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ression of children

검색결과 772건 처리시간 0.031초

노인의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Health Status and Ddepression of the Elderly)

  • 윤현숙;구본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2호
    • /
    • pp.303-324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과 춘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409명을 대상으로 노인과 자녀가 주고받은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노인의 건강상태가 나쁘고,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우울정도가 높았으며, 노인의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지지가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지니며, 이러한 효과는 성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남성노인의 경우, 자녀에게 제공받은 도구적 지지와 자녀에게 제공한 정서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가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노인의 경우에는 자녀로부터 받은 모든 사회적 지지(정서적, 도구적, 재정적 지지)와 자녀에게 제공한 도구적 및 재정적 지지가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의 적용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 PDF

아동과 청소년의 식이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우울 및 체중조절행위 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Dietary Self-Efficacy,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Weight-control Behavior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손세은;김혜선;김정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73-486
    • /
    • 2014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dietary self-efficacy,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weight-control behavior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 total of 593 students (280 children and 313 adolescents) from schools in Seoul, Gyeonggi-do, Jeollabuk-do, and Daegu were surveyed using scales for dietary self-efficacy,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weight-control behavior.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frequency analysi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 t-test, a one-way ANOVA, the Tukey test, the Pearson's correlation, and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weight-control behavior was more likely in girls than boys, high-school students than elementary-school students, and obese/overweight students than normal/underweight students. The factors influencing children's weight-control behavior were general eating habits, the BMI, depression, food choice, and family support, in that order, and those influencing adolescents' weight-control behavior were general eating habits, gender, and the BMI, in that order.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weight-control program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위험요인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및 아동문제행동 간의 관계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Maternal Depression,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at Risk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 신희선;김정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53-461
    • /
    • 2010
  • Purpose: In this study differences in behavioral problems between children at risk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ADHD) and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were identified. Further,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stress, depression, and child behavioral problems according to ADHD symptoms were explored. Methods: Participants were 222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ADHD risk group was determined by the Korean-ADHD Rating Scal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Korean-ADHD Rating Scale, Korean version of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Parenting Stress Index,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1) The ADHD risk group showed higher levels of behavioral problems, parenting stress, and maternal depression than the normal group. 2)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ADHD scores and parenting stress (r=.66), maternal depression (r=.35), internal behavioral problems (r=.47), and external problems (r=.55), but, ADHD risk scor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competence (r=-.40). 3)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DHD levels affected the child's internal behavioral problems, mediated by maternal depression ($\beta$=.29, p<.001).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higher risk scores for ADHD indicate a significant effect for behavioral problems. Also,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influence child's behavioral proble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dentification of children at risk for ADHD and development of parental education programs would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behavioral problems and aggravation of the ADHD symptoms.

소아기 우울증 - 소아기 우울증의 개관과 발달학적 측면 - (DEPRESSION IN CHILDREN - AN OVERVIEW AND THE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CHILDREN IN DEPRESSION -)

  • 강경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5권1호
    • /
    • pp.3-11
    • /
    • 1994
  • 소아기 우울증은 1980년 DSM-III에서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기까지 많은 임상보고에도 불구하고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었다. 이는 과거 정신분석학적 영향으로 인한 것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소아와 발달학적 측면을 고려하지 못한 결과이기도 하였다. 즉 소아는 시간과 정도(time & degree)에 대한 감각이 다르고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정상적으로 정서가 얕고 불안하다. 뿐만 아니라 학령기전 까지는 현실판단력이 부족하고 자기중심적이어서 논리적 사고과정을 통해서는 심리적 고통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부인(denial)을 주된 방어기전으로 사용하여 우울증상은 대체로 일시적이기가 쉽다. 그러나 점차 나이가 들어 후기 아동기가 되면 내적 경험에 대하여 숙고하는 능력이 생기고 정서조절면에서도 상호작용에 의한 의존상태에서 벗어나서 개인 내적인 조절단계로 이행하므로 성인의 우울증과 비슷함 임상양상을 보이게 된다. 지금까지, 소아기 우울증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고, 이것이 성인기 우울증과 상관관계가 있는지의 여부, 그리고 이것이 성격형성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점으로 남아 있으나, 소아기 우울증이 상당히 오랜 기간후에도 지속되었다는 일부 보고를 고려한다면 이에 대한 조기 인식은 예방이라는 차원에서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소아기 우울증의 개관과 발달적 관점에서 소아기의 우울증상을 살펴 봄으로써 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 PDF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부부갈등과 양육행동간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 of Young Children's Fathers)

  • 이형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237-244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여 부부갈등과 우울, 양육행동의 관련성과 더불어 부부갈등, 우울, 양육행동이 관련되는 과정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아버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우울, 양육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 부부갈등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우울은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구조모형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부부갈등은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우울을 통해 양육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버지의 부부갈등이 우울을 통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부부갈등과 우울, 양육행동의 관련성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무조건적 자기수용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signing and Application of th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Development Program)

  • 김사라형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5호
    • /
    • pp.161-17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ise a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Development Program and examine the efficacy of the program on alleviating children's depression and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In order to test the efficacy of the developed program,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 Hewitt & Flett, 1991),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Questionnaire (USAQ; Chamberalain & Haaga, 2001),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Kovacs & Beck, 1977),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Seng Hee Lee, 1999) were used for pre- and post tests.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tests. Twel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ffering from depression participated in eight sessions of th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Development Program, and then were compared with 13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the treatment. The result was as follows: the treatment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alleviated level of depression, and increased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development program should be adopted as a new therapy program for children's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초.중.고 특수교육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스트레스, 우울 및 수면 (The Subjective Stress, Depression, and Sleeping of Mothers with Children in Speci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Middle and High School)

  • 김현숙;최정분;조미연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1-78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stress, depression and sleeping of mothers with children who have received the speci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depression and sleeping. It will be provided as th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Method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November 18th to November 27th, 2009 through questionnaire about the stress, the depression and the sleeping.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were 94 mothers with children who have received the speci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iddle and high school. Results: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 of the mothers; correlation between the stress and the depression;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stress and the sleeping; and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depression and the sleeping significantly in statistics (p<.001). Mother group in elementary school has mild depression and the other variables in all groups of mothers are included in normal rang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o the comparative study for stress, depression and sleeping of mothers with children who have received the speci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iddle and high school and to make the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optimize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reducing depression for the subjects.

COVID-19 발생 상황에서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불안, 우울과 삶의 질의 관련성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during COVID-19)

  • 김웅희;이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35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COVID-19 발생 상황에서 장애아동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불안, 우울과 삶의 질을 알아보고 이에 따라 스트레스, 불안, 우울과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22년 2월 21일부터 3월 21일까지 경상지역 3개의 광역도시에 소재한 장애인 복지관, 재활병원, 아동발달센터에서 치료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만 13세 미만 장애아동 자녀를 둔 부모 24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불안, 우울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삶의 질은 스트레스, 불안, 우울과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장애아동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결과 스트레스는 교육 수준, 월 소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불안은 자녀양육시간, 교육 수준, 직업 유무, 교통수단, 월 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우울과 삶의 질은 자녀양육시간, 교육 수준, 직업 유무, 월 소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장애아동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불안, 우울과 삶의 질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장애아동의 사회적 거리두기 및 방역수칙은 장애아동의 교육과 치료의 기회를 제한시켰고 이로 인해 다양한 어려움을 가지는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의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에 미친 영향을 고려해 볼 수 있다. COVID-19 발생 상황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재난 상황을 대비하여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불안, 우울을 관리하고 삶의 질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지원 서비스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학동기 소아에서 반복성 복통과 우울 성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Recurrent Abdominal Pain and Depressive Trends in School-Aged Children)

  • 안영준;문경래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5권2호
    • /
    • pp.166-173
    • /
    • 2002
  • 정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으로, 정확한 원인을 발견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또한 반복성 복통이 학동기 아동에 있어 사회적, 정신적 발달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반복성 복통과 정서적인 문제중 하나인 우울성향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광주시내 2개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1,181명, 남아 566명, 여아 615명을 대상으로 반복성 복통의 유형을 평가하였으며, 우울의 정도는 한국판 Kovacs & Beck의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설문지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1) 반복성 복통의 빈도는 총 265명(22.4%)이며 남아 107명(18.9%), 여아 158명(25.7%)으로 여아에서 의미 있게 높았고,연령별로 9세 19.8%, 10세 21.2%, 11세 26.1%, 12세 19.1%였다. 2) 반복성 복통군에서 평균 우울점수가 대조군에서 높았다. 3) 반복성 복통군에서 복통이 자주 있을수록, 다른 증상을 동반한 경우 우울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4) 복통은 배꼽주위가 가장 많았고, 복통 양상이 쥐어 짜는 듯한, 화끈거리는 통증이 있는 경우에 우울점수가 의의 있게 높았다. 5) 반복성 복통군에서 아이의 성격이 혼자 놀기를 좋아하거나, 학교가기를 싫어하거나, 친구가 적은 경우의 우울점수가 성격이 활발하거나, 친구가 많거나, 꼼꼼한 경우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6) 반복성 복통군에서 복통의 지속시간, 하루 중 복통의 발현시기 및 요일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초등학교 아동에서 반복성 복통은 높은 유병율을 보이며, 우울점수가 대조군보다 높아 우울증과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그러므로 학동기의 반복성 복통의 적절한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며 치료시 정서적, 심리적 지지요법을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외모 스트레스가 아동과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성역할 정체감 및 우울감을 매개 변인으로 (The Effects of Appearance Stress on Children and Adolescents' Self-Esteem: Mediating Variables of Sex-Role Identity and Depression)

  • 조윤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8호
    • /
    • pp.87-99
    • /
    • 2009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self-esteem influencing variables such as appearance stress, sex-role identity, and depression, in order to assess self-esteem standard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t also investigated mediating effects of sex-role identity and depression on self-esteem. The study subjects were 2,511 elementary students and 2,958 middle school students, selected using the Korea Adolescence Panel Data. The data collected from interviews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appearance stress and depression of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male students. However, sex-role identity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ose of female students. Difference in self-estee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P > 0.05). Secondly, appearance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sex-role identity and depression, but negatively correlated to selfesteem. Thirdly, sex-role identity and depression had a mediating affect on self-esteem. Finally, variables affecting self-esteem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appearance stress, men-role identity, and depression. In addition to these variables, women-role identity was a major factor for female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