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검색결과 722건 처리시간 0.024초

뇌졸중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작업대 높이가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Study on How the Height of the Table Influences of the Functional Ability Perfomence to Patients Group with Stroke)

  • 유영열;김희수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9-15
    • /
    • 2009
  • Our study goal is to find out how the table height influences functional ability of upper extremity to patients with stroke when they are having therapy. In this study, we tested forty patients with stroke at the age of over sixty-five who do not have visual, auditory disability and have no difficulty in communicating and moving things by using upper extremity. And they were able to pinch grip in hospital. We used occupational table for occupational therapy as Lab Materials. We also used cube and pegs board to test upper extremity functional ability. We used occupational table for occupational therapy as Lab Materials and we used cube and pegs board to test upper extremity functional ability. The method is that we measured the recommended table height that takes the subjects' size into consideration and patients' preferred table height and therapists' preferred table height and we applied them and then we have done a comparative analysis and set significance level(p<0.05). As the result, we fou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recommended height and the other two, which are patients' preferred height and therapists' preferred height. We also discovered that functional ability of upper extremity varies significantly depending on each table height. We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table height had effects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al ability of patients with stroke who are over sixty-five years old. It is therefore considered that the proper table height is important to improve upper extremity functional ability of patients with stroke for their physical therapy.

뇌졸중 이후 운전 시뮬레이터와 Dynavision 훈련이 인지 및 운전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ng Effects of Driving Simulator and Dynavision Training on Cognitive Ability and Driving Performance After Stroke)

  • 최성열;이재신;김수경;차태현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27-143
    • /
    • 2018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에게 운전 시뮬레이터와 Dynavision 훈련의 효과를 인지 평가와 주행 중 운전수행 능력 평가를 통해 비교하고, 두 가지 훈련방법의 차이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뇌졸중 환자 21명을 선정하여 무작위로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 집단(N=11)과 Dynavision 훈련 집단(N=10)으로 분류하고 각각 15회기의 훈련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주행 중 운전수행 능력 측정을 위해 운전 시뮬레이터 시나리오 시스템 평가를 실시하였고, 인지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riveABLE Cognitive Assessment Tool(DCAT), Trail Making Test-A, Trail Making Test-B 그리고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 집단은 모든 인지 능력평가와 대부분 운전수행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확인되었다. Dynavision 훈련 집단은 Trail Making Test-A를 제외한 모든 인지 능력 평가와 브레이크 페달 반응시간, 중앙선 침범 평균 시간 및 비율, 차선이탈 비율의 운전수행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다. 그리고 두 가지 훈련의 변화량은 도로주행평가의 결과 예측 지수와, 충돌사고 및 위험상황 발생 횟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 변수들의 변화량은 두 가지 훈련방법의 적용 차이에 따라 모든 변수가 20% 이상의 인과적 영향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운전훈련 방법으로 운전 시뮬레이터와 Dynavision 훈련은 모두 효과적인 중재방법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운전 시뮬레이터는 뇌졸중 환자의 운전수행 능력 전반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훈련이며, Dynavision 훈련과는 20%의 설명력으로 훈련효과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The Occupational Stress According to the Gender, Employee Type, Medical Facility, and the Treatment Field in Physical Therapists

  • Kim, Gyoung-Mo;Kim, In-Seop;Choi, Jae-Che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93-197
    • /
    • 2020
  •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의 성별, 고용형태, 의료기관 및 치료분야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조사하고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을 활용하여 직무스트레스를 비교한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오직 성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고용형태, 의료기관 및 치료분야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7항목 중에서 직무요구에 대한 점수가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물리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참고치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물리치료사들의 적절한 직무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적절한 직무요구와 직무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직무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수공예 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불안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rt and Craft Activities on Anxiety and Stress of Stroke Patients)

  • 김지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251-258
    • /
    • 2019
  • 본 연구는 수공예 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불안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에 포함되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수공예 활동을 중재한 실험군 9명,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중재한 대조군 9명으로 나누어 30분씩, 주 3회, 총 8주에 걸쳐 중재를 실시하였다. 수공예 활동은 작업치료 전문가 집단의 인터뷰를 통하여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불안, 스트레스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수공예 활동은 뇌졸중 환자의 불안과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되리라 사료된다.

신경근 통합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체력 및 일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 Neuromuscular Integration Exercise Program for the Health Promotion on Physical Strength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 김희라;김명준;서병도;박래준;허진강;양영애;김희완;윤태형;김윤신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301-312
    • /
    • 201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xercisely the effects of applying an Integrated Exercise Program (IEP) with the adapted use of Thera-Band exercise sets to Korean seniors on their improvement in their physical strength (PS), daily living ability (ADL and IDAL). Methods : The Exercise group consisted of 30 Korean seniors of 65 years of age or older, while the control group had another 30 Korean seniors with comparable aging. The Exercise group received the IEP for 50 to 60 minutes per session, three sessions per week, for a duration of consecutive 12 weeks. Results : This confirms the beneficial effects of the IEP on their MA and PS, and their improvement in PS (p<.05), in turn, can improve their IADL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potentialities for IEP to help Korean seniors of 65 years or older to improve their PS, ADL and IADL. Conclusion : The IEP is within the physical and financial capabilities of Korean seniors, can be designed and modified and adjusted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physiological conditions. Sustained, regular exercises under IEP are expected to help resolve physiological issues of aging of Korean seniors.

재난 및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에 대한 작업치료 전공자의 인식조사 (Awareness of disaster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 홍영호;조수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539-547
    • /
    • 2017
  • 본 연구는 작업치료를 전공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재난 및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향후 작업치료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전국에 있는 3년제와 4년제 대학의 작업치료과 재학생 545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결과는 SPSS 19.0 wi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을 통해 빈도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분석된 설문자료의 검증을 위하여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설문항에 대한 Cronbach'alpha는 0.891이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작업치료를 전공으로 하고 있는 학습자의 약 20%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증상 및 발생기전 그리고 진단기준에 대해서 인지하지 못하였다. 산업재해를 통해 신체적인 손상뿐 아니라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와 같은 정신적인 증상을 초래하는 근본적인 이유에 대한 지식은 Likert 5점 척도로 2.92로 충분하지 못했다. 재활치료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작업치료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 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Likert 5점 척도로 3.90으로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재난에 대한 인지도간의 상관성보다 재난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Pearson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편측무시 유무에 따른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비교 (Effec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Mirror Therapy on Patients Who Have a Stroke, with or without Unilateral Neglect)

  • 이슬아;김희정;홍기훈;이춘엽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3-45
    • /
    • 2014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 중에서 편측무시가 있는 군과 없는 군 각각에 대해 4주간의 거울치료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거울치료를 통하여 상지의 기능 향상과 일상생활동작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창원시 C병원에 입원하여 작업치료를 받는 성인 편마비 환자로써 편측무시가 있는 환자 10명, 편측무시가 없는 환자 10명, 총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치료사와 1:1로 30분씩 주5회 총 4주간 걸쳐 거울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편측무시 유무를 확인하고 거울치료 중재 전, 후 비교를 위해 알버트 검사를 사용하였다. 상지기능평가로써 Fugl-Meyer motor function Assessment(FMA), Box & Block Test(BBT)을 사용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평가는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를 사용하였다. 결과 : 거울치료는 편측무시를 가진 뇌졸중 환자에게 효과가 있었다(p<.05). 또한 뇌졸중환자의 편측무시 유무에 관계없이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효과가 있었다(p<.05). 결론 :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편측무시 증상을 가지고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서도 편측무시 감소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거울치료는 편측무시 감소를 보일 뿐만 아니라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인 회복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치료방법으로써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화장실 안전손잡이 위치에 따른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비교 (A Comparison of Sit-to-Stand Performance Based on Toilet Grab Bar Positions)

  • 정현애;손유나;이지훈;김희동
    • PNF and Movement
    • /
    • 제17권2호
    • /
    • pp.275-282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positions of safety grab bars for effective sit-to-stand (STS) movement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STS movement while using a safety grab bar installed under two different conditions: the height of the grab bar installation was determined by (1) the Building Act and (2) the principle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Methods: A total of 50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required to perform an STS movement twice under each condition. A baropodometric platform for sitting and a Biorescue (RM Ingenierie, France) were used to collect and analyze changes in the center of pressure (COP)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efore and after performing the STS movement. The average completion time for the STS movement was also measured for analysis. Moreover,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express their individual subjective preferences regarding the two positions of the grab bars. Results: The COP changes were significantly smaller when performing the STS movement with the grab bar installed at the height determined by the PNF principle than the Building Act (p<0.01), and the difference in the completion time of the STS move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wo condition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rinciple of PNF can be useful for planning therapeutic exercise as well as for proposing the optimal grab bar position for older adults and those with health-related issues when performing the STS movement. In addition, this may serve as a basic rehabilitation technique for maintaining remaining functions and providing functional efficiency.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ip Pinch Strength Measurement on a Paretic Hand Rehabilitation Device

  • Kim, Jung-Yeon;Cha, Ye-Rin;Lee, Sang-Heon;Jung, Bong-Ke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2호
    • /
    • pp.1201-1216
    • /
    • 2017
  • In this study, we described the development of a methodology to measure tip-pinch strength on the paretic hand rehabilitation device and aimed to investigate reliability of the device. FSR sensors were embedded on the device, and tip pinch strength was estimated with data collected from the sensors using a developed equation while participants were demonstrating tip pinch. Reliability tests included inter-rater, test-retest, and inter-instrument reliability. B&L Engineering pinch gauge was utilized for the comparison. Thirty-seven health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Both inter-rater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excellent a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s) were greater than 0.9 (p<0.01).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p-pinch strengths. Inter-instrument reliability analysis confirmed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two instruments (r = 0.88, p < 0.01).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wo instruments are not interchangeable. However, the tip-pinch mechanism used in the paretic hand rehabilitation device is reliable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tip pinch strength in clinical environment and can provides a parameter that monitors changes in the hand functions.

The Effects of Virtual Upper Extremity Training Using the RAPAEL Smart Glove on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 in Stroke Survivors -A Single Group Study-

  • Song, Chiang-Soon;Lim, Jae-Heon;Jeon, Byeong-Hyeon;Lee, Hye-Sun
    • PNF and Movement
    • /
    • 제17권2호
    • /
    • pp.199-206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virtual upper extremity training program using the RAPAEL Smart Glov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survivors with chronic hemiparesis and to focus the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using the Smart Glove as a feasibility stud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ingle group and pre-post test research design in the outpatient departments of local rehabilitation units. Ten chronic hemiparetic stroke survivors with a diagnosis of first stroke received therapeutic rehabilitation at the rehabilitation units. All the participants used a virtual reality program with the RAPAEL Smart Glove for 30 minutes per session 3 days a week over 8 weeks. They also received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40 minutes per session 3 days a week for 8 weeks as an additional therapy. To analyze the effects of this therapeutic intervention, four clinical measures, including the box-block test (BBT), the Wolf motor function test (WMFT), the trail-making score, the Jebsen Taylor hand function test (JTHFT), and grip strength, were used. Results: Upon completion of the intervention in week 8, all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significant WMFT, JTT, BBT, grip strength, and trail-making score gains compared to the respective baselines at week 0.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virtual upper extremity training using the RAPAEL Smart Glove has a reasonable and beneficial effects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chronic hemiparetic stroke surviv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