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m storage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5초

댐 유입량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저수량의 확률론적 예측 (Probabilistic prediction of reservoir storage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dam inflow)

  • 권민성;박동혁;전경수;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7호
    • /
    • pp.607-614
    • /
    • 2016
  • 가뭄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시기적절한 용수관리와 지역주민의 절수 유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가뭄의 현황 및 전망에 대한 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생 공용수를 공급하는 다목적댐의 경우 저수량에 대한 향후 전망은 용수관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정보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핵밀도함수를 활용하여 유입량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확률론적 저수량 예측 모형을 구축하고, 그 적용성과 활용성을 분석하였다. 확률론적 저수량 예측 모형은 현재의 저수량을 기준으로 시간의 변화에 따른 저수량을 확률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재의 가뭄상황에서 향후 저수량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여 중장기적인 대응이 가능하고 특정시점의 목표 저수량을 달성하기 위한 용수 비축량을 산정할 수 있어 용수관리에 관한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하수 모델링을 통한 지하수댐 건설 효과 분석 (Analyzing the Effect of Groundwater Dam Construction Using Groundwater Modeling)

  • 김지욱;임경남;박현진;이보경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8권3호
    • /
    • pp.11-22
    • /
    • 2013
  • SEAWAT, a linked modeling program of Visual MODFLOW was used to analyze the change in groundwater levels and salinity related groundwater dam construction in Cheongsan island, Wando-Gun, Jeollanam-Do. The steady-state model results show the groundwater flow and salinity distribution of the studied area. The groundwater flows from north-west and south-east highlands into the river,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basin, and is eventually discharged to the ocean. Part of the sea water infiltrates into the river; and through the estuary's alluvium aquifer, the sea water intrusion takes place spreading to about 830 m from the ocean. The transient model results show that after the groundwater dam construction, groundwater levels will rise to a maximum of 2.0 m upstream, and the groundwater storage will increase 21,000 after 10 years. Meanwhile 31% of the total area affected by sea water intrusion will decrease. To conclude, the groundwater dam is a very useful method for a secure water resource in preparation for drought and water shortages in the island regions.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상수도 시설 적응형 관리의 필요성: 2008-2009 광동댐 취수 제한 사례 연구 (Adaptive Management of Water Supply Systems to Deal with Climate Changes: A Gwangdong Dam Case Study)

  • 이상은;최동진;박희경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83-598
    • /
    • 2009
  • From the engineering standpoint, this study puts a special emphasis on application of adaptive management. To do this, we analyze the recent issue about water scarcity of the Gwangdong dam. Using the system dynamics model, we defined the system including water balance in the dam, dam manager's operation rules, regional water supply and local water distribution, and customer damage. It was expected that the model is useful to explain the real case, and also water scarcity of Gwangdong led to total damage of about 2.56 billion won, mainly to customers in the Taebaeck city. Two adaptive management options (i.e., optimal allocation of limited water resources, and early control of dam storage) were applied to the model in order to examine whether adaptive management is effective to mitigate the damage, it is concluded that the case study could largely reduce or entirely avoid the damage with adaptive engineering options.

대청댐 방류에 따른 금강 하류부의 홍수추적 (A Flood Routing for the Downstream of the Kum River Basin due to the Teachong Dam Discharge)

  • 박봉진;강권수;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131-141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저류함수법과 Loopnet(부정류해석모형) 모형으로 홍수예측 시스템을 구성하여 대청댐의 방루에 따른 하류지역의 홍수영향을 에측하여 보았다. 대청댐 하류부에 지역빈도 분석방법(L-모멘트)으로 강우량을 산정하고, 홍수예측시스템으로 금강 하류부의 홍수추적을 실시하여 빈도별 홍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대청댐의 방류에 따른 금강 하루 주요지점의 홍수량, 홍수위 및 방류량 도달시간을 산정하여 홍수발생시 대청댐 운영의 지표포 활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GRACE 월별 중력장모델을 이용한 양자강유역 및 삼협댐 지역 저수량 변화 분석 (Analysis of Water Storage Variation in Yangtze River Basin and Three Gorges Dam Area using GRACE Monthly Gravity Field Model)

  • 황학;윤홍식;이동하;정태준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75-384
    • /
    • 2009
  • 2002년 3월에 발사되어 현재까지 임무 수행중인 GRACE위성의 관측자료는 극지방 빙하의 융해, 빙하 지각균형 조정, 해수면 변화, 하천유역의 저수량변화, 대규모 지진 등 지구시스템의 질량재분배에 대한 연구에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RACE위성의 Level-2 월별 중력장 모델을 이용하여 2002년 8월부터 2009년 1월 사이 양자강유역의 육지저수량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특히는 2003년, 2006년 및 2008년에 수행된 삼협댐의 3단계 저수과정에 의한 삼협댐 지역에서의 중력변화를 등가수분두께로 계산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연구기간 내의 양자강유역은 뚜렷한 연변화와 계절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연변화의 진폭은 2.3cm로 계산되었다. 또한, 실제 수자원통계자료 및 수문관측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GRACE위성자료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향후 위성중력자료를 이용하여 하천유역 내에서의 물의 이동 및 주기적인 변화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앙상블 칼만필터를 연계한 추계학적 연속형 저류함수모형 (II) : - 적용 및 검증 - (Stochastic Continuous Storage Function Model with Ensemble Kalman Filtering (II) : Application and Verification)

  • 이병주;배덕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11호
    • /
    • pp.963-97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앙상블 칼만필터 기법과 연속형 저류함수모형을 연계하여 개발한 추계학적 연속형 저류함수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는데 있다. 대상유역은 안동댐과 임하댐을 포함하는 지보 수위관측소 상류유역을 선정하였으며 2006년과 2007년 홍수기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확정론적 모형을 적용한 결과 장기간의 모의기간에 대해 유출해석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앙상블 칼만필터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Monte Carlo 모의기법을 적용하여 모형입력자료와 매개변수들에 대해 앙상블 멤버를 생성하였다. 추계학적 모형과 확정론적 모형의 누적절대오차를 비교한 결과 안동댐과 임하댐의 2007년 사상에서 각각 17.5 %와 18.3 %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지보수위관측소에서는 40 % 이상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관측유량과의 오차가 큰 모의결과에 있어서는 추계학적 모형이 보다 향상된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요인분석 통계기법을 이용한 댐 운영에 대한 영향 요인 추출 (Extraction of Primary Factors Influencing Dam Operation Using Factor Analysis)

  • 강민구;정찬용;이광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10호
    • /
    • pp.769-781
    • /
    • 2007
  • 요인분석은 시스템이나 현상에 대한 정보를 하고 관련 자료를 축약하는데 사용되는 다변량 분석기법의 하나이다. 이 기법은 변수들을 통계적 특성을 고려하여 몇 개의 요인들로 그룹화하고 분석결과는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변수를 제거하는데 이용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요인분석을 한강수계의 댐 군 연계운영에 대한 영향요인 추출에 적용하였다. 한강 수계에는 소양강댐, 충주댐과 같은 2개의 다목적 댐이 있으며, 이들은 이수기에 연계 운영되어 하류로 용수를 공급하고 발전을 실시하고 있다. 요인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먼저 댐 운영에 관련된 자료(변수)들을 5개의 대분류(유입량, 용수수요량, 발전량, 저류량, 과거 운영 실적)로 나누어 수집하였다. 통계적 특성을 고려하여 수집된 변수 중에서 13개와 15개의 변수가 각각 선정되어 5개의 요인(소양강댐: 수문조건, 과거 댐 운영, 평수기 댐운영, 저류량 관리, 하류 댐 운영; 충주댐: 수문조건, 과거 댐 운영, 평수기 댐 운영, 용수수요, 하류 댐 운영)으로 분류되었다. 요인분석 결과의 적절성과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선정된 요인들을 설명변수로 이용하여 소양강댐과 충주댐의 연간 발전량을 예측하는 다중회귀모형을 개발하여 결과의 적용성을 평가하였으며, 댐군 운영에 사용된 목적함수들의 구성항목들과 비교하여 요인선정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두 가지 고찰 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적용된 요인 추출방법이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추출된 요인들은 미래 상황과 과거 결과를 고려한 댐 운영 계획 수립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분뇨내 악취물질 발생량을 감소 시켰다. 운전 중 전체 공정은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단계 막분리 공정을 통한 배가스에서 $CO_2$를 성공적으로 분리할 수 있었다.(AFM)과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을 통해 관찰한 GST 다층박막시료의 고온 열처리 전후 표면미시거칠기 변화도 PRAM 기록기를 사용할 때에는 in-situ 타원계를 사용할 때보다 1/10 정도의 크기를 보여주어 PRAM 기록기와 분광타원계를 사용하여 결정한 GST의 고온광학물성의 신뢰성을 확인하여 주었다.>, 여자 $179.1{\pm}37.2%$이었다. 평균필요량에 비해 가장 낮은 양을 섭취한 영양소는 엽산으로서 남자 $60.1{\pm}10.8%$, 여자 $54.6{\pm}9.9%$로 조사되었다. 칼슘의 섭취량은 평균필요량에 비해 전체 $74.9{\pm}31.9%$로 나타났다. 에너지 섭취량에 있어서 남자 노인들은 모두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을 섭취하고 있었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도 97%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을 섭취하여 에너지 섭취량이 매우 낮았다 반면에 단백질 섭취량에 있어서는 남자 노인의 경우 100%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였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는 91%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여 대조적이었다. 비타민 A와 E는 각각 평균필요량과 충분섭취량의 125%를 초과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에 비타민 $B_2$

수위가 변동하는 휠댐의 안정성 해석(I) (Seepage Analysis of Rock -fill Dam Subjected to Water Level Fluctuation)

  • 이대수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2권6호
    • /
    • pp.65-78
    • /
    • 1996
  • 한반도 중부지역에 위치한 청평양수발전소의 상부저수지는 준공후 16년이 경과한 사력댐으로 매일 수위 상승 및 저하를 경험하므로써, 제체의 거동이 일반 댐과는 달리 여러 가지 지반공학적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침투류에 대한 안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심벽만을 대상으로 하여 저수지의 수위변동을 고수위 및 저수위의 두 경우로 고정시킨 정상상태의 해석을 주로 사용함에 따라 임의의 시간에서의 전체적인 침투현상 규명이 어려웠으나, 본 연구에서는 수위변동을 경계조건에 반영한 2차원 비정상류 유한요소해석을 댐 전체단면을 대상으로 수행하여 정상상태의 해석과 비교하였으며, 수위 변동에 따라 해당시간에서의 동수 경사, 침투력 벡타, 간극수압 등을 정량적으로 규명하였고, 산정된 침투수량을 계측치와 비필하였다. 그 결과 본 댐은 파이핑, 내부 침식 또는 제체 내부로의 투수 등에 대하여 안전하다고 판단된다.

  • PDF

저수지 수위 정밀 측정에 의한 댐 유입량 자료 개선 (Improvement of Inflow Estimation Data by Precise Measurement of Water Level in Reservoir)

  • 박지창;김남;류경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09-314
    • /
    • 2009
  • A accurate reservoir inflow is very important as providing information for decision making about the water balance and the flood control, as well as for dam safety. The methods to calculate the inflow were divided by the directed method to measure streamflow from upstream reservoirs and the indirected method to estimate using the correlation of reservoir water level and release. Currently, the inflow of multi-purpose dam is being calculated by the indirect method and the reservoir water level to calculate the storage capacity is being used by centimeters(cm) units.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volume of 1cm according to scale and water level of multi-purpose dam comes up to from several 10 thousand tons to several million tons. If it converts to inflow during 1 hour, and it comes to several hundred $m^3/sec$(CMS). Therefore, the inflow calculated on the hourly is largely deviated along the water level changes and is occurred minus value as the case. In this research, the water level gage has been developed so that it can measure a accurate water level for the improvement for the error and derivation of inflow, even though there might be various hydrology and meteorologic considerations to analyse the water balance of reservoir. Also, it is confirmed that the error and the standard derivation of data observed by the new gage is decreased by 89,6% and 1/3 & 87% and 2/3 compared to that observed by the existing gage of Daecheong and Juam multi-purpose d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