 핵심 역량 및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Core Competence and Core Element on the STEAM Program in the Research Report of School)

  • 신진경;최동규;김지원;허균;박종운;주동범;원효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898-914
    • /
    • 2013
  • The fusion type human resources, it is a new human resources to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society of the future demands, and means to enjoy life with a creativity and expertise of fusion of various fields, to communicate in consideration of others. Fusion human resource education(STEAM), of "human resources to practice respect and compassion", "human resources equipped with communication skills", "human resources to pursue creativity and innovation" "human resources to understand the knowledge of the fusion to take advantage" in training I have presented to the area of core competence of the 4C 'Creativity"," Communication","Convergence', 'Caring'. In this study, the area of c ore competency for each element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round the analysis of the target can be made by each school level to develop a practical program in the sense of basic research is to conduc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rea of Creativity, communication area, the contents fusion region, as well as care areas, to the detailed item capacity, the design of the class that contains the entire area should be performed. Secon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 analysis, design of the class containing the entire region up to capacity detail is required. High school was required study of school full of normal. Third, In general, for STEAM class environment and teaching model was developed by applying operations. Research and methods of teaching a wider variety of form was required. Later in this study is to develop programs and organize. and It intends to become the base to be able to interest and interest in science education by structured around the status of problems that can be found in the life of around themes STEAM.

IEEE754-2008을 위한 고속 부동소수점 연산기 설계 (Floating Point Unit Design for the IEEE754-2008)

  • 황진하;김현필;박상수;이용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8권10호
    • /
    • pp.82-90
    • /
    • 2011
  • 스마트폰을 비롯한 각종 매체가 발전함에 따라 우수한 성능의 부동소수점 연산기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기본이 되는 덧셈/뺄셈 뿐 아니라 기존보다 향상된 곱셈과 비교, 변환 연산을 수행하는 고속의 단정도/배정도 부동소수점 연산기의 설계를 제안한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덧셈/뺄셈 연산기는 반올림 연산 시에 병렬화 작업을 수행함으로서 최적화를 구현하였다. 그래픽 연산 등에서 복잡한 수의 행렬연산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를 빠르게 계산하기 위해서 곱셈기 대신에 곱셈 후 덧셈을 수행하는 단일 곱셈-누산기(MAF)를 설계하였다. 분기 명령은 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으로 비교 연산에 의해 분기 조건이 결정되는데 이 논문에서는 파이프라인이 완료되기 전에 수행된 비교연산의 결과값을 바이패싱함으로서 연산의 수행시간을 감소시켰다. 또한 IEEE754-2008 표준에 추가된 변환연산을 포함하여 설계하였다. RTL 설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산기마다 40만개의 테스트 벡터를 가중치 무작위 방식으로 선별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검증 후에는 삼성 저전력 45nm 공정에서 합성을 수행하여 600MHz의 동작 주파수를 만족하였다. 또한 개선된 FPU와 기존의 FPU와 비교하여 면적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대학생 주거관의 시계열적 비교 (Comparison on the Time series of Housing Viewpoint of University Student)

초.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에 대한 공학전문가들의 인식 연구 (A study on Engineering Professionals' Recognition about Engineering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 김기수;김영민;허혜연;이창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36-155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초 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에 대한 공학전문가들의 인식 분석을 통해 초 중등교육에서 공학교육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3개영역 총 2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이를 임의표집된 1,200명의 공학전문가들에게 우편조사와 인터넷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139부의 설문지 중 117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학전문가들은 공학이 국가 경제 발전 및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인식하고 있다. 공학전문가들은 공학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일관된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공학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공학이 가지고 있는 '설계와 문제해결, 창조성과 혁신, 최적화와 경제성'을 중시하는 고유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공학전문가들은 현재의 초 중등교육에서 공학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공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공학전문가들은 초 중등학교에서 공학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창의적 설계 및 문제해결 과정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공학전문가들은 공학교육이 시작되어야 하는 학교급 수준, 학교급별에 따른 수준별 교육 목적, 효과적인 적용 방법 등의 다양한 교육요구를 갖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