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ved PSC bridg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초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 Precast PSC Curved Girder Bridge Constructed Using Multi-Tasking Formwork

  • Kim, Sung-Jae;Kim, Jang-Ho Jay;Yi, Seong-Tae;Noor, Norhazilan Bin Md;Kim, Sung-Chu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 /
    • 제10권sup3호
    • /
    • pp.1-17
    • /
    • 2016
  • Recently, advanced transit systems are being constructed to reduce traffic congestions in metropolitan areas. For these projects, curved bridges with various curvatures are required. Many curved bridges in the past were constructed using aesthetically unpleasant straight beams with curved slabs or expensive curved steel box girders with curved slabs. Therefore, many recent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develop less expensive and very safe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PSC) curved girder. One method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of a PSC curved girder is to use a reusable formwork that can easily be adjusted to change the curvature and length of a girder. A reusable and curvature/dimension adjustable formwork called Multi-tasking formwork is developed for constructing efficient precast PSC curved girders. With the Multi-tasking formwork, two 40 m precast PSC box girders with different curvatures were constructed to build a two-girder curved bridge for a static flexural test to evaluate its safety and serviceability performance. The static flexural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initial cracking load was 1400 kN, exceeding the design cracking load of 450 kN. Also, the code allowed deflection of 50 mm occurred at a load of 1800 kN, verifying the safety and serviceability of the precast PSC curved bridge constructed using the multi-tasking formwork.

곡선 PSC 사장교의 극한해석을 위한 개선된 하중제어법 (An Improved Load Control Strategy for the Ultimate Analysis of Curved Prestressed Concrete Cable-Stayed Bridge)

  • 최규천;이재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13
    • /
    • 2009
  • 이 논문에서는 복잡한 기하학적 형상과 비선형 특성들을 보이는 곡선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사장교의 극한거동을 안정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비선형 해법을 제시하였다. PSC 교량 구조물의 비선형 거동 및 극한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해법으로서 하중제어법(load control strategy)과 변위제어법(displacement control strategy)을 적용하였다. 콘크리트의 과다한 균열과 재료상태 및 케이블 장력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불평형력(unbalanced load)이 크게 변화하여 이들 두 해법으로 해를 구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한 대안으로서 불평형력을 적정한 비율로 감소시키면서 하중제어 법을 적용하여 해를 안정적으로 구해 나가는 불평형력 감쇠(scale-down of the unbalanced load)를 적용한 하중제어법을 제시하였다. PSC 거더교의 극한해석을 수행하여 불평형력 감쇠를 적용한 하중제어법의 정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곡선 PSC 사장교의 극한해석에 이 논문에서 제시한 비선형 해법을 적용하여 복잡한 비선형성으로 인해 해가 수렴하기 어려운 해석에도 이 해법이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대변위를 고려한 곡선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사장교의 비선형 해석 (Nonlinear Analysis of Curved Prestressed Concrete Cable-Stayed Bridge due to Large Deflection)

  • 이재석;최규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41-344
    • /
    • 2006
  • A study for the nonlinear analysis of segmentally erected curved PSC(prestressed concrete) cable-stayed bridge considering the effects due to large deflections is presented. Various case studies regarding the effects of the material nonlinearities and the geometric nonlinearities on the behavior of segmentally erected curved PSC cable-stayed bridge are conducted. The numerical results on the bridge which has relatively low stress profile through the bridge deck section like the example herein show that the geometric nonlinearities has more significant effects on the structural behavior than the material nonlinearities.

  • PDF

프리캐스트 PSC 중공 박스 곡선교의 설계변수에 관한 해석적 거동 평가 (Analytical Evaluation of Behavior of Precast PSC Box Curve Bridge Based on Design Variables)

  • 김성배;김성재;박정천;엄기하;김장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267-275
    • /
    • 2014
  • 최근 곡선교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 곡선 교량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PSC 곡선 주형을 이용한 곡선교에 대한 해석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프레임 요소를 이용한 격자해석방법으로는 PSC 곡선교에 대한 정밀해석이 어렵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PSC 곡선교의 정밀 유한 요소 해석을 실시하여 프리캐스트 PSC 곡선교의 설계를 위한 참고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3차원 솔리드 요소를 사용한 모델링을 실시하고, 거더 수, 하중 재하 위치, 단면 변화, 긴장력 변화 및 편긴장력 도입 여부와 같은 매개변수에 대한 거동을 평가하였다. 해석 결과 경간장 50 m 3주형 교량의 항복하중과 파괴 하중이 경간장 40 m 2주형 교량에 비해 200% 이상의 성능을 보였고, 외측거더에 하중을 가하였을 경우 도심의 위치에 따라 하중저항력 및 거더 간의 처짐 편차가 낮게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더 단면을 변화시킨 경우 단면의 증가에 따라 구조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PS도입량의 변화에 의한 효과에 비해 경제성과 시공성에서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PS 도입량 변화에 따른 영향을 분석한 결과 PS 도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솟음량과 하중저항력이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거더 간 처짐 편차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편긴장력을 도입하였을 시 도입량 증가에 비례하여 내외측 거더 모두에서 하중저항력이 증가하며, 특히 외측거더에 편긴장력이 도입되었을 때 더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PSC 곡선교의 경제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PSC 교량의 3차원 시공 중 해석기법을 위한 준적합 쉘 요소 개발 (Development of Quasi-Conforming Shell Element for the Three Dimensional Construction Stage Analysis of PSC Bridge)

  • 김기두;변윤주;김현기;롬보이;송삭;김영회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29-338
    • /
    • 2007
  • PSC 박스 교량은 콘크리트, 철근과 텐던으로 구성된 구조물로서 콘크리트의 인장 균열, 철근의 비선형 거동 등 재료의 비선형성 거동 특성 및 콘크리트의 시간 의존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복합 구조물이다. PSC 박스 교량의 시공 중 거동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뼈대 요소(프레임 요소)를 이용한 시공단계의 설계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PSC 박스 교량 중 곡선램프교 등의 경우는 교량의 외측 및 내측의 변위 및 응력 값이 현저히 다르다. 따라서 PSC 박스 교량의 텐던량 및 시공 중 긴장력이 외측 및 내측에서 다르게 산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는 계산이 불가능하여 같은 양의 텐던과 부적절한 긴장력을 사용하고 있어 시공 중 항상 안전사고에 노출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3차원 해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PSC 박스 교량의 해석 기법에 필요한 준 적합 쉘 요소를 제안하고자 한다.

프리캐스트 PSC 곡선 거더교의 구조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Structural Behavior of Precast PSC Curved Girder Bridge)

  • 김성재;김성배;엄기하;김장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1731-1741
    • /
    • 2014
  • 교통수요의 증가에 따른 교통혼잡을 피하기 위하여 고가도로와 고속도로, 경전철 등이 활발히 건설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접속부 등과 같은 곡률반경이 작은 곡선교 구간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초기에는 직선형의 주형을 연결하여 곡선을 이루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공사비의 증가와 미관성 측면에서 용이하지 않아 강재를 사용한 곡선주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강재의 특성상 기하학적인 형상을 구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손쉽기 때문에 대부분의 곡선교에서는 강재를 이용한 강박스 거더교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강박스 거더교는 초기 공사비가 고가이고, 도장과 같은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I형 강재 플레이트 거더를 사용하는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곡선 I형상의 특성상 개단면이고 얇은 플레이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틀림 강성이 매우 작아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곡선강교의 대안으로 경제성과 안전성이 확보되는 프리캐스트 PSC 곡선거더가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리캐스트 PSC 곡선거더를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스마트 몰드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2주형 40m 실물교량의 정적 휨 파괴 실험을 통하여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제작단계에서 단일 거더는 곡률반경에 의해 거더의 전도에 대한 안정성이 문제가 있으나 가로보로 연결된 멀티거더는 하중분배가 적절히 이루어지며 안정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적구조 실험결과에서는 균열하중(1,400 kN)이 설계하중(450 kN)의 약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허용처짐량에 해당하는 하중은 설계하중의 4배인 1,800 kN에서 발생하여 사용성과 안전성이 모두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SC 교량의 3차원 시공 중 해석기법을 위한 가정된 변형률 쉘 요소 개발 (Development of an Assumed Strain Shell Element for the Three Dimensional Construction Stage Analysis of PSC Bridge)

  • 김기두;송삭;황현진;박재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08-117
    • /
    • 2010
  • PSC 박스 교량의 시공 중 거동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뼈대 요소를 이용한 시공단계의 설계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PSC 박스 교량 중 곡선 램프교 등의 경우는 교량의 외측 및 내측의 변위 및 응력 값이 현저히 다르다. 따라서 PSC 박스 교량의 텐던량 및 시공 중 긴장력이 외측 및 내측에서 다르게 산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는 계산이 불가능하여 같은 양의 텐던과 부적절한 긴장력을 사용하고 있어 시공 중 항상 안전사고에 노출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3차원 해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PSC 박스 교량의 해석 기법에 필요한 가정된 변형률 PSC 쉘 요소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쉘요소에 사용된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의 재료 모델은 ACI 코드를 사용하였으며, 이 모델을 이용하여 3차원 시공단계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뼈대 요소와 비교하였다.

프리캐스트 곡선 PSC 거더의 구조 성능에 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Horizontally Curved Precast PSC Girder)

  • 이두성;최우석;김태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747-757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이동식 곡선거푸집으로 제작된 현장제작 곡선 PSC 거더의 정적거동을 조사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다양한 곡선선형 제작이 용이한 이동식 곡선거푸집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제작된 지간 30m, 곡선반경 80m인 곡선 PSC 거더에 대한 재하시험이 수행되었다. 모든 시험결과는 수치해석결과와 비교되었으며, 거더의 중앙부에 대한 변위와 변형률이 측정되었다. 실험결과에서 실물모형 시험체의 초기균열발생 하중은 사용하중보다 1.3배 증가한 하중에서 발생하였다. 또한, 연성설계기준을 만족하여 시험체는 초기균열 발생 후에 취성파괴되지 않고 연성 파괴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사용성 검토에서 균열발생 시의 처짐값이 도로교설계기준(2010)에서 제시한 활하중 재하 시의 허용처짐량을 만족하였다. 유한요소 해석결과와 시험결과는 전체적인 거동이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현장제작 곡선 PSC 거더의 사용성과 안전성 측면에서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PSC 궤도빔의 가설공법에 대한 검토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s In PSC Rail Beams)

  • 안용모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93-1299
    • /
    • 2010
  • Daegu urban railroad line 3 is introduced with straddle-type monorail system within the country at the first time. This system is long line with 24km in total length which has not the results of construction in Korea. The rail beam of monorail bridge to be constructed/ installed in the city is adopted on the basis of the PSC rail beam. It is required to apply the steel rail beam at rapid/ curved line parts or location to be required the long span bridge as passing river and intersection. The composition of span bridge is various and the height of bridge is change with each section and exist the different curve radius due to all section is passes in the city. The rail beam shall be considered the ground conditions and then consider the construction methods. It is analyzed to construction period of PSC rail beam to be linked with period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of steel rail beam, structure construction of station etc. It is compared to crane construction methods and launching girder as alternative construction methods and propose to upper construction methods which is superior in economic and construction.

  • PDF

Live Load Distribution of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with Curved Slab

  • Park Sun-Kyu;Kim Kwang-Soo;Kim Jin-Ho;Choi Jung-Ho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709-717
    • /
    • 2004
  • The existing AASHTO Standard Specification have some inadequacies in expressing wheel load distribution of bridge which has specific shape of curved bridge instead of straight bridge. Thus, this research presented the finite element analysis and modelling technique of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having curved slab and the expression of wheel load distribution was suggested as the ratio of bending moment utilizing the result of finite element analysis of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having cowed slab. The considered parameter of girder distribution expression is the curvature of slab, span length, girder space, cross beam space and number of lanes. Though the suggested girder distribution expression is generally underestimated below AASHTO Standard Specification, once the curvature of slab increases, the suggested expression gets larger than AASHTO LRFD Standard Spec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