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based assessment

검색결과 396건 처리시간 0.03초

중학교 1학년 기하 영역 형성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Development of Formative Assessment Program in Geometry Area for the 1st Graders of Middle School)

  • 류현아;이봉주;양명희;최승현;변희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37-154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을 토대로 하여 중학교 1학년 기하 영역에 대한 형성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발한 형성평가 프로그램 효과 검증에 활용된 사전 사후평가에 대한 학생의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중학교 1학년 학생의 기하 개념에 대한 이해 정도를 살펴보았다. 기하 영역 형성평가 프로그램과 그 분석 결과는 중학교 1학년 기하 영역의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Education satisfaction and self-assessment of competency among new general dentists in Korea

  • Ji, Young-A;Kwon, Ho-Beom;Kim, Ryan JinYoung;Baek, Seungho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9호
    • /
    • pp.504-513
    • /
    • 2019
  • Dental education is gradually transitioning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system, which aims to help dentists achieve certain core competencies by means of various systems, such as curriculum accreditation. This study examined satisfaction with dental school education an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self-assessment of competencies among general dentists, in an attempt to propose a desirable direction for dental educa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new general dentists who graduated from a dental school within the past 10 year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 understand differences in dentists' perceptions. Overall satisfaction with education was low in terms of the curriculum's relevance to actual practice and its capacity for cultivating required competencies. Furthermore, many of the respondents strongly perceived the need to improve dental education. Additional investigations into the satisfaction with education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seven key competency domains, dentists perceived Health Promotion to be important and also assessed themselves as having high competence. However, regarding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e remaining domains, self-assessment of competence was low for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 Interpersonal Skills, Knowledge Base, Information Handling & Critical Thinking, Clinical Information Gathering, Diagnosis & Treatment Planning, and Establishment & Maintenance of Oral Heal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competency-based education model should be developed and incorporated into dental education to set performance standards and to promote systematic self-assessment in order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in dental students.

  • PDF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예과 교육과정 개발과 편성 사례 (Premedical Curriculum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윤현배;이승희;황진영
    • 의학교육논단
    • /
    • 제19권3호
    • /
    • pp.134-137
    • /
    • 2017
  • The main points of issue with the former premedical curriculum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NUCM) were the absence of educational objectives, decline in student motivation caused by uniform education, students' lack of a sense of belonging, and lack of humanistic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se issues, there were five aspects consider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emedical curriculum: reform based on the newly established educational objectives that corresponds with the 6-year medical school curriculum as a whole, expansion of elective courses and the development of personalized curriculum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s' learning motives, expansion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apabilities as good doctors, active participation of medical professors in premedical education, and expansion of informal education and the student support program. According to the assessment don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reformed curriculum, premedical students were gratified with its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multifarious liberal arts and major subjects. In preparation of the more rigorous entrance quota of the premedical school at SNUCM, there is ongoing reform of required major subjects and establishment of new subjects in the premedical curriculum in pursuit of unity with the 6-year medical curriculum. Moreover, there is ongoing development of an e-portfolio system for the association of premedical and medical education, integration of formal and informal curriculum, and reinforcement of student observation and formative evaluation. Further discussion on the assessment and betterment of premedical curriculum is needed.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 탐색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for the Practice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 이경화;강현영;고은성;이동환;신보미;이환철;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4호
    • /
    • pp.819-834
    • /
    • 2016
  • 수학교육의 변화를 이끌 수 있는 방안으로서 평가의 개혁은 최근 과정 중심 평가라는 개념으로 등장하고 있다. 과정 중심 평가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것이며 정책적으로도 추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아직 개념화가 명확하게 되지 않은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와 그 실행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고, 최신 교육 평가 이론과 연구를 바탕으로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과정 중심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조건 등을 탐색하여 그 실행 방안을 모델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수학 수업 현장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실천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수행평가 과제 제작의 모형 및 준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del and Criteria of Performance Assessment Task to Elementary Mathematics)

  • 유현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63-182
    • /
    • 1998
  • Performance assessment is one of the authentic assessment method that are consistent with new curriculum goal, concentrated on the process rather than the results of problem solving. But the key to good assessment is matching the assessment task to intended objectives.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s, the current performance assessment task was critically analysed. As a result, this study developed appropriate model and criteria of performance assessment task to elementary mathematics.

  • PDF

2015개정 과학과 선택과목 수업 및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탐색 (Exploration of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Instruction and Assessment of Science Elective Cours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곽영순;이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83-19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2년차를 맞이하여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과목의 수업과 평가 구현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과학과 교육과정의 안착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44명의 고등학교 과학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9명의 과학 교사들과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심층적인 답변을 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설문조사에서 과학 교사들은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역량 신장과 학생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수업을 고민하고 있지만, 여전히 강의 위주 수업을 가장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측면에서는 과정중심평가와 관련된 문항들에서 교사들은 긍정적인 변화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과학과 선택과목 운영의 어려움으로 교사들은 '담당해야 하는 과목의 수 증가', '업무 과다', '다양한 교수학습 및 평가 등을 고려한 수업의 재구조화에 대한 부담'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해 교사들은 통합과학에 비해 과학I 선택과목에서는 탐구실험 등과 같은 학생참여형 수업을 덜 강조하며, 과학II 과목의 경우 주로 3학년 때 하므로 학생참여형으로 진행하기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과학과 선택과목에서 과정중심평가를 하려면 시간 확보가 필요하며, 수능에 실험이 안 나와서 실험에 대한 과정중심평가도 할 필요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학과 선택과목에서 과정중심평가 안착을 위한 지원방안, 학교현장의 학생참여형 수업이나 과정중심평가의 방향성과 원인에 대한 심층 분석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예비교사의 과정중심 평가 역량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기반 학습의 활용 (Using Project-Based Learning for the Development of Process-Fortified Assessment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 권혁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319-327
    • /
    • 2023
  •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기본적 접근방법이 내용중심에서 역량중심으로 전환됨에 따라 과정중심 평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사의 평가자로서의 역할 역시 과정중심 평가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으며, 임용을 앞둔 예비교사들에게도 과정중심 평가의 역량을 개발하는 것은 중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과정중심 평가 역량개발을 지원하기 위하여 교원양성대학 교과목을 개선하여 운영하고 그 효과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 교육대학교에서 운영되는 한 교과목을 PBL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운영하고 과정중심 평가의 관점에서 예비 초등교사에게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수강생들의 프로젝트 결과물, 관찰노트, 수강생 반응 등의 자료 분석을 통해 PBL 활동 경험이 예비 초등교사들의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인식과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PBL과 같이 과정중심 평가관이 반영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예비교사의 과정중심 평가 역량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교사의 과정중심 평가역량 개발을 위한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과 수업의 혁신을 위한 구체적 방법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2015 개정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 교육과정의 2차 년도 적용 현황 추이 분석 (Trend Analysis of Curriculum Application Status of 2015 Revised Integrated Science and Scientific Laboratory Experiment Curriculum)

  • 곽영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3-63
    • /
    • 2020
  • 본 연구는 2019년도에 적용 2년차를 맞이한 고등학교 과학과 공통과목인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의 2차 년도 적용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과학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총244개의 과학중점고와 일반고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2018년도 1차 년도 조사결과와 양적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초점집단을 구성하는 9명의 과학교사들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2차 년도 적용현황에 대한 심층 답변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1차 년도와 마찬가지로 적용 2년차에도 통합과학은 대부분 6~8단위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학급당 통합과학을 담당하는 교사는 3~4명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초점집단 면담에서 현장교사들은 통합과학이 통합적 지도를 필요로 하며 학생의 흥미와 관심 유발에도 좋지만, 평가공정성 확보 등의 문제로 과정중심 평가 등을 구현하기는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과학탐구실험의 경우 대부분 학기당 1단위로 2개 학기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가르치는 사람이 달라서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을 거의 연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도부터 과학탐구실험의 학교생활기록 기재 방식이 절대평가로 변경되어서 상대평가로 성적산출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학생들의 만족도나 수업의 흐름이 기대한 것보다 훨씬 좋고, 부담없이 가르칠 수 있다고 교사들은 말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학과 공통과목인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 교육과정 안착을 위한 지원방안,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서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개선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일본과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National Assessment Between Japan and Korea)

  • 임해미;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2호
    • /
    • pp.259-28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최근 PISA에서 약진하고 있는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전국학력 학습상황조사의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통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일본의 수학교육 개관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제 8차 학습지도요령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비교하였다. 셋째, 일본의 전국학력학습상황조사의 개요, 특징, 문항 특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 및 PISA 수학 평가와 비교하였다. 일본과 우리나라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영역에 차이가 있으며, 전국학력학습상황조사에서 일본은 수학적 지식의 활용을 강조하는 B형 테스트를 시행하고 있다. 일본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역량인 수학적 사고력 판단력 표현력이 학교수학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학년간 내용 편제의 차이, 전국학력학습상황조사의 다원화된 평가틀 등은 현재 교육과정을 개정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체제 및 문항 개발에서 참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핀란드 가정과 교육과정의 역량 기반 교육과정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Competence-based Curriculum in Finnish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 양지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9-39
    • /
    • 2019
  • 본 연구는 역량 기반 교육과정으로 개정된 핀란드의 가정과 교육과정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핀란드의 가정 교과는 7~9학년군에 속해 있으며 학습영역은 '식품 지식 및 기능, 음식 문화', '주거 및 더불어 살기', '가정에서의 소비자 및 재무 기능'으로 통합적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둘째, 핀란드 교육과정에서 가정 교과역량은 따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나 총론에서 횡단적 역량의 목표를 제시하고 7~9학년군별로 강조하고 있어 횡단적 역량과 교과와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있었다. 셋째, 핀란드 가정 교과의 내용체계는 학습기능, 학습내용, 횡단적 역량을 상호 연결하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수업목표와 교과역량의 역할을 하는 학습의 기능을 연결하여 역량의 성취를 강화하고 있었다. 넷째, 가정 교과의 평가는 지식과 기능을 활용한 실제 수행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교과 지식과 역량의 성취를 평가하는 기준은 수행 중심의 진술형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는 핀란드의 교육과정의 중요한 특징은 학습자의 지식, 태도, 역량의 성취를 위한 교사 역할을 강조하는 교육제도의 유연성과 개인의 고유성을 장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교사의 책무성과 학습자의 성취를 높이고자 하였다.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역량의 구현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가정 교과에서 지식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통합적 연결이 필요하며, 교과역량을 구현할 수 있는 교육과정 체계, 배우기 위한 학습으로서의 평가와 학교 및 교사의 교육공동체를 통한 더 깊은 협력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