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yber infrastructure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32초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사이버 아파트 구축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Trends of Cyber Apartment for Vitalizing Communities)

  • 성문희;최진원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 /
    • pp.109-114
    • /
    • 2003
  • Fast economic growth resulted in fast industrialization and metropolitanization. At that time, housing was supplied in large quantity, and the apartment became a dominant type of housing in Korea It is partly due to the high population density. But, large quantity supply of apartments caused a lot of problems.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s decomposition of traditional communities. As interest about quality of life grows since the 90's, the recovery of communities is getting an import assignment that should be solved. Architects investigate ways of arrangement and community facilities planning. off-line Communities might be substituted by or supported with cyber communities through the use of IT technology. The construction of cyber apartment is getting popular by the governmental incentive in 1999. At first, the infrastructure has been constructed, and then the current emphasis in on forming the information community to provide various service.

  • PDF

인터넷 침해유형과 대응조직 (Cyber Attack Type and CERT)

  • 우성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11-914
    • /
    • 2014
  • 인터넷이 우리의 생활의 기본 인프라로 자리 잡고 사이버 공간에서의 생활이 일상화되면서 부가적인 많은 문제점들이 생겨났다. 그 중 사이버 침해는 정보사회의 가장 심각한 문제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해마다 증가하는 사이버공격, 지능화되고 진화하는 공격 유형 등으로 사이버 생태계가 더 복잡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인터넷 침해 사고 현황과 인터넷 침해 유형 및 해킹방법을 분석하고 국내 대응 조직 및 국제 협의체 현황을 분석하였다.

  • PDF

사이버 안보에 대한 국가정보기구의 책무와 방향성에 대한 고찰 (A Study about the Direction and Responsibility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Agency to the Cyber Security Issues)

  • 한희원
    • 시큐리티연구
    • /
    • 제39호
    • /
    • pp.319-353
    • /
    • 2014
  • 2001년 9/11 테러공격 이후에 미국은 사이버 안보를 가장 위중한 국가안보 문제로 인식한다. 미국 국방부는 2013년 처음으로 사이버 전쟁이 물리적인 테러보다 더 큰 국가안보 위협임을 확인했다. 단적으로 윌리암 린(William J. Lynn) 국방부 차관의 지적처럼 오늘날 사이버 공간은 육지, 바다, 하늘, 우주 다음의 '제5의 전장(the fifth domain of warfare)'이라고 함에 의문이 없다. 인터넷의 활용과 급속한 보급은 사이버 공간에서의 상상하지 못했던 역기능을 창출한 것이다. 이에 사이버 정보와 사이버 네트워크 보호까지를 포괄하지 않으면 국가안보 수호의 목표를 달성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각국은 운영상의 효율성과 편리성, 국제교류 등 외부세계와의 교류확대를 위해 국가기간망의 네트워크화를 더욱 확대해 가고 있고 인터넷에의 의존도는 심화되고 있다. 하지만 그 실천적인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법제도적 장치와 사이버 안전에 대한 인식수준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오늘날 가장 실천적이고 현실적인 위협을 제기하는 사이버 안보의 핵심은 하나도 둘도 계획의 구체성과 실천력의 배양이다. 대책회의나 교육 등은 부차적이다. 실전적인 사이버 사령부와 사이버 정보기구 그리고 사이버 전사의 창설과 육성에 더 커다란 노력을 경주해야 하고, 우리의 경우에는 가장 많은 경험을 가지고 인력과 장비를 가진 국가정보원의 사이버 수호 역량을 고양하고 더 많은 책무를 부담시키고 합리적인 업무 감독을 다하는 것에 있다고 할 것이다. 이에 본고는 법규범적으로 치안질서와 별개 개념으로서의 국가안보에 대한 무한책임기구인 국가정보기구의 사이버 안보에 대한 책무와 그에 더하여 필요한 사이버 정보활동과 유관활동의 범위를 검토하고자 한다. 사이버 테러와 사이버 공격을 포괄한 사이버 공격(Cyber Attack)에 대한 이해와 전자기장을 물리적으로 장악하는 전자전에 대한 연구도 포함한다.

  • PDF

Cyber Insurance and Distribution Channels

  • Kwak, Young-Arm;Cho, Young-Sa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5호
    • /
    • pp.61-70
    • /
    • 2018
  • Purpose - These days, an individual user, private entity, hears everyday news of hacking and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in the era of a most-connected society. This study investigates cyber attack, cyber insurance and distribution channels for insurance goods in South Korea by analyzing various cases of cyber attacks in domestic and overseas cas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adopted various study cases instead of the one large case for deep quality analysis, and focused on various cases of domestic and overseas cyber attacks with insurance. Result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ses that were hacked, types of massive losses and damages arising out of internet blackout due to cyber risks are paralyzation of public and private website and portal, electronic administrative system, public infrastructure, and consequently a normal operation of nation is impossible. These losses and damages however can be coverable under cyber insurance. Conclusions - This paper suggests insurance carriers, as suppliers, should provide multiple channels to sell to the customer and should expand the strategy of advertisement and promotion in order for them to change their mind and compare the price and value of the information of individual users and private entity in view of cost savings.

국가 사이버재난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 (A Method of Establishing the National Cyber Disaster Management System)

  • 김상욱;신용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7권5호
    • /
    • pp.351-362
    • /
    • 2010
  • 우리나라는 IT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인터넷의 급속적인 보급으로 인해 국가 정보화의 기반 인프라가 매우 잘되어 있지만 주변 강대국들의 위협 속에 사이버테러의 위협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전 세계적으로 사이버전(戰)의 위협도 가속화 되고 있다. 지식 정보화 사회에 대한 사이버 공격은 산업과 경제활동은 물론 국가 안위를 근본적으로 위협하는 요인이 된다. 이미 해외 주요 국가들은 한 번의 사이버 공격으로도 국가 안보에 구멍이 뚫려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음을 인식하고, 사이버 공간에서 자국민이 안심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안정성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여 추진 중에 있다.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자연적, 환경적 재난의 위협도 증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나 필리핀처럼 쓰나미, 태풍, 지진 동 온갖 자연재해가 수시로 발생하는 국가는 사전 예방과 사후 복구 동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재난관리시스템이 구축되어 이에 대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사이버테러 위협으로부터 사전 예방과 사후 복구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국가차원의 사이버 재난관리(Cyber Disaster Management)에 대한 시스템 구축이 절실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해외 주요국의 사이버 안보정책을 분석하여 국가차원의 사이버 재난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한다.

대북 사이버 안보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 사이버전 대비를 중심으로 (A Plan for Strengthening Cyber Security Capability toward North Korea: focusing on the Preparation of Cyber Warfare)

  • 김호중;김종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23-132
    • /
    • 2018
  • 북한의 사이버 전력은 대부분 사회기반과 첨단무기체계 운용시스템이 네트워크로 구축되어 있는 한국에게는 심각한 안보적 위협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대북 사이버 안보역량 강화를 위해 한국정부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북한의 대남 사이버 공격 사례를 위협 유형과 목적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극적인 사이버 방호 및 공격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국가차원에서 총괄할 수 있는 통합적 사이버 안보 컨트롤타워를 구축하는 것이다. 셋째, 국내 사이버 관련 법제정이 필요하다. 넷째, 다자간 지역 내 사이버협력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런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북한의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평시 피해를 최소화하고 유사시 완전한 전쟁수행을 위해 한국은 사이버 안보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 PDF

사이버교육을 위한 기반구조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the Template System for Cyber Education)

  • 허미영;이종화;김용진;진병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2B호
    • /
    • pp.2225-2232
    • /
    • 1999
  • 지식정보사회를 대비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구조로 사이버교육 시스템의 설계 원칙과 국제 표준화 그룹의 작업 결과를 반영하여 사이버교육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필요한 기능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사이버교육시스템의 기능이 교육 목적 및 적용 분야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고, 누구라도 쉽게 구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달된 정보 기술을 교육분야에 접목시켜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사이버교육 기반구조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시스템은 정규교육을 비롯하여 전문교육, 재교육, 평생교육, 사교육 등 다양한 정보화교육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설계된 사이버교육 기반구조 시스템의 활용환경, 구조, 설계기법, 기대효과 등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통합적 사이버 위기관리 체계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미국과 한국의 제도 및 정책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eed of Unified Cyber Crisis Management System:Around Comparison about Policies and Systems of USA and Korea)

  • 김민식;박상돈;권헌영;김일환;임종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9-37
    • /
    • 2009
  • 미국은 국토안보부에서 '국토안보법'에 근거하여 공공과 민간부문 전체에 걸쳐 사이버공격과 그로 인한 위기사태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들을 수행한다. 한국의 경우 공공분야와 민간분야에 따라 또는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여부에 따라 적용 법령 및 주관기관이 달라지는 형태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일원화된 사이버 위기관리 체계의 소개를 통해 우리나라 사이버 위기관리 체계 수립에 있어서 통합적이며 조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예방의 효율성과 대응의 적시성 등에 있어 바람직함을 일깨우고자 한다.

  • PDF

사이버보안 전문가 양성을 위한 연구 (The Research for Cyber Security Experts)

  • 김슬기;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137-1142
    • /
    • 2017
  • 사이버 해킹공격과 사이버테러는 국민 생활에 피해를 주고, 결국엔 국가 안보가 위협을 당하고 있다. 사이버 해킹공격으로 원자력 냉각시스템 설계도면이 유출되었으며, 청와대 홈페이지의 해킹, KBS 방송국 해킹 등 사이버사고가 발생하였다. 정보통신기반보호법,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이 사이버공격의 책임을 지우고 있으나, 새로운 기술로 무장한 해커의 공격을 막기는 어렵다. 본 논문은 사이버안보를 위한 사이버보안 전문가 양성을 연구한다. 사이버보안 전문가를 위한 지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웹 해킹, 시스템 해킹, 네트워크 해킹의 기술과 평가를 통해 사이버보안 전문가 자격증 제도를 도입한다. 사이버보안 전문가 자격증 운영과 취득방안에 관한 연구를 통해, 국가 사이버안보를 위한 사이버보안 전문가를 육성하는데 도움이 되고자한다.

공격 원점 타격을 위한 사이버 킬체인 전략 (Cyber kill chain strategy for hitting attacker origin)

  • 유재원;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199-2205
    • /
    • 2017
  • 현대 ICT 기술의 발달은, 국가와 사회에 인프라를 이용하여 사이버 세계를 구성하고 있다. 사이버 세계에서는 국경이 없다. 세계 각국들은 자국의 이익을 목적으로, 사이버 공격을 수행하고 있다. 사이버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서는 사이버 킬체인 전략이 필요하다. 사이버 공격을 방어하거나, 공격책임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공격 원점지의 파악이 중요하다. 공격 원점지에 대한 타격을 하기 위해서는, 전략적인 사이버 킬체인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격 원점지를 분석하는 연구를 한다. 그리고 공격 원점지 타격을 위한 사이버 킬체인을 분석한다. 공격 원점지 타격을 위한 효율적이고 맞춤형 사이버 킬체인 전략을 연구한다. 사이버 킬체인 전략은 비대칭 전력으로, 핵과 미사일의 위력을 대치할 수 있는 실용적인 전략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