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materials

검색결과 1,002건 처리시간 0.023초

중등 예비과학교사의 교육과정 설계에서 교육과정 자료의 활용 방식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Uses of Curriculum Materials in Curriculum Design)

  • 양찬호;배유진;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312-1328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사례연구를 통해 중등 예비과학교사의 교육과정 설계에서 교육과정 자료의 활용 방식을 조사하였다. 서울 소재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두 명의 예비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교수학습관에 대한 사전면담을 실시한 후, 교육실습 기간 동안 이루어진 각 예비교사의 수업을 관찰하였고, 모든 교수학습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업 실행 전후에 반구조화된 면담을 진행하였다. 예비교사들의 교육과정 자료의 활용 방식을 읽기, 평가, 응용의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두 예비교사의 교육과정 설계에서 교육과정 자료의 활용 방식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과정 자료에 대한 읽기의 방식에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두 예비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관점의 차이로부터 비롯되었다.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관점의 차이는 교육과정 자료의 응용 방식에도 영향을 미쳐서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해 적극적인 관점을 지닌 경우 '구성요소 추가'가, 소극적인 관점을 지닌 경우 '구성요소 변형'이 중요한 응용 방식이었다. 또한, 예비교사의 교수학습관에 따라 교육과정 자료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를 고려하는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평가에서의 이러한 차이는 '교사중심활동의 증가'와 '학생중심활동의 증가' 응용에서의 질적인 차이로 연결되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예비 수학교사들의 교육과정 자료 해석: 조건부확률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reading of curriculum materials: Focused on conditional probability)

  • 구나영;탁병주;최인용;강현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3호
    • /
    • pp.347-36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예비 수학교사들이 조건부확률에 대한 교육과정 자료를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재구성할 수 있는 대상으로서 교육과정 자료를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로 자신의 지식을 활용하여 교육과정 자료를 적극적으로 해석하기보다는 반복해서 내용을 기술하고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국내외 의과대학의 교육과정 기초조사 및 분석 (Fundamental Study on Curriculum of Domestic and Foreign Medical Schools)

  • 류숙희;김보현
    • 의학교육논단
    • /
    • 제10권1호
    • /
    • pp.9-17
    • /
    • 2008
  • Objectives: Medical schools are try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by offering students better medical curriculum. In this study, we inte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medical curriculum by analyzing the medical curriculum of domestic and foreign medical schools. Methods: Based on various materials, we selected out 5 domestic medical schools and 11 foreign medical schools and collected materials relevant to medical curriculum of each medical school. Then, we divided collected materials into four domains(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assessment,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analyzed them synthetically. Results and Conclusion: First, concerning the educational objectives, it is necessary that more various educational objectives are included to medical curriculum. Especial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medical curriculum reflecting social responsibility and requests of local community. Second,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constantly improved and constructed consider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nd traits. Third, not only students but also educational program, educational contents, and professors should be included to the objects of educational assessment. Also, various assessment methods should be developed. Finally, especially for domestic medical schools, it is necessary to make use of more educational specialists in medical education.

화학 및 과학 교과서에 기술된 읽기자료 분석 및 활용도 조사 (Analysis of Reading Materials Presented in Chemistry and Science Textbooks and Survey on Utilization Reading Materials)

  • 임미경;유미현;남석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1호
    • /
    • pp.69-8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읽기자료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고등학교 화학I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분석하고, 과학 교사의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7차 교육과정 및 2009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화학 I 교과서 각 4종을 택하여 읽기자료의 수, 내용에 따른 제시 유형과 학생의 활동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중등 과학교사의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 활용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학I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화학I 교과서에서는 읽기자료의 비율이 7.9%~17.1%로 나타났으며, 2009개정 화학 I 교과서는 20.6 28.2%비율로 나타났다. 2009개정 교과서의 읽기자료 비율이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읽기자료 내용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생활 속 과학'이 34.3%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2009개정에서는 '지식의 심화보충'이 2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생 활동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교육과정은 읽기자료 13%만이 탐구형 자료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2009개정에서는 35%가 탐구형 자료로 나타나 학생의 탐구활동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목표가 반영되었음을 시사한다. 둘째, 과학 교과서활용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결과 67%에 해당하는 교사가 현재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를 수업에 사용하고 있으나 거의 활용하지 않는 교사도 33%나 되었다. 많은 교사들이 실생활과 관련된 통합적 교육을 위해 읽기자료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생활 속 과학' 읽기자료가 교과서에 좀 더 많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 PDF

수학적 개념의 과학적 성격과 교육과정 구성과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f the Scientific Characteristic of Mathematical Concepts and Curriculum Design)

  • 고정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213-228
    • /
    • 2002
  • We know that curriculum is, first of all, related to teaching materials, namely, contents. Therefore, when we think of mathematics curriculum, we must take account of characteristic of mathematics. Vygotsky has studied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oncepts and everyday concepts. According to Vygotsky, scientific concepts grow down through spontaneous concepts; spontaneous concepts grow upward through scientific concepts. And mathematics is a representative of subjects dealing with scientific or theoretical concept. Therefore, his study provides scientific basis for mathematics curriculum design. In this context, Davydov notes that everyday concepts are developed through empirical abstraction, while scientific concepts require a theoretical abstraction. And Davydov constructed the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teaching of number concept. Davydov's curriculum is an example of reflecting Vygotsky' theoretical view and his view about the types of abstraction. In particular, it represents mathematical characteristic of a 'science' by introducing number concept through quantitative relationship and use of signs. In conclusion, stance mathematical concepts have scientific characteristic, mathematics curriculum reflects this characteristic.

  • PDF

제 7차 수학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문제 중심 학습 자료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roblem-Centered Learning Materials for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 신인선;권점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3호
    • /
    • pp.369-386
    • /
    • 2003
  • Problem-centered learning has many implications o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Students devise their solutions to solve problems and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with teacher and other students to share and justify their solution during the problem-centered learning. Therefore, we purposed to provide problem-centered loaming materials to be able to use in teaching and loaming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in this study. First, we reviewed the 7th curriculum and its textbooks to know what and how students learn and suggested the problem-centered learning as a teaching method to perform the 7th curriculum. Next, we developed the problem-centered loaming materials for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taught students with these materials to amend errors. Finally, we developed evaluation criteria to evaluate students while they teamed mathematics in the problem-centered learning.

  • PDF

수학교사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활용도 조사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Use of Mathematics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 김민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3호
    • /
    • pp.503-531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사가 수업을 구성하고 교사학습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24명의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이들 중 두 명의 교사를 선정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설문자료와 인터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학교사들은 교육과정의 결정자로서 문서화된 교육과정이 의도된 교육과정으로 전이되는 과정의 주체로 참여하고 있었으며 수업목표, 수업내용, 평가내용 선정과정에서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정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에 반해 교수법, 평가방법 선정과정에서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정도는 높지 않았다. 이와 함께 학생들의 성취도 수준, 참여도, 수학에 대한 관심도, 가정환경, 입시제도 등 수업을 구성 계획하는 과정에서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문제해결과 관련된 제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분석 (An Analysis on Contents Related to Problem Solving in the 7th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aterials)

  • 방정숙;김상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3호
    • /
    • pp.341-364
    • /
    • 2006
  • 본 논문은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최근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온 문제해결과 관련하여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하여 현재 개정 시안에서 논의되고 있는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학 교과서와 익힘책에서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취지를 어떻게 구현하고 관련 세부 내용을 어떻게 구체화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문제해결전략, 문제영역, 문제유형별로 문제해결 관련 내용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문제해결과 관련하여 차기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재료공학 실험실습 교육과정 개발 (Curriculum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Laboratories in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 김은경;정운룡;박철민;배동현;민동준;이우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4호
    • /
    • pp.43-57
    • /
    • 2007
  • 공학교육의 패러다임은 학습내용, 학습결과 중심의 패러다임에서 학습자, 학습과정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고, 이러한 패러다임의 전환에서 실험 교과목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교과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부 2, 3, 4학년 전 과정에 걸친 실험 교과목의 교육과정 개발의 맥락 속에서 2학년 실험 교과목을 전공기초 지식 습득 및 기초실험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학습자 중심 교과목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적용하고자 하였다. 교육과정 개발을 위하여 국내외 우수대학 재료공학과의 실험 교과목을 비교 분석하였고 학생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였다. 개편된 기초실험을 위한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내용으로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함으로써 학생들로부터 비교적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교육 환경변화에 따른 학교시설의 실내 바닥재 및 창호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ner Window & Floor Materials of Educationa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Variation of Future Education)

  • 유택동;조진일;이호진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3권1호
    • /
    • pp.46-59
    • /
    • 2003
  • In this study, analyzing class method, curriculum and demand performance of materials and user according to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it is surveyed that materials design performance standards of floor and window suitable to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Based on this study, It is needed for development of special materials suitable educational facilities, making standards fitting demand, study of variable and special field for educational facilities, study for security of objective data of materials, study of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subdivided, and desirable positive use of intimate environmental materials.

  • PDF